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일생에 한 번은 고수를 만나라 - 멀리서 찾지 마라(Meet the stick once in a lifetime - do not find the distance)

고수라는 단어에는 어딘지 모르게 우러러 봐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고수라는 단어가 무협지를 떠올리다보니 무척 거창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투자쪽에서 하도 '고수' '고수'하다보니 서로 부담스러워하는 단어가 되어버렸다. 내가 무슨 고수이냐는 손사례를 치는 상황도 생겼다. 고수 단어가 갖는 무게감에 다들 기피한다. 그 누구도 자신이 고수라고 하지 않고 남들은 고수라고 하는 웃지못할 상황이 되어버렸다.
The term adherence feel like you have to look up somehow. The words seemed to stick in prayer so I abandoned it tremendously and scoop up the muhyeopji Primer 'stick' stick 'side, investment is a word that unnerving to see each other. What I stick yinyaneun situation looks even beat the hand practice. Everyone should avoid the heavy words with a stick. No one is without the others that he adheres to become a situation that can not laugh at us masters.

맞다! 고수는 그래야 한다. 자신이 스스로 고수라고 하는 웃긴 상황을 본인이 모른다면 고수가 아니다. 자신은 아니라고 해도 주변에서 인정한다면 그가 고수다. 정작 진짜 고수들은 가만히 있는데 엉뚱한 인간들이 고수입네하면서 떠들고 다니는 현장을 많이 목격하게 된다. 분야에 따라 고수의 정의는 다르겠지만 일초의 의심도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사람이 고수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That's right! Coriander is so. The funny situations that he adheres to adhere to if you do not know yourself not. If he is not even admit he's sticking around. Jeongjak real sticks are still there to witness a lot of silly humans around chatting with your gosuip site. Different definitions of adherence, according to the field, but a person recognized by many people without a doubt one second, we know that the stick.

고수에게 어떻게든 잘 보이려 하는 경우도 많다. 세상의 고수는 많다면 이 사람 저 사람중에 어떤 고수에게 내 실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할 것인지 고민하는 경우도 제법 많다. 고수에게 잡아먹히는 경우도 있는데 그걸 모르고. 책 제목인 '일생에 한 번은 고수를 만나라'처럼 고수를 만나 자신의 실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지만 고수라고 꼭 나와 같은 상황도 아니고 서로 차이가 있기에 적당히 원하는 것만 얻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데 너무 많은 것을 바라고 따르다 보니 사건, 사고가 생기는 경우도 많다.
In many cases, well somehow it visible to adhere to. If you are contemplating whether to try to grow my skills in adherence to any person if he adheres much of the world, there are many recipes. In some cases eaten to adhere knowing it. Meet adhere to the book title like "Meet the stick once in a lifetime 'efforts to grow their skills, but also means not shown that such a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adhere properly just want to try to get Because so much hope that follow different procedures I case, in many cases, an accident occurs.

지금까지 투자 세계에서 고수들과 벌어지는 이상한 상황에 대해 말을 했는데 이 책에서 말하는 고수는 투자의 고수가 아니라 자신의 분야의 고수를 의미한다. 책의 뉘앙스를 볼때면 저자 자신도 스스로 고수라고 말하는 듯 하다. 자신이 이렇게 한다는 언급을 꽤 많이 하는 걸 보면 자신이 고수라고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것과 다름없어 보인다. 고수라고 해서 대단한 인물을 뜻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특정 분야에서 잘 한다는 것을 인생을 잘 살아간다는 것으로 착각하면 안 된다.
So far in the investment world was going to say about the strange situation with coriander coriander mentioned in this book is not meant to adhere to adhere to the investment in their field. If I see the nuances of the book is the author himself seems to say that adhere themselves. When I mention that they are so pretty much looks like nothing more than to tell the people that they are adhered to. It means that it is never a big stick figures. If you think they live a good life going well in certain areas that are not.

특정 분야에서 엄청난 실력자로 우리가 우러러 보는 사람이 어느 날 추락하는 것을 보게 된다. 대부분 자신의 분야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아가는 것과 그것은 또 다른 의미다. 그렇기에 더더욱 우리는 고수의 모든 것을 따라하려 하기보다는 그가 갖고 있는 것 중에 특정한 부분을 노력해서 흉내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오랜 시간동안 갈고 닦아 의미 있는 자리와 신분과 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을 하루아침에 따라잡을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With huge wheels in certain areas the people we look up to see one day you will see that the fall. Most would not cause problems in your field. That living a life that's another meaning. So more and more we are committed to a particular part of the things he had to, rather than trying to stick everything should be in accordance begin to imitate. It is natural for people to wipe sharpening, which means that for a long time, place and identity and status, you can not catch up overnight.
책을 읽으며 딱히 '아~~ 그렇구나!'하고 깨닫거나 무릎을 탁치며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없을지라도 많은 부분에서 공감하고 고개를 끄덕이며 읽었다. 내용이 딱히 어렵거나 깊이 들어가지 않고 평이하게 고수에 대한 특징과 그들이 사는 방법과 어떤 식으로 인간 관계를 맺는지 등에 대해 알려주고 있어 편하게 읽을 수 있다. 고수가 나와는 어떤 점에서 다른지 책을 읽으며 하나씩 비교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듯 하다.
Reading books no apparent 'Aargh! I see! "And realize even if there is a panoramic knee or beating their newly learned facts agree in large part to read nod. How content is a particularly difficult or rather plain to go in depth features on the stick and they live with it and not to bear a relationship to inform about any way you can read comfortably. It shows the adherence to compare different one reads a book at some point seems to be a decent way.

