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제로 투 원 - 독점(Zero to One-monopoly)

0에서 1이 되는 것이 힘들까, 1에서 2가 되는 것이 힘들까. 숫자상으로는 둘 다 똑같이 1이 추가 될 뿐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0에서 1이 되는 것이 힘들다. 처음에 종자돈을 모을 때도 일정 기간까지 돈을 모으는 것이 가장 힘들다. 회사를 창업해 일정궤도까지 올라가지 못해 대부분의 자영업자나 경영자가 1년을 넘기지 못하고 포기를 외친다. 단순히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 이상의 무엇이 있다.

어떤 일을 시작하든 나로써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되겠지만 전체 시장에서 볼 때면 이미 비슷 비슷하게 있던 것들 중에 하나가 더 생겼을 뿐이다. 이래서는 결코 나만의 독창적인 파이를 갖지 못한다. 0에서 1이 된다는 것은 나만의 것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그것이 바로 독점이다. 독점을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다. 가장 손 쉽지만 0에서 출발하는 사람이 힘든 물량공세다. 독점이 될 때까지 다른 사업자를 고사시켜 버린다. 어지간한 자본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이보다 확실한 것은 자연스럽게 독점이 되는 거다. 자본의 힘이 아닌 고객들의 요청에 의한 독점이다. 독점은 사업가와 창업자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기적과도 같은 현상이지만 세상은 냅두지 않는다. 일정 규모 이상으로 커졌을 때 문제가 되는 것이지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규모에서 독점은 최대의 장점이 된다. 단, 남들이 독점이라 어쩔 수 없이 구입하는 것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여기서 말하는 독점은 구입하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하기에 자발적인 독점이 된다.

모든 사람들은 독점을 꿈꾼다. 상황이 녹록치 않거나 능력이 되지 않거나이다. 경쟁자 없이 내 의지대로 고객이 몰리고 그 고객을 계속 놓치지 않으면 되는 구조라면 행복하지 않을까 한다. 개인적으로도 최근에 이 부분에 대해서 고려중이다. 하다보니 여기저기서 자꾸 겹치게 된다. 이 사람이 저 사람이고 내가 하는 것이 저기서도 하고. 내 자신이 딱히 변별성도 없다. 내 자신도 힘이 좀 빠지고 뻔한 순환구조라 지겹다는 생각도 들었다.

나만이 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은 쉽게 할 수 없는 것을 해야만 결국 자연스러운 독점이 생길 수 있다고 본다. 내가 하려는 분야가 독점은 불가능하다. 일정 경쟁이 불가피한데 그나마 그 경쟁도 희소성의 원칙에 따라 상대적으로 덜 한 분야를 해야 성공 가능성이 커진다. 같은 풀을 갖고 서로 아전투구해봤자 득이 될 것이 없어 보인다. 새로운 고객을 창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소수의 사람들에게 고가로 팔거나 다수의 사람들에게 독점을 하는 방법이 제일 좋다.

불특정 다수에게 많이 팔수록 이익은 증가한다. 이익이 증가하면 누군가 그 이익을 바라보고 진입을 한다. 진입장벽을 높이기 위해 기존 기업들은 끊임없이 각종 장치를 고안하고 어렵게 만든다. 진입장벽이 낮으면 별의별 노력을 해도 결국 진입할 사람은 진입을 한다. 대다수의 창업시장이 그렇다. 그나마 법인 기업이 싸우는 분야는 조금 다르지만 이마저도 독점은 커녕 생존이 우선인 경우가 대다수다. 

From 0 to 1 that himdeulkka, would be a 1 to 2 himdeulkka. Both triangulation number only to be the same one you added. It is hard to be 1 from 0 than ever. At first, when you collect the seed money to raise money through the difficult period of time. I can not go up to a certain track to start a business, most business owners and managers are not giving up exclaims exceed one year. Not just a means to create out of nothing. What's more is that.

Whether you start any work or rosseoneun As will be created out of nothing When I look at the whole market is just one more look something similar to the ones that were already similar. This is why never not have your own unique pie. Being from 0 to 1, meaning that you need to create it's own. Is it the exclusive right. The way that the monopoly is different. The hand easy person from 0 to tough volume offensive. Turns to the other carriers examination until the monopoly. If it is not quite a bit of capital.

Than sure it'll be a natural monopoly. The monopoly requested by the customer, not the power of capital. Monopoly is a businessman and founder who crowning miracle phenomenon, but the world does not nap. Geotyiji the problem becomes greater when more than a certain size is an advantage of the maximum size of the extent is exclusively in not a problem. However, a different story if others have no choice but to buy is called a monopoly. Referred to herein are the exclusive monopoly to voluntary essential for people to buy.

