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본주의 5부 -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Capitalism, Part 5 - What the country should)


지금까지 자본주의에 대해 기나긴 여정을 걸어왔다. 자본주의는 민족과 국가를 구분하지 않고 우리에게 다가왔지만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는 국가가 많은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우리가 결정하는 많은 것들이 국가라는 단체가 만든 정책과 제도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단지, 미국에 산다고 1등 국민이라는 소리를 듣거나 잘 알지도 못하는 아프리카에 살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미개인 취급을 받는다.
 So far, about capitalism, has walked a long journey. Capitalism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people and countries, dying, he came to us, but we live in a world that many countries have first. Through policies and institutions created by a national organization called a lot of things that we decide to do is continuing. First hear the sound of the people that live in the United States only, or are treated savage just because you live in Africa, you do not even know that.

국가가 무엇을 해 줄것인지 따지기 전에 먼저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라는 말이 있지만 한 국가에서 태어나 살고 있다는 자체가 그 국가를 위해 참으로 많은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세금도 내고 국가의 경제활동을 활성화도 시키고 결혼도 하고 자식도 낳는 것은 국가에서 가장 원하고 바라는 국민으로써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A lot of work, and indeed for the country itself, but was born and brought up in the country that one wants to think about the country before the state to tell them what to determinate what can be done to that. What is the role of the country's most wanted by the people wish to enable even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country, they pay taxes, and married, and the child lays

자본주의는 점차 발달하여 한 국가의 흥망성쇠와 함께 발전하고 진보했다. 국가 단위로 벌어지는 많은 경제활동이 흥하면 흥한대로 쇠하면 쇠한대로 자본주의는 그에 맞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다른 이름으로 다가왔고 이를 정책적으로 이론적으로 제도화하는 많은 일들이 지금까지 벌어졌다.
Capitalism developed gradually, with the ups and downs of the country in which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A lot of economic activity going on the national level excitement as heunghan iron iron As capitalism appropriate name we came up with a different name for the policy to institutionalize the theoretical Until now, a lot of things happened.

현재 자본주의는 크게 케인즈와 하이에크로 대변되는 사상으로 단순화시켜 볼 수 있다. 케인즈 학파는 좀 간단하지만 하이에크파는 신자유주의로 대변되어 화폐와 환율을 대표하는 밀턴 프리드먼까지 나아가서 금융자본주의를 탄생하는 배경이 되었다. 대 공황후에 케인즈 학파는 모든 것을 커버할 수 있는 이론을 제공했다.
 Simplify the current capitalism is largely represented by Keynes and Hayek thought can be seen. Keynesian monetary and exchange rate are representative of neoliberalism represented by Hayek selling some simple but was Milton Friedman until further background to the birth of capitalism. After the Great Depression, the Keynesian theory that can cover everything.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고용을 창출했다. 수요를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고용을 창출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국가가 적극적으로 여러 일자리를 만들어 줘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들이 성장하는 시기라 대단한 기술이 없어도 단지 SOC와 같은 일자리를 만들기만 해도 먹고 살 수 있는 시기였던 것이다. 
Creating jobs that can not be denied anyone. Arouse demand in order to create employment and countries actively need to create many jobs. Time of great technology and create jobs, such as SOC, even if only just to eat and survive time was growing countries.

케인스는 참으로 특이하게도 단순히 똑똑할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을 비롯한 다방면으로 뛰어난 능력을 보유했고 심지어 투자실력도 대단해서 투자로도 많은 부를 획득했다. 게다가 부인도 아주 예쁜 여성이였다. 이러한 케인스는 영국에서 관료로도 활동을 했지만 정작 그의 이론은 미국의 루즈벨트가 받아들여 적극적으로 고용을 늘려 수요를 불러일으켰다.
 Keynes Oddly, indeed, culture, art, and just be smart as well as multi-faceted and has superior ability and even investment skills dwarfed investment acquired a lot of wealth. Besides his wife, a very pretty woman, respectively. These Keynes bureaucratic activities, but also in the UK, but his theory Roosevelt of the United States accept to hire aggressively increasing demand provoked.

