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회장님의 글쓰기 - 처세술(President of writing - conduct of life)

전작인 <대통령의 글쓰기>가 워낙 좋은 반응을 보여 꽤 짧은 시간에 이번에는 <회장님의 글쓰기>가 나왔다. <대통령의 글쓰기>에서도 회장님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저자가 글쓰기로 먹고 살아온 세월 중에 대통령보다는 회장님이라 불리는 어르신들의 글을 쓴 기간이 많다보니 회장님의 글쓰기가 함께 나왔다. 이번에는 아예 작정하고 회장님이 원하는 글쓰기에 대해 알려주는 책을 펴 냈다.

여기서 말하는 회장님은 대기업의 총수라고 부를정도의 회장님보다는 나보다 서열 위에 있는 분을 지칭한다고 말하는데 책을 읽어보면 꼭 그렇지는 않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회장님을 말한다. 내가 읽었을 때는 그랬다. <대통령의 글쓰기>에서도 대통령의 글쓰기만을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대통령이라는 자리가 갖는 어려움을 알려주고 대통령이 글을 쓰는 다양한 종류에 대해 알려주며 우리가 모르던 그 이면을 읽는 재미마저 보여줬다.

이번 책도 그런 의미에서 오랫동안 회장님의 가장 지근거리에서 보좌를 했던 저자의 상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다만, 책 제목인 <회장님의 글쓰기>만 생각하면 안 된다. 글쓰기에 대한 책으로 읽기보다는 회사에서 처세술로 읽는 편이 훨씬 도움이 될 것이다.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회사에서 상사에게 어떤 식으로 다가가야 하고 어떻게 마음을 얻고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더 많이 알려주고 있다.

최근에 <미생>이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회사 생활의 어려움과 실제 회사 생활을 잘 표현하고 있어 많은 공감을 얻어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회사 생활이라함은 아마도 고정급을 받는 임직원을 말할 것이다. 나같은 경우 고정급을 받은 것은 만 2년이 못되어 회사생활의 미묘한 부분까지 미세하게 알지는 못한다. 주로 내가 노력한만큼 페이를 받는 영업직을 했기에 일반 회사생활과는 비슷하면서도 약간 달랐다.

그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사 생활에 대해 터득하게 된 점이 좀 더 크다. 꼭 회사생활을 해야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나이와 함께 쌓이는 경험만큼 회사생활도 큰 틀에서는 눈치것 할 수 있었다. 회사생활이 패기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회사라는 조직내에서 생기는 파워게임과 눈치 싸움을 더해서 실적까지 표현해내야 하는 만만치 않은 메트릭스다. 물론, 회사는 전쟁터지만 밖으로 나가면 지옥이라는 표현을 하지만.

The predecessor, <Writing of the President> wonak quite a short time to show a good response this time suggests that <Writing of the President>. Came a lot of talk about the <Writing of the President> President also. The author has written a lot of period writings of the elderly lived to eat than the President called the President in writing during the time I came out with the writing of the President. This time, the President found at all intend to spread the book that tells about your writing.

In this context, the President referred to the minutes read to say that the above sequences rather than the President or the total number of enterprises is not enough to call it is necessarily true. President says we often say. When did I read. <President of writing> not one only in writing of the president tells the story of a hard spot with President President tells about the different kinds of writing showed that even if we moreudeon fun to read.

This book can hear the detailed story of the author who assisted in the local area for a long time whether President in that sense. However, only the title of the book <writing of the President> will not be considered. Cheosesul the company, rather than reading a book to read on the writing side is much more helpful. Come up in the company, rather than talk about writing in any way to the boss and can do more if you need to inform efforts to get his mind.

<Microorganisms> attracted enormous popularity in recent years. The difficulty of corporate life and a good representation of the actual company's life has become more popular get a lot of sympathy. Also referred to as corporate life will probably tell employees receive gojeonggeup. I myself received it in less than two years, only gojeonggeup do know is fine subtle part of corporate life. I youngeopjik mainly because we receive a pay as general corporate life and have tried a few different yet similar.

Just a little older, larger point about the company learned that the natural life, depending on the senses. Do not build up enough to know the company had experienced company with age living life in big frame could be noticed. Corporate life is the metric by adding the power game and noticed a formidable fighting occurring within the organization, rather than companies that are solely expressed ambition to pay to performance. Of course, the company is a battlefield, but the phrase go out, but hell.

회사내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누가 무엇이라고 해도 실적이다. 다만 실적이 우리가 생각하는 실적과는 뉘앙스가 미묘하게 다르다. 내가 잘 한 실적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윗선에서 원하는 실적을 해야 한다. 내가 멋지게 폼이 나도 내 윗 상사가 별로라고 생각하면 그건 위험하다. 내가 조금 미천해도 내 윗 상사가 빛이 나면 그게 가장 최고의 실적이다. 결국 회사내에서는 아무리 내가 잘나가도 나를 끌어주고 승진에 보탬이 되는 것은 바로 윗 상사이고 회장님의 의중이다.