Everyone dreams of a monopoly. The situation is not, or intimidating or ability. As a customer driven without my will would not be happy if the structure competitors continue without missing its customers. FIG personally recently under consideration on this point. I keep it here and there is overlap. This man and that man is also there that I would. There is also no apparent byeonbyeolseong myself. I force myself sick obvious even thought I heard something fall gujora circulation.

Only I can see that others have had to eventually can lead to a natural monopoly can not be easy. The areas I want to monopoly is impossible. At least to a certain race inevitable that competition should also be relatively less one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carcity,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success. Ah rescue each other in standing pools have the same battle seems to be no benefit. It is the best way to generate new customers. Sell to a few people at a high price or the method of the monopoly to a large number of people is best.

The arm much to unspecific and profit growth. When someone enters benefit increases, overlooks the profit. Existing companies are constantly devising a variety of devices and makes it difficult to raise barriers to entry. Low barriers to entry even if the entry is so many sorts of efforts to end human entry. Yes, the majority of start-up market. Dont corporate sector companies to fight a little bit different, but yimajeodo monopoly is far from the case priority is survival of the majority.

피터 털이 누군인지는 몰랐으나 페이스북이라는 단어와 함께 페이팔이 함께 언급되지 누군인지 알게 되었다. <제로투원>은 페이팔을 상장시키고 지금은 투자자로서 다양한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입장으로 어떤 기업에 투자할 것인지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흔히 엔젤투자나 벤처투자라 하는데 이런 투자에는 리스크가 상당히 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분산투자를 하는데 피터 털은 절대로 그러면 안 된다고 한다. 분산투자는 의미없는 짓으로 될 회사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비록 손해를 넘어 회사가 사라져도 이와 같은 투자가 올바르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 투자하는 회사가 제로에서 원이 될 회사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러가지를 따져봐야 한다. 회사가 활동하려는 분야가 어떤 분야이고 이 회사의 미래가 어떨지 그려봐야 하고 회사의 CEO가 어떤 인물인지도 가늠해야 한다. 내가 투자하려는 회사가 독점이 가능한 회사인지 여부가 중요하다. 처음부터 독점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작게 시작한다. 페이스북 사례에서도 나오듯이 처음에는 대학이라는 아주 작은 장소에서 출발했지만 유일했고 독점에서 점점 커졌다.

"정말 중요한 진실인데 남들이 당신한테 동의해주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위 문구는 책 첫 장에서 면접 자리에서 자주 하는 질문이라고 한다. 위 질문을 읽고 한참을 고민했다. 결국에는 타인의 시선을 무시하고 내가 옳다고 믿는 바를 실천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용기가 만용이 되건 착각일 수도 있다는 무서움이 있지만 성공하면 대박이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이다. 우리는 남들이 동의하는 것에만 신경쓰고 노력한다. 이래서는 성공 가능성이 희박하다. 실패가능성도 낮을지 몰라도 어지간하면 성공하기보다 실패하기가 더 쉽다.

대부분 수평적 확장을 꿈꾼다. 독점을 하려면 수직적 확장을 해야 한다. 수평적 확장은 누구나 진입할 수 있다. 수직적 확장은 그 자체로 진입장벽이 되어 독점이 가능하게 된다. 흔히 기하급수라는 표현을 쓰면서 힘들지라도 기하급수를 달성해야 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기존에 없던 것을 들고나온 기업들이나 사람들이 성공한 방법이 바로 기하급수이다. 수평적으로 확장해서는 어느 순간 답이 사라지고 만다.

<제로투원>에서는 재미있게도 말콤 그래드웰을 대놓고 깐다. 상당히 두터운 팬층과 인기를 받는 저자인데 실제로 투자를 하며 성공을 한 투자자의 설명이라 피터 털에게 보다 호감이 간다. 책은 경영책이라 볼 수도 있고 투자 방법에 대한 책으로 볼 수도 있고 자기계발 책으로도 읽을 수 있다. 창업을 하고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에게는 힌트와 비전에 대한 설명에 집중하고 투자자에게는 어떤 기업에 투자할 것인지에 대해 힌트를 주고 무엇을 하며 살 것인지 궁금한 사람에게는 관련된 정보를 알려준다.

이럼에도 솔직히 책에 나온 사례와 설명은 나와는 좀 동 떨어진다는 느낌이 든다. 평범하게 사는 나에게 이처럼 거대한 기업에 대한 사례와 0에서 1이 되고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한다는 이야기는 큰 상관이 없게 보인다. 누구나 어느정도 각자 자신만의 강점과 할 수 있는 영역은 다르다. 자신에게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습득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용기를 실천하기 위한 준비도 필요하고, 자신을 알고 작게 시작하는 현명함도 중요하다.

