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블랙스완에 대비하라 - 극단값(The black swan on robustness and fragility - Extreme values)

블랙 스완은 이제 너무 유명하다. 검은 백조는 없다 생각했는데 검은 백조가 있다. 엄청난 사실로 시작하는 <블랙 스완>은 초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금융 위기 직후에 이 책은 더더욱 인기를 끌었다. 예측한 것이 아니었음에도 예측한 예언가가 되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고 책의 저자인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를 일약 유명인으로 만들었다. 이름 부르기도 어려운 나심은 <블랙스완>이 전 세계적으로 300만부가 팔렸다고 한다.

이 정도면 엄청나게 많이 팔린 책인데도 - 경제 경영 서적이 이 정도면 읽을 사람은 다 읽었다는 뜻 - 나심은 책으로 부자가 되지 않았다고 한다. 전용 비행기는 어디까지나 헤지펀드를 통해 벌었을 뿐이고 <블랙스완>으로는 고급 스용차를  살 정도라고 말하는 배포와 재수없음을 보여준다. 수익에는 별 영향이 없지만 덕분에 평소에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있었고 자신의 말을 사람들이 무시하지 않게 된것을 스스로 즐기는 듯 하다.

<안티프래질>은 아직까지 읽지 않았는데 개인적으로는 <행운에 속지마라>가 최고라 본다. 페이지가 길지도 않고 내용이 어렵지도 않고 읽기에도 재미있는 책이다. 갈수록 책이 두꺼워지는데 이유는 모르지만 할 말이 갑자기 많아 진 것이 아닐까 한다. <안티프래질>을 읽지 않아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블랙스완>이나 <행운에 속지마라>는 전부 중심 내용은 동일하다. 늘 어떻게 될지 모르니 '조심해서 투자하라'이다.

나심 니콜라스 타레브는 그렇게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 운영하고 있는 자본이 일반인들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이다. 운영하는 방법이 달라야 되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 그 점은 책을 읽는 사람이 유념해 둬야 한다. 대부분의 자산 운용 책에서 언급하고 제시하는 포트폴리오는 부자들을 상대로 한 방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부자는 현금이 최소 10억은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이런 책을 읽고 유념할 필요는 있지만 이런 책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솔직히 다른 나라 이야기다.

<블랙스완에 대비하라>에서도 이야기하는 핵심은 극단값을 늘 기억하고 자산배분을 하고 투자를 해야 한다고 알려준다. 아무리 투자를 잘 하다가도 어느 순간 생각지도 못한 <블랙스완>을 만났을 때 극단값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극단값의 상황이 벌어졌을 때 속절없이 당한다. 그런 이유로 85%정도는 보수적인 안정한 투자를 하고 - 어쩌면 투자라고 할 수 없을수도 있다 - 15%정도를 위험을 감수한 투자를 한다.

Black Swan is now so famous. I do not think there is a black swan black swan. <Black Swan> starting with tremendous fact was the second best-selling. The book attracted more and more popular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Empty predicted to not be predicted is the Prophet drew a worldwide popular author Nassim Nicholas made the ride of a book by Rev. celebrity fame. Name calling is also difficult Nassim <Black Swan> This should have sold 300 million copies worldwide.

Incredibly enough, even though the book-selling-economic management, this is enough to read books people read it mean - Nassim and did not get rich by the book. Merely a private plane is strictly hedge funds earned through <Black Swan> to show the distribution and not say enough bad luck to buy a luxurious cars. But has little impact on earnings could meet someone you want to meet, thanks to the usual, his words seem to enjoy themselves, paying people not to be ignored.

<Anti-au raejil> looks Personally <luck Do not be fooled by> a la the best I did not read yet. The page is an interesting book to read but also more difficult to do this giljido. This book gets thicker makin wonder why it is, but it is true to say more suddenly. <Anti-au raejil> to read because I do not know exactly <Do not be fooled by the good luck> <Black Swan> or are all the same information center. I never know whether the increase "Invest with caution.

Nassim Nicholas Rev has no other choice but to talk that way. The working capital, which the general public is unimaginable. What a way to run it is very obvious that not be the same. That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person reading the book. Portfolio mentioning presented in the book is how most of Asset Management, and against the rich. The rich used here are based on the person who is at least 1 billion cash. But need to keep in mind that most people reading this book, the story honestly have read these books in other countries.

<Prepare for Black Swan> in the core of the story is always remember the extreme value and the asset allocation and should inform the investment. No matter how well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vestment hadagado moment when I met who thought the map <The Black Swan> but not ready for an extreme value gets hit without always brings an extreme value when beoleojyeoteul. That's why 85% is a conservative and stable investment - investment may not be able to say perhaps - and the investment risk of approximately 15%.

평소에 안정한 투자를 하다 극단값에 투자수익과 손실이 결정될 때 손실은 적게 막을 수 있고 이익은 크게 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평소에는 지지부진한 투자수익을 내겠지만 어느 순간 <블랙스완>이 나타났을 때 내 투자는 엄청나게 요동치게 된다. 이럴 때가 바로 내 자산을 크게 불릴 수 있는 기회로 이용하는 것이 블랙스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전형적인 부자의 투자방법이라 할 수 있다.