고수라고 해서 책에 나온 모든 것에 다 부합되지는 않는다. 굳이 꿰어 맞추는 것도 있다. 모든 고수들은 각자 자신의 스타일이 있다. 그럼에도 고수라는 호칭을 듣는 사람은 무엇인가 다르다. 획일적으로 규범화 할 수는 없지만 느낌이 다르다고 할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사람들과 차이를 평소에는 느끼기 힘들다. 상장 기업 사장이라 기사가 있는 차를 타고 다니면서 눈에 확 두드러진 사람이 고수라고 할 수는 없다. 사장이다. 사장이 고수와 같은 의미는 분명히 아니다.
That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stick everything in the book. There is also deliberately threaded fitting. All sticks are each have their own style. Even the title of adherence to hear what different people applied. You can not standardize a uniform is different from feeling do. I usually look at the people around us, the difference is often difficult to feel. Not attending public company president called a car with outstanding articles can be said to confirm adherence to human eyes. Is president. Means the president, such as adherence is not clear.

그에 반해 아주 평범하게 보여도 어느 순간 돌변해서 빛을 발한다. 고수는. 그런 사람은 함께 이야기를 나눠보거나 일을 해보면 안다. 무엇인가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자기만의 확고한 철학과 원칙이 있다. 유연하지만 돌처럼 무겁기도 한다. 무엇보다 함께 이야기할 때 자신이 고수라는 겉멋 든 느낌이 들지 않는다. 나와 동등한 한 인간으로 똑같이 이야기한다는 느낌을 갖도록 해준다. 같은 인간이니 당연한 것처럼.
In contrast, one moment may look quite plainly turns around and shines. Coriander is. Then who knows what haebomyeon view and talk together. What it Is quite different. Have a firm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his own. Flexible, but also heavy as a stone. What geotmeot any sense that he does not like when you speak with a stick than. It makes sense to have the same story as equal human with me. Am as human as natural.

이 책인 '일생에 한 번은 고수를 만나라'는 저자가 직접 다양한 고수를 만나 이에 대해 풀어 낸 책으로 알았다. 책에는 저자가 직접 만난 사람들중에 고수라고 할 만한 인물을 실명까지 알려주면서 특징을 알려준다. 익명으로 고수라고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인물도 언급을 하는데 나도 모르게 떠 오르는 인물이 있어 괜히 확인하고 싶은 욕구가 일기도 했다. 여러 책들에서 사회에 성공한 사람들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 많다. 자기 계발서적들은 거의 대부분 그렇다. 이 책은 그 분야를 '고수'라고 통칭하여 설명하고 소개하고 알려준다.
The book "Meet the stick once in a lifetime 'is found in the book to embellish the author directly meet a variety of stick for this release. Book, mentioned by the blind person might be known as the author tells the people I met during direct adherence characteristics. Anonymous stick people know that although it is not quite figure even to mention, I'm left knowing that this figure rising desire to check weather was also vain. This book tells a lot about the people in the community in many successful books. Self-development books are so nearly. This book tells introduces and describes collectively as 'stick' to the field.

책을 읽을 때는 재미있게 읽었는데 막상 리뷰를 쓸때면 어려울 때가 있다. 그런 경우는 대부분 너무 여러 책을 통해 익히 잘 알고 있는 내용을 읽었을 때 그렇다. 책 내용은 괜찮고 좋은데 이 책에서 딱히 리뷰를  쓰기 위해 떠오르는 내용중에 따로 언급하기는 좀 애매하다. 그런데 일생에 한 번은 고수를 만나라고 하는데 우리는 늘 고수를 만나고 있다. 우리 일상 생활에서 수많은 고수들을 만난다. 우리가 의식하지 않고 있어 그렇지. 주변에 있는 청소하는 분도 호떡을 파는 분도 다 고수다. 자신의 영역에서 남들보다 더 노력하고 일정 수준이상의 실행력을 통한 결과를 보여주는 사람이 바로 고수다. 거창하게 사회나 회사에서 최고의 자리에 있는 사람만이 아니라.
There are times when you read a book difficult to face when writing a film review, I read a lot of fun. So when I read that if you learn what is most familiar with too many books. Fine and good information is obscure little book is to separate the contents rising no apparent mention to write a review on this book. But we have always adhered to meet that met the stick once in a lifetime. We met a number of sticks in their daily lives. If we're not conscious. Less than a minute to clean up in the area who can sell the stick all the Hotteok. More effort than others in their area, and a person with a certain level of results showing the ability to execute the right stick. Tremendously, not just the person in the best position in society or company.
.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