이러한 케인스에 대척점에 있는 사람이 바로 하이에크로 대변되는 오스트리아 학파이다. 케인스의 이론을 통해 국가는 발전했지만 다시 한계에 부딪혔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설치지 말고 뒷짐을 지고 큰 소리만 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를 한 신자유주의를 서서히 각 나라에 전파했고 80년대부터 대처리즘을 비롯한 레이거노믹스로 대변되는 새로운 금융자본주의가 싹을 띄우게 된다.
These antipodal points in Keynes Hayek represented by the Austrian school. The coun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Keynes's theory, but again, hit his limit Do not stand back country seolchiji gett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big sound but that is a good story of neoliberalism gradually spread in each country, including from the 80s and Thatcherism the new financial capitalism reyigeonomikseu represented by the space bar the shoots.

이전까지 금융은 산업을 보완하기 위한 역할에 그쳤다.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돈이 필요했다. 공장을 짓고 새로운 기계를 들이고 급료를 지급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처음부터 갖고 있는 돈으로 시작하는 사업가는 없고 될 수 있는 산업이라면 금융회사에서도 투자를 했다.
 Said prior to the financial industry to complement the role. Essential in order to develop the industry needed the money. 're A machine to build a new factory to pay salaries, the money is needed. Money to start with from the beginning that has no industry that can be a businessman, if the financial investment in the company.

어느 순간부터 돌 다리도 두두리며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돈이 된다는 여지가 있으면 엔젤투자니 벌처투자니 하면서 투자를 하면서 그 기업이나 산업이 올바른 길을 가고 지금보다 더 많은 고용을 창출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한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얼마나 빨리 이익을 회수하느냐에 더욱 몰두하게 되었다.
If there is no room at any moment from a stone bridge that money rather than investment and knocking angel investment while investment in your investment while you beolcheo in social enterprise or industry the correct way to go, and now more than creating jobs and contributing toprofit rather than for the benefit of people who invest, how fast recovery how became more engrossed.

점점 산업을 보완하는 금융이 어느순간부터 산업을 잡아 먹고 모든 것을 통치하는 시대가 되었다. 국가는 최소의 규제만 해야 한다는 신자유의주의 사상에 의거하여 망하면 새롭게 다시 창조된다는 슘페터의 이론이 더해지며 관망만 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나마,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나라는 이에 대한 보완책들이 어느 정도 있었다.
 Increasingly to complement the financial industry from eating everything that govern the industry, the era was at any moment. Countries under the falls again that Schumpeter's theory of creative ideas to the attention of the neo minimum of regulation should be added the fence of that era was jimyeo Dont,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or the United Kingdom was a complement to a certain extent.

그외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신자유주의를 통한 이익에만 몰두하지 실수나 실패의 순간에 다시 회복하고 도전할 수 있는 제도와 정책은 만들지 않고 모든 것을 개인의 책임으로 규정하며 갈수록 한 번 망한 사람들이 다시 진입할 수 없는 기회를 원천봉쇄한다. 그들의 경험은 고스란히 사장되어 국가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근간을 뒤흔드는 부정적인 요소로 왔다.
In addition, the country's most devoted not only to profit through neoliberalism, without creating the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can be a challenge mistakes or moments of failure and regain all that is defined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toward people perished once again to enter theblockade is an opportunity that can not be sourced. Their experience has negative elements to shake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but which are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s president is intact.

비록, 전공을 하지 않았어도 어느정도 이론이나 명칭은 들었음에도 얀 펜의 소득분배 이야기는 처음 들었다. 결국에는 빈부 차이가 얼마나 크게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인데 처음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습도 알 수 없게 땅에 기어다니지만 마지막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얼마나 큰지 구름위에 그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Majors, although some theory or not, even if the name of the yarn pen and heard even heard the story for the first time the distribution of income. Above the clouds, how big difference between rich and poor in the end the story is going on for sure is how big the figures that appeared in the character first appeared to not know they look not crawl around on the ground, but the last of his appearance can be seen.

