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읽기의 힘, 듣기의 힘 - 자기화(The power of reading, listening to the force-magnetized)

일본은 오타쿠라는 사람들이 있다. 일반인임에도 전문가를 능가하는 지식을 자랑하는 사람들이다. 어지간한 전문간보다 더 몰입하고 집중해서 전문가도 혀를 내두를 정도로 관련분야에 대한 상상할 수 없는 능력을 갖고 있다. 잠 자는 시간도 줄여가면서 거의 미친듯이 몰두한다. 독서와 관련되어서도 이런 사람들이 꽤 많다. 어떻게 저렇게 많은 책을 읽고 그를 지식으로 풀어낼 수 있는지 도저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우리나라에도 독서가라고 할 만한 사람들은 꽤 많지만 일본처럼 독서만으로 의학 전문지식을 의사만큼 해 낼 정도의 독서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일본의 무서움은 이런 점이다. 우리에 비해 2배가 넘는 인구가 있어 가능할 수도 있지만 독서만으로도 독학으로 특정 분야를 전문가수준으로 해내는 걸 보면 장난이 아니다. 우리에 비해서 독서가라는 이유만으로 존경을 받고 여러 곳에서 강의도 하는 사람이 있다.

그 중에 한 명이 다치바나 다카시다. 이 사람도 괴물이라는 표현을 뛰어넘는다. <읽기의 힘, 듣기의 힘>은 일본에서 다치바나 다카시를 포함한 세 명이 한 강연과 토론을 책으로 펴 낸 것이다. 그 중에 다치바나 다카시의 강연이 핵심이고 토론도 그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조금은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읽었는데 생각만큼 책이 좋지는 못했지만 역시나 모든 책에서 우리는 무엇인가 얻을 것이 있다.

읽기와 듣기중에 당연히 듣기가 먼저다. 들을려면 먼저 말하기가 있어야 한다. 말하기는 인간의 말 뿐만 아니라 나에게 들려오는 모든 소리를 말한다. 소리가 있어야 내가 들을 수 있다.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상대방의 말을 들어야만 하고. 대부분 듣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고 책에서도 그렇게 언급하지만 기본적으로 말하기가 전제된다는 판단이다. 다소 뜬금없는 생각이었지만 책을 읽다보니 그런 생각이 들었다.

책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
'수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 곳에 딱 한 권의 책이 있다.
 수 많은 책이 있는데 딱 한 사람만 살고 있다.'

Japan has called otaku people. The people who boast the knowledge that surpasses the public being professionals. Is quite a bit more than a professional commitment between experts and have the ability to focus on relevant areas so I can not imagine a naedu tongue. As some sleep also reduces the time it occupied almost uncontrollably. Ought associated with quite a lot of people reading this. I like that a lot of people can not even imagine reading a book that can hardly be solved with the knowledge of him.

There are many people in our country to go well worth reading medical expertise, know that reading is not only read like the Japanese could try going to a degree by a doctor. The Japanese horror is this regard. Although there may be more than twice the population compared to our self-study by reading only certain areas are done professionally is not a joke look at things. Admired than just reading garaneun why we have someone who is also in many parts of the river.

One person in the Takashi Tachibana. This person goes beyond the term monster. <Power of reading, listening power> will embellish turn to three people, including a lecture and discussion in Japan Takashi Tachibana book. That during the lecture and discussion of key Takashi Tachibana also achieved around him. As I thought I did a good bit of the book I read as a judge would be able to read all the books in lightly figured we would get something.

Listening is the first course in reading and listening. Should first speak to them. Says the sound is heard speaking to me, as well as all human words. I have a sound can be he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and only listen to the other side of the horse. Listening is the most important, most saying that it is mentioned in the book, but we believe that the assumptions are basically saying. Although some tteungeum not think I read a book that I think I heard this.

This content comes in the book.
'You have just one book where many people live.
  There are many books can only live just one person. "

책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결국엔 인간이 먼저라는 이야기다. 수 많은 책을 읽어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다. 맨 땅에 헤딩하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어 불을 피고 사냥을 하고 각종 도구의 활용방법을 배워 혼자 살아 갈 수는 있다. 과연, 이런 삶이 행복할까? 언제까지 살아갈 수 있을까? 수 많은 책으로 수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게 되었지만. 반면에 책은 딱 한 권이 있지만 수 많은 사람이 있다면 그 자체로 수만 권의 책과 마찬가지다. 그 사람들 중에 누군가 책을 쓰면 책은 어느덧 수 만권의 책이 나온다.