아쉽게도 지극히 평범한 개인들은 이런 방법으로는 부를 형성하기에는 요원하다는 한계가 있다. 1,000만 원으로 850만 원을 예금에 넣고 150만 원을 극단값에 해당하는 투자를 한다고 큰 의미가 있을까. 큰 의미가 없다. 어쩔 수 없이 개인은 극단값을 찾아다녀야 하는지도 모른다. 분산 투자가 아닌 집중 투자를 해야만 의미있는 금액이 되고 자산이 늘어난다. 모든 사람에게 획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그렇다.

재미있는 것은 건강 관리도 <블랙스완을 대비하라>에서 읽어보면 나심은 극단적으로 한다. 먹을 때 폭식하기도 하고 하루 종일 아무것도 안 먹는 금식도 하고 운동도 몸이 골아 떨어질 정도로 한다. 과거에 배가 고프면 움직이며 사냥을 했다. 고대에는 뚱뚱한 사람이 없었다. 꼭 삼시세끼를 먹지도 않았다. 자신은 그렇게 해서 건강한 몸을 유지한다고 하는데 사진으로 보면 그럴 정도는 아니라고 느껴지지만 그래도 묘한 설득력이 있었다. 어쩌면 권위의 굴복인지도 모르겠고.

나름대로 경제 경영 서적을 10년이 넘도록 꽤 읽었다. 처음에는 읽으면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믿었지만 이제는 최소한 이해는 못해도 읽는데는 큰 지장인 없다고 믿는다. 어디까지나 현실과 상관없이 믿는것인데 읽기 어려운 책을 읽으면 내 자신의 부족함을 탓하며 읽었다. 가끔 <블랙스완을 대비하라>와 같이 책을 읽기에 상당히 어려운 책을 만나면 내 수준을 절감하기도 하지만 번역을 의심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나심의 책을 읽었을 때 내용이 어렵기는 해도 재미있게 읽었다.

책이 얇아 빨리 읽을 수 있다는 생각에 읽었는데 읽는게 쉽지 않았고 책의 구성도 다소 산만하다. 초반에 기자들이 이야기를 하고 나심이 한국에서 강연한 걸 수록했고 뒷 부분은 나심이 이 책을 쓴 것인지 명확하지 않지만 자신이 엄청 잘났다고 하는 저자이기는 해도 그만큼 책을 좀 더 성의있고 집필해서 출판해야지 이렇게 <블랙스완>이 성공했다고 마구잡이로 출판하는 것은 좀 아닌 듯 하다. 전용 비행기를 탈 정도로 돈도 아쉽지 않고 <블랙스완>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고 학식도 인정받은 분이 말이다.

역시나 시리즈 물에서 중요한 것은 원본이고 1편이다. <블랙스완>이  성공한 후에 꽤 많은 아류작이 다른 사람을 통해 저자 자신을 통해 출판되었는데 <블랙스완>만 읽으면 될 듯 하다. 생각해보니 정작 나는 검은 백조를 본 적이 없다. 책이 나온 후에 세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저자에게 검은백조 자신을 찍어 보내줬다고 한다. 나는 보지도 못했는데 믿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 된다.

It is a stable investment is usually lost when the investment income or loss determined in less extreme values can be prevented, and profit is the key to be able to see the configuration significantly. Usually, but not in a poor return on investment is any investment in the moment when the <Black Swan> Burnout appeared incredibly hit bumps. Time may be right to the core of the Black Swan used as an opportunity to greatly called my assets for this. A typical method of investing can be called rich.

Unfortunately, these individuals are very common approach is that it limits a form hagieneun agents. Does that mean that a large investment that corresponds to the extreme value of 1.5 million won to 8.5 million won to put in a deposit of 1,000 won. There is significant. Individuals may have no choice but to attend to find extreme values. This amount must be meaningful, not investment intensive investment and increasing the assets distributed. How can uniformly applied to all people is not so, as a rule.

The funny thing is health care also we read in the <Get ready for Black Swan> Nassim is extremely. Often overeat when you eat and nothing to eat all day fasting and so also exercise the body will fall asleep. Gopeumyeon move and has doubled in the past hunting. In ancient times, there was no fat people. Do not even eat three meals samsi. He is so much to do to look at a picture that maintaining a healthy body, but still could not feel a strange sense. Maybe moreugetgo succumb recognition of authority.

Own economic well read for more than 10 years of management books. At first read, but believed that it is no wonder you do not understand what is read without having at least understand now believe that there is a big obstacle. Strictly geotinde reality and believe regardless read and read and read difficult books because of my own lack of. Sometimes <Get ready for Black Swan> encountered a very difficult book to read a book together with my level, but also may reduce doubts translation. Now is the time to read the book of Nassim even more fun to read this eoryeopgineun.

I read on the idea that the book is thin, I quickly read the configuration of the book is not easy to read even a little distracting. Reporters early in the story and what Nassim was more a lecture at the back of the Korea Nassim so this ought to be winning published author natdago very handsome unclear whether he wrote this book that much more sincerity and some books and articles <black Swan> It seems to me that, not at random that publication a success. Enough money to ride the private plane without shame <Black Swan> says becoming a world-renowned and recognized even literate minutes.

The first part is the important thing figured in the original series. <Black Swan> was published by the author himself through quite a lot of other people ahryujak after a successful <Black Swan> but it seems to be reading. I think he jeongjak I have never seen a black swan. After the book came out and gave the authors to send thousands of people to take their own black swan in the world. I get to the fundamental Have not had not even questioned whether they believe.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