이러한 빈부의 차이가 벌어질수록 사회는 불안정해 지고 희망은 사라진다. 한 국가와 체제와 제도가 어느정도 정착되면서 위로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가 사라지고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안정되고 발전이 거의 끝나 더 잘 살게 될 것 같았는데 역설적으로 더 힘들어지고 더이상 양적인 팽창이 사라지며 한정된 자본과 자원과 기회에서 사다리는 끊어지고 몇개의 줄만 보이는 상황이 오게 되었다.
Of the differences between rich and poor widen As society becomes unstable and lost hope. One country systems and institutions, and somewhat paradoxical development is almost over thought you'd be better as a ladder to climb up the disappearing social stability and national settlement no longer getting harder to disappear, and the quantitative expansion with limited capital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hose situations where a few lines of the ladder from tearing was brought

가진 사람은 더 갖게 되었고 못 가진 사람은 있는 것도 사라지고 있다. 일정 부 이상의 부는 소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무리 많은 돈을 갖고 있다고 해도 한 개인이 쓸 수 있는 돈의 규모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매 끼니마다 몇 백만원치 먹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매 끼니마다 몇 백만원씩 먹을 수 있는 사람은 전체 인구구성 대비로 볼 때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Not people with more became a man with nothing is disappearing. Wealth on consumption over a certain part does not help at all. That no matter how much money, even if the scale of individuals who can write money has its limits. Some one million won per person can eat every meal that you can eat every meal, some one million won value, nor seen as compared to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configuration when only a small fraction is

또한, 그렇게 소비된 자본은 다수의 사람이 아니라 일부 사람들에게만 돈이 돌게 되어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소비를 해야 더 많은 돈이 돌게 되어 있고 이 돈들이 돌아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으로 돌아가게 된다. 금융 위기로 어려울 때 각 국가들은 인위적으로 돈을 각 개인들에게 풀었지만 - 세금을 돌려준다는 차원에서 현금으로 - 그 돈들은 그때만 잠시 반짝했고 무엇보다 일시적인 돈은 돌기보다는 각 개인에게는 미래를 위한 비상용도로 쟁겨 놓게 된다.
In addition, the capital consumption so a lot of people, but some people only have money pumping is. Money, more people and more money should be funneled consumption back benefits to more people return. Money each country artificially solved, but to each individual - which returns the tax difficult when the financial crisis in terms of cash - the money more than anything, and then only briefly shiny temporary money rather than projections for the future for each individual emergency road jaenggyeo to put

현재 자본주의는 갈 곳을 잃고 있다. 다음 단계의 자본주의로 전환하기 위해 모색을 하는 중이다. 어떤 자본주의가 될 지는 모른다. 어느 누구도 자본주의에 대해 부정할 수는 없다. 현재의 자본주의를 대체할 만한 것은 그 어느것도 없다. 인류 역사상 자본주의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골고루 나눠준 역사가 없다.
 Capitalism is the place to go to lose. Being sought to transition into the next stage of capitalism. Which may be what capitalism. Anyone about capitalism can not be denied. It has nothing that can replace the current capitalist. Is no history of a variety of benefits to more people than capitalism nanwojun in the history of mankind.

현재의 자본주의를 욕하는 사람들도 자본주의의 폐혜를 욕하는 것이지 자본주의 자체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 사람이 있다면 그는 몽상가이고 극단적인 이상주의자일 뿐이다. 대안도 없는 비난과 비판은 공허한 메아리가 될 수 밖에 없다. 많은 사람들이 다시 인간의 탐욕으로 인해 규제가 없는 자본주의는 끈이 끊어진 망아저처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Of capitalism pyehye revile those who revile capitalism's current, not capitalism itself does not deny. Visionary and extreme idealist if there is such a person, he is just. Alternatives without blame and criticism can not but be a hollow echo. Again, a lot of people due to human greed, unregulated capitalism began to realize that the network can be controlled as you strap is broken.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복지 자본주의라는 개념을 들고 나온다. 솔직히 복지 자본주의에 대한 개념은 처음 듣는다. 협동조합과 같이 대기업에 대항하여 힘없는 개인들이 이익은 조금이라도 함께 살아가는 방향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련의 다양한 단체가 그나마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As an alternative, the concept of welfare capitalism comes out. To be honest, the first time the concept of welfare capitalism hear Dont powerless individuals against large corporations profit little to live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progress in a series of co-operatives and various organizations are being presented as a new alternative.