회장님은 어떤 것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지 파악해야 하고 때로는 좋은 것을 싫다고 하고 싫은 것을 좋다고 하고 과감하게 직언도 할 수 있어야 한다. 한 마디로 아주 아주 어려운 존재다. 영혼과 감정이 있는 사람인데다가 내 모든 것을 결정할 수 있는 회장이니 더욱 힘들다. 이런 회장님에게 어필 할 수 있는 글은 어떻게 쓸 것인가? 또한, 회장님이 쓴 글은 어떻게 내가 소화해야 할것인지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개인적으로 회사내에서 쓰는 보고서용 글쓰기는 잘 모른다. 어차피 육하원칙에 근거해서 쓰면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보고서를 많이 써 보지 않았기에 그렇다. 그나마 고정급을 받을 때 보고서를 올려 퇴짜맞은 적이 없지만 보고서 자체가 거의 없었기에. <대통령의 글쓰기>를 보면 그런 부분에 대해 팁을 알려주기도 하는데 그보다는 보고서를 쓰는 것보다 보고서를 읽는 사람이 중요하다고 알려준다. 보고서를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 쓴 보고서가 최고의 보고서다.

1장과 2장은 처세술에 가까운 내용이라고 생각되고 3장과 4장에 가서 진짜로 글쓰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중에서 이 책의 제목과 근접하고 제목에서 원한 내용은 마지막 4장 '강 상무는 어떻게 글쓰기로 임원이 되었나?'에서 나온다. 딱히 회사에서 쓰는 글뿐만 아니라 개인이 글쓰기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가장 인상깊었던 내용은 어느 베스트셀러 저자가 글쓰기 특강을 했다. 모든 사람에게 한 마디를 한다. "글을 쓰고 오신 분들이라면 여기 있으면 안 된다. 다들 빨리 집에 가서 글을 써라" 이런 식의 이야기를 하고 특강을 끝냈다고 한다.

저자가 글을 쓴 시간과 내용뿐만 아니라 위치도 나와 비교가 되지 않지만 공감하기도 했고 글쓰기와는 딱히 연관이 없는 처세술 이야기가 나와 내 기대에 부합되지 못하기도 했다. 내용 자체는 문제 없었지만. 출판사에서 바닥부터 일하려고 했는데 <대통령의 글쓰기>가 뜻하지 않게 베스트셀러가 되어 책을 쓰는 것으로 먹고 살 수 있고 글쓰기 강의를 들었던 저자가 1년 만에 글쓰기 강의도 하고 있다 한다. 제대로 된 글을 쓰는 것이 개인을 어떻게 변화시켜주는지 저자 스스로 보여줬다. 그래서 부럽다. 출발선이 비록 달랐지만.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y company who is performing what may be called. However, earnings results and we think it is a slightly different nuance. I was performing well, bu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desired results in the top line. If you think I'm a nice form in the upper boss called me by that is dangerous. Even if I am a little humble after my top boss of light that is the best performance. In the end, no matter how I am well within the company nagado not just pull the top boss to give me, and that is a boon to promote the intention of the President.

President should be able to also jikeon good and not be afraid to be identified likes and dislikes and sometimes did not want and do not want any good thing. So it is very difficult to exist as a word. Soul and emotions with the president in person who could be more difficult to determine everything I am. How to write articles that can appeal to this president? In addition, the President wrote articles about how to tell what I need to digestion halgeot book.

I personally do not know for writing a report writing within the company. But anyway, you know that you write so on the basis of the Five Ws did not write a lot of reports. Dont have never rejected the right place to receive a report when the report itself gojeonggeup almost did not. In <Writing of the President> to tell you to pray about that part of the tip that tells the reader rather than writing the report, the report is important. The report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who read the report is the best report.

Chapter 1 and Chapter 2 provides information on cheosesul and comes close I think the story went to Chapters 3 and 4 of really writing. Among them close to the title of the book in the desired information, and the last four chapters in the title, 'How did you steel executive managing director in writing?' Comes from. In writing this article, as well as a particularly private company if you need to make any effort to inform the writing. The most impressive details Which was the best-selling author writing lecture. And a word to anyone. "If the people who should not be here writing came. Everyone go home soon Write an article," he says of the story this way, and ended the lecture.

The author wrote as well as the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is also listed in the comparison was not even agree with me that writing and has no apparent cheosesul story was not associated mothagido not meet my expectations. The content itself, but there was no problem. From the ground up to work in publishing, I have inadvertently become a bestseller <Writing of the President> and can not eat by writing a book and the author also heard a lecture writing and teaching writing in one year. How to change how a person to write a decent article authors showed themselves. So envy. Although the starting line differed.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