인간에게는 인간이 우선이다. 책은 보조수단이다. 그렇다고 인간관 관계와 경험이 우선이라며 무조건 책을 폄하하는 사람도 꼴불견이다. 인간의 직접 경험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 한계를 벗어날 유일한 방법이다. 인간 관계가 서툴거나 내성적인 사람에게도 책은 훌륭한 도구가 된다. 이미 인간이 많은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책은 그래서 필요하고 중요하다. 한 명씩 한 명씩 만나 그들의 경험을 듣거나 함께 공유할 수 없기에.

청각 장애가 있는 아이에게 1살이 넘어 기계장치를 귀에 심어 주면 아이가 처음에는 깜짝 놀란다고 한다. 자연스럽게 소리를 받아들이는 적응과정을 거치지 않았기에 무서움까지 느낀다. 평소에 드럼을 재미있게 치던 아이가 장치를 한 후에 드럼을 치며 내는 소리에 반응을 하며 즐거워 한다. 귀에서 소리를 받아 들여 뇌에서 활성화 되는 과정에는 약 100만 개 정도의 신경전달이 필요한데 이 장치를 통해 대략 20개 정도만 활성화되는데 점차 뇌가 적응을 한다. 이런 글을 읽으면 참 신기하다.

한 권의 책을 내기 위해서는 100권의 책이 필요하다고 한다. 1000권의 책이 될때도 있는데 그럴때는 너무 과도한 정보와 지식으로 넘쳐날 때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나도 투자와 관련 책을 쓸때는 별 무리없이 글을 쓰고 관련 내용이나 책등이 떠오른다. 지금까지 읽은 관련 책이 최소 수 백권은 되니. 반면에 글쓰기 관련 글은 여러 상황이 맞물렸지만 다소 힘겹다. 글을 쓰기는 했으나 관련 책을 상대적으로 덜 읽었기에.

읽기는 결국에는 듣기다. 상대방이 말하는 것을 최대한 잘 듣는 사람이 성공한다. 읽기는 상대방의 일방적인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읽으면서 속으로 다른 생각을 할 수 있고 상대방에게 말을 걸 수는 있어도 대화를 할 수는 없다. 그런 이유로 듣거나 읽은 후에 말하는 과정이 필요한지도 모른다. 듣기만 하는 카운셀러가 슈퍼바이저에게 찾아가 자신도 말을 해야만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계속 카운셀러 일을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처럼 읽기도 읽은 것을 풀어내야만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책도 얇고 전체적인 내용은 크게 재미있거나 흥미롭지는 않지만 몇 몇의 화두와 사례와 내용은 충분히 읽을 만하다.

The story that the book is important, but ultimately the story of the first man. You can get the strength to carry on reading a lot of books. Instead of heading to the top of the earth on fire, read a book and learn to hunt defendant How to use a variety of tools, which is able to live alone. Indeed, such a happy life do? How can you get to live up to? But you can get a lo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a number of books.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books are just one person, but the same is true with tens of thousands of books in its own right. As someone who writes a book in the book comes out this book can slip million books.

The first humans to humans. The book is an aid. Who does disparage the unconditional relationships and experience first book ingangwan is also kkolbulgyeon said. Human experience is directly bound to be limited. The only way out of that limit. Is too awkward or shy person relationship book is a great tool. We live in a world where humans are already a lot of books, so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Meet one by one, one by one, to listen to their experiences, or because they can be shared with.

Hearing-impaired children over 1 year old to give a child, plant a mechanical device to your ear and say, surprised at first. Naturally accept the sound did not feel up to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fear. Tending children respond to sounds fun that beating the drum after drum unit on a daily and delight.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sounds in your ears need a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that are activated in about a million or so about 20 to activate only about through this device will adapt to the growing brain. After reading this article it is really weird.

To find a book and needed 100 of the book. There is also a 1000 book when it is that even when it is too excessive flood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o I'm writing smoothly grunge stars when writing a book related to the content or spine-related investments and the floats. I've ever read books on the minimum number of one hundred is doeni. Writing, on the other hand, many things related article is engaged with seemingly little himgyeopda. Writing groups, but is less likely to read books on relatively low.

Reading will eventually hear it. The success of the most well hear what the other person is saying. Read and listen to a one-sided story of the other side. Can not read, another thought to myself, although it can be a conversation can talk to the other party is. For that reason, the process may need to hear or speak after reading. Listening to relieve stress counselors that only have myself to say go to a supervisor and is required to pay only released to continue the process of reading, reading, as they can be a counselor.

Thin whole book is also significantly more fun or exciting, but a few cases and details a few of the topic is well worth reading.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