하지만, 이런 것들이 국가에서 제대로 보완해주지 않고 상생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주지 않는다면 잠시 반짝하는 유행에 그칠 수 있다. 지금까지 각 정부는 신자유주의를 극단적으로 모색하고 발전시키려 했지만 현재는 그 폐혜가 더 커서 각 국가들의 정부들이 점점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정치인들이 입성하고 있다.
 These countries do not provide properly complement can be a win-win situation, but it does nothing to cease the moment a trendy shiny. Neoliberalism sought to develop an extremely trying, but until now the government is larger pyehye politicians by the government of each country is getting old and the other new foray is.

북유럽 국가들이 현재로써는 가장 지향할 자본주의로 떠 오르고 있다. 미래가 어떻게 될지 몰라 우리는 투자를 한다. 북유럽도 추리소설을 읽어보면 우리랑 그다지 크게 다를 것은 없지만 확실히 그들은 미래가 불안하여 투자를 하고 조바심을 내지는 않는 듯 하다. 국가가 국민들에게 너희가 알아서 하고 알아서 살면 우리가 그에 따른 과실을 먹겠다고 한다면 그건 국가가 할 수 있는 행동이 아니다.
 The Nordic countries have been rising for now emerged as the most oriented to capitalism. Knows just what the future holds, we invested. Northern Europe also seem to differ very much with us by reading mystery novels, but make sure they are anxious about the future and the investment impatience or Countries can act accordingly take care to the people of the country you live and take care of our negligence said yes, if it is not.

무엇보다 실수를 해도 실패를 해도 다시 극복하고 일어 설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기회를 줘야만 한다. 신자유주의 사상만 받아들이고 이에 따른 보완을 전혀 하지 않은 우리나라같은 경우는 더더욱 그런 듯 하다. 실패나 실수하면 모든 것이 끝이라는 절박함은 이제 서서히 창의력을 갈아먹는 좀이 되고 있다. 부담없이 실패해도 실수해도 된다는 정신이 오히려 더욱 큰 도전정신을 키우고 사회에 활력소가 된다.
 Must fail even if you make a mistake, more than anything, even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create a system that can stand up again to overcome. Korea, such as the neo-liberal ideology that is not complemented by accepting, especially if it seems Failure or mistake, and that's it end of urgency now slowly changing eating some creativity. Fail, but without the burden that mental mistake, even raising the spirit of the challenge even greater is the lifeblood of society.

자본주의는 피하려 해도 정치와 결부될 수 밖에 없다. 철학이 없는 정치인들이 벌이는 어쩌구니 없는 일들로 인해 국민들이 피해를 입는 일은 없어야 한다. 싫어도 국가의 정책 입안자들이 내는 제도내에서 우리는 돈을 벌고 생활한다.
 Capitalism to avoid, even if you do not have to be associated with politics. Politicians that philosophy should not make the mistake of people harmed due to the things you do not grab blah. Living within our institutions that the country's policy-makers do not care to make money.

자본주의에 살고 있는 우리는 승자독식과 이기면 모든 것이 용서가 되는 잘못된 사상을 받아들였다. 이제 이익을 조금은 덜 보더라도 함께 상생할 수 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고 특정인들이나 단체만 이익을 본다면 역사의 커다란 소용돌이에 빠지게 된다. 지금까지 역사를 통해 볼 때 반복되는 싸이클이다. 더 늦기 전에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한다.
We live in capitalism and the winner-take-all win embraced the erroneous idea that everything is forgiven. Can prosper, which in the direction of little less profit now bodeorado go forward without profit the particular person and organizations, but if you look at the history of a large fall in the vortex. Cycle is repeated through history until now. It goes in the right direction before it's too late.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