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글 잘 쓰는 기술 - 읽고 쓰기(Article writing skills well-read and write)

글 잘 쓰는 기술을 얻게 된다면 영혼이라도 팔 수 있을까? 부자가 되기 위해 영혼이라도 파는 우회가 있는 것처럼. 영화중에 <리미트리스>의 내용이 그렇다. 뇌를 최대한 활성화시키는 약을 우연히 먹게 된다. 별 볼일 없던 작가였던 주인공은 그 약을 먹고 하루만에 쓴 소설이 난리가 난다. 하루만에 글을 잘 쓰게 된다. 글을 잘 쓰게 된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독자들이 좋아하는 글을 쓸 수 있는 능력까지 얻었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애매모호하다. 어떤 글이 잘 쓴 것인지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글쓰기에 대한 책을 읽으면 이런 저런 좋은 글에 대해 알려주고 예시도 보여준다. 사람들이 글을 잘 쓴다는 작가들이 있다. 그 작가들의 글이 유명해서 잘 쓰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인지 여부도 개인적으로는 의문이다. 누구에게나 호불호가 있다. 모든 사람이 전부 다 좋아하는 것이란 절대로 없다. 그건 비자발적일때나 가능하다.

좋은 음악을 만들려면 좋은 음악을 들을 줄 아는 귀가 우선이다. 마찬가지로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좋은 글을 보는 것이 우선이다. 내 문제는 여전히 어떤 글이 좋은 글인지 판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전제조건이 많은 글을 읽고 그 중에 좋은 글을 읽으며 필사도 하고 흉내도 내면서 자신만의 필력을 얻는 것이라 볼 수 있을때 도대체 내 자신이 좋은 글에 대한 판별을 못하니 좋은 글이 나오기 힘든 것일까?

글이란 내가 전달하고 싶은 것을 나타내는 도구로 생각하는 측면이 강하다. 좋은 글을 쓰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생각을 글로 풀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다 최근에 들어 글쓰기에 대한 책을 집중적으로 읽고 있다. 추가적으로 책을 쓰는 것에 대해서도 말이다. 대체적으로 읽다보니 기술을 알려주는 책과 본질에 대해 알려주는 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런 책을 읽으며 도움이 된 측면도 있고 공감한 것도 있고 동의한 것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읽지 않았다고 달라질 것은 없기도 하다.

아마도 내가 글쓰기와 책쓰기에 대한 강의를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면 지금도 읽지 않았을 것 같다. 남에게 무엇인가를 알려주기 위해서는 감이 아니라 이론적이 면까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뒤늦게 관련 책을 읽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올 해 후반기에는 엄청나게 많이 읽었는데 조금은 지루해지기도 한다. 이것도 비슷하게 좋은 말의 반복이라는 느낌도 들어서. 그럼에도 아직 읽으려고 쟁겨놓은 것이 몇 권 더 있다. 반복되는 주입에 좀 지친 듯도 하다.

If I get to write well and write technique could sell even a soul? As a bypass to sell any soul to become rich. Then, the contents of the film <Limitless>. Drugs that activate the brain happens to eat as much as possible. By Cobblestone unprecedented writer who was the hero flies the chaotic novel written in a day to eat the medicine. The only good to write an article a day. It is also important that well give up the ability to write an article, but the reader can use your favorite text.

Writes an article well it is ambiguous. Can you talk confidently whether any article is well written? Reading a book on writing a good article tells about these and other shows exemplary. There are writers who're writing a good article. Even if the author of this article and want to feel as well-known for writing the questions personally. Everyone has hobulho. Never rea not everyone likes everything. When it is possible or involuntary.

To make good music is the home knows how to listen to good music first. Similarly, in order to write a good article is a priority to see a good article. My problem still can not determine what the article is a good article. Read a prerequisite for writing good articles and reading good writing many articles and imitation even among those desperate to see even when throwing will get a pilryeok own hell myself do not discriminating about good writing is good writing out does hard?

This article is a strong aspect of thinking as a tool to indicate that I want to transfer. Rather than trying to write a good article I have tried to find release in writing. Then recently begun reading a book on the writing-intensive. In addition, says about writing a book. I generally read as indicating the technology can be divided into a book that tells you something about the book and nature. Side read this book helpful and have also agreed to be a sympathetic hand, but did not read it eopgido is different.

I probably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writing and teaching of writing seems to not have to read the book now. Because we need to know in order to tell something to the South to the theoretical sense, but the face was too late to read the relevant books. To do that, I read an awful lot of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nd has accentuated a bit bored. This also repeated that feel good also heard similar words. Nevertheless, there is a few more books yet jaenggyeo've tried to read. It is a little tired of the repeated injection deutdo.

<글 잘 쓰는 기술>은 기술에 대해 알려주는 책처럼 제목이 되어 있지만 기술보다는 글을 쓰는 자세와 마인드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글을 잘 쓰는 기술에 대해서는 내가 읽은 바에 의하면 '많이 읽어라'다. 많이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먼저 읽는 것이 먼저라고 한다. 이는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처음부터 뜬금없이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사람은 없다. 글을 잘 쓰고 싶다는 계기나 이유가 있게 마련이다. 