스탠포드 대학에서 한 강의가 이 책의 출발점이라고 한다. 공동저자인 브레이크 매스터스가 그 강의를 꼼꼼히 필사한 후 블로그에 연재해서 피터 털과 연결이 된 후에 이 책이 나왔다고 하니 브레이크 매스터스는 의도하지 않게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독점으로 하게 되었고 용기를 갖고 블로그에 올려 자신의 가치를 기하급수적으로 올려 피터 털이라는 쉽게 상대할 수 없는 사람과 연결이 되었다. "정말 중요한 진실인데 남들이 당신에게 동의해주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물음에 아마도 기록을 블로그에 올린 것이라 말하지 않았을까?

그렇게 보자니 나도 내가 읽고 쓴 리뷰가 어느덧 올 한해만 200권이 되어가는데 이러면 독점이 된 것일까? 독점이 되었다면 기하급수적으로 나에게 불어난 것은 무엇일까? 아직까지는 내 자신이 이 부분을 독점으로 연결해서 사업적으로 풀지 못한 것일까? 아님, 독점이 아니기에 여전히 그대로인것일까? 국가의 개입이 없을 정도의 독점을 쟁취하는 것만큼 위대한 일도 없을 듯 하다. 그런 것이 나에게는 무엇이 있을까?

Peter PayPal hairy whether someone is with the word Facebook, but did not know whether anyone was not mentioned together. <Zero tuwon> is traded PayPal and now can be called a book telling about whether to invest in a company with investors in a position to invest in various companies as an investor. This investment has a significantly greater risk for investments is often called angel investors or venture. Diversification to compensate for the hair is absolutely Then Peter said to be bad. Diversification is to invest in the company to be a meaningless thing. Even beyond the damage to the company the right thing to disappear such investments.

To this end investment company that is the key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y will be a circle at zero. The weigh several things. Company field and see what areas you want to work, and whether to draw the future of the company shall be the company's CEO to gauge any person recognition. I whether the company is capable of monopoly, it is important to invest. Start small from the beginning, rather than monopoly. In the first case naohdeut Facebook grew more and more in an exclusive made only a very small place, but from a college.

"I will give them an important truth inde What does that do haejuji accept you?"
The above phrase is referred to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 the interview room in the first chapter of the book. Read the above questions were worried for a while. Eventually it requires the courage to ignore the other's gaze and practice what I believe is right. The fear that the vessel is manyong the corpses could be mistaken, but if you succeed, there is likely to be a big hit. The successful people have in common. We try to write only what others have to accept care. This is why the chances of success are slim. If not even less likely to fail without knowing eojigan more likely to fail than to succeed.

Many dream of horizontal scaling. To the monopoly should be a vertical expansion. Horizontal scaling can enter free of cost. Vertical expansion is a barrier to the entry itself is proprietary this possible. Geometry, although the term is often difficult writing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geometric method to achieve the water is actually carrying out successful companies and people that were not in the existing is the exponential. Not extend horizontally at any moment Manda gone unanswered.

<Zero tuwon> Interestingly Panels openly in the Grand Malcolm Wells. Fairly thick fan base and popularity inde authors actually receive investment and crush goes more to explain called Peter fur investor success. The book may be seen as a book on how capital and investment management seen as a book and can be read as a self-development books. Focused on explaining the establishment and for hints and vision to those who operate a business and have to give a hint about whether to invest in a company, and it tells the investor what questions related to people if they want to buy.

Takin me to be honest practices and descriptions shown in the book feels a little less copper is. Plainly one story that is developing exponentially in the cases and 0 for buying me such a huge company seems not a big matter. Everyone has different strengths and areas that can be their own to some extent. Maybe it will be important to learn and practice the part that can be applied to them. This requires the vessel. Requires courage and readiness for action,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your own smarts to start small.

A lecture at Stanford University called the starting point of this book. Brake Masters is co-author of the lecture to do this book are facing after the connection and then carefully transcribed by Peter hairs on your blog Brake Masters series unintentionally became a monopoly on what they need to do is to have the courage to blog up was the easy connection of people and can not contact your own value exponentially Peter hairy. "What is really important truth inde haejuji others do agree with you?" Probably did not say will raise the question of the records on the blog?

So I let you slip away Could I have read reviews written 200 books this year is only going isnt that a monopoly? What I bring is a geometric progression me if this monopoly? Does it still have my own connection to this part of the exclusive loosen up a business? Or, does monopoly ahnigie still intact? Just won the state monopoly which is not the intervention of the great things there than it seems. Could that be what to me?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