무엇이 먼저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글을 잘 쓴다고 이야기를 듣는 사람치고 많은 글을 읽지 않은 사람을 본 적이 없다. 타고난 글쟁이란 없다. 다른 분야에는 '타고난'으로 시작하는 천재가 있을 수 있다. 그에 반해 글쓰기는 절대로 그런 천재는 없다. 철저한 노력의 산물이다. 그 노력이 단순히 죽어라고 책상에 앉아 글을 쓴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더 어렵다. 글을 잘 쓴다는 아웃풋이 있기 위해서는 그 전에 먼저 인 풋이 있어야 한다. 그게 바로 읽는 것이다.

좋은 글이 무엇인지 나처럼 판단할 능력이 없더라도 여하튼 읽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글을 쓰게 되고 자연스럽게 형편없는 글이 나오지 않는다. <글 잘 쓰는 기술>의 저자는 몇 권의 책을 펴내기도 했지만 지금은 사람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치는 입장이다. 젊은 사람이 아니라 나이가 아닌 연세가 있다. 이러다보니 책은 조금 더 통찰력과 경험이 녹아있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글쓰기는 소설에 좀 더 치중되어 있다.

글을 쓰는 것은 크게 소설과 에세이로 나눈다. 영어로 말하면 픽션과 논픽션이다. 어느 글이든 둘 중의 하나에 속한다. 픽션에 논픽션이 들어가기도 하고 논픽션이지만 픽션이 어느 정도 가미되기도 한다. 그래야 글이 좀 더 윤기있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담백한 글은 담백한 글대로 읽을 수 있지만 나혼자 쓰는 일기가 아닌 남이 읽을 것을 전제로 한 - 거의 모든 글은 타인이 읽을 것을 전제로 한다 - 글은 읽는 사람이 재미(감동,정보, 기타등등)가 있어야 한다.

글을 쓰고 싶은 사람에게 글을 쓸 수 있게 단순하게 독려하는 것으로 끝나는 책이 아니라 직접 실천할 수 있게 해 준다. 각 챕터마다 글을 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막연하게 어떤 글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면 책에서 소개된 주제와 소재를 갖고 쓰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실천하기 위해 챕터마다 직접 해야 할 것을 알려줘서 그대로 따라하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직접 코칭을 받는 것은 아니여도 그 정도면 괜찮지 않을까싶다.

내가 지금까지 쓴 글은 전부 에세이류였는데 소설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나에게 멋진 소설을 쓰는 것만큼 멋진 일이 또 있을까? 그만큼 어렵고 힘들고 뼈를 깎는 노력을 요하는 글쓰기지만 보람이 더 클 듯 하다. 솔직히 최근에 글쓰기와 책쓰기 책을 읽으며 글을 더 안 쓰고 있다. 이건 완전히 인지부조화다. 열심히 글을 쓰고 책을 쓰기 위해 읽고 있는데 정작 글을 오히려 못 쓰고 있다니 말이다.

<글 잘 쓰는 기술>은 가볍게 택해 읽을 수 있다. 어려운 말 하지 않고 편하게 글 쓰기가 어렵다고 하는 사람에게 어깨를 토닥토닥해주며 '그럴때는 말이지'하며 이야기하는 느낌이 든다. 

<Article well written Technology> is like a book that tells you something about the technology, but technology is the subject rather than the book tells about the attitude and mindset of writing. For technical writing well is according to what I read, read a lot. It is important, but rather a lot of writing is called first to read first. This is a natural flow. No one wanted to write a good article in the first place without tteungeum. There are bound to be an opportunity or reason to want to write good articles.

What is striking that the first person to write sseundago good to hear, but not sure I've never seen a person that is reading the many posts. There are no innate writer?. Other areas, there may be a genius, starting with "innate". Whereas writing is absolutely no such genius. Is the product of a thorough effort. Rather than make the effort to be more difficult to write sseundago sitting at a desk that is simply to die. In order for the output writes an article well before that should put this in first. Will it read immediately.

Even if they do not have the ability to look good writing is judged as somehow read what I unwittingly wrote an article and poor writing does not come naturally. The author of the <article well written Technology> but pyeonaegido several books and is now teaching a writing position to the people. This young man has not the age but the Yonsei. Cr book I melted a little more insight and experience. Writing is a story in the book is more focused on the story.

It is divided largely into writing novels and essays. Words in English is a fiction and nonfiction. Or any article belongs to one of the two. Fiction and non-fiction non-fiction also enter, but also become a fiction tinge to some extent. So that the article can read a bit more polished and fun. Plain text is read as plain text, but nahonja diary is no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you read someone else - almost every article presupposes that others are reading - writing is the reader should have fun (touching, information, etc.) .

The book ends as well as encouraging simply be able to write an article for those who want to practice writing makes it possible directly. Each chapter presents a method that can each write. It seems vaguely what if I do not know what to write good articles also have a theme and write the material presented in the book. Each chapter can be directly told me about that practice seems to be okay to follow as is. It also would like to directly receive coaching is fine if that's because the degree.

So far I have written this article I wanted to write a story was told all current essay. Hey, how large a wonderful thing to write to me just think no matter how great novel? So difficult and hard to the bone, but writing it seems worthwhile endeavor that requires a larger mower. Frankly recently read a book, write a book writing and not writing more articles. It is completely cognitive dissonance. The book hard to read and to write and write and write an article says itdani rather not get jeongjak article.

<Article well written Technology> can read the taekhae lightly. Comfortably without hard pat pat on the shoulder to say it gives people who have difficulty writing a letter 'es when it' and feel to the story.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