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슬로 리딩 - 공부(Slow reading - study)

제목에 좀 낚였다. 책 제목이 '슬로리딩'이라 독서에 대한 책으로 생각했다. 여러 독서 방법중에 현대인의 입에 맞는 빨리 읽기를 권하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곱씹으면서 읽는 것을 권하는 책으로 여기고 책을 택했다. 천천히 읽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은 맞지만 책 제목인 '슬로 리딩'때문에 착각한 내 생각과 달리 독서에 대한 책은 아니었다. 독서는 책의 내용에서 일부를 담당하고 있을 뿐이다.
Fishing was a little on the subject. Book title thought about reading a book called "slow reading. While not recommended to chew slowly multiply quickly read for the mouth of the moderns in regard to how many reading books recommended chose to read a book. Read books that talk about was not slow in reading the book and I think you've mistaken me because otherwise correct but the title of the book "Slow Reading. Reading only be responsible for some of the content in the book.

정확하게는 공부에 대한 이야기다. 일본에 있는 100세가 된 한 교사가 자신의 교육방법을 책으로 펴 낸 내용이다. 다소 특이한 것은 사실이다. 공립이 아닌 민간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교과서로 가르치지 않았다. 자신만의 교육방법으로 가르쳤는데 결과가 훌륭했다. 제일 중요한 것은 국어다. 국어만 제대로 하면 나머지는 자연스럽게 잘 할 수 있다. 이런 생각으로 아이들을 가르쳤다.
Accurate story about the study. The more than 100-year-old teacher in Japan spread to embellish their teaching methods to the book. It is somewhat unusual is the fact. I taught students in private schools rather than the public was taught as a textbook. I taught in the educational process of their own results were amazing. The main thing is the language. If only the rest of languages may well properly naturally. Taught children with this idea.

국어 교과서를 갖고 수업을 한 것이 아니라 은수저라는 소설을 갖고 수업을 했다. 그것도 3년 동안이나. 워낙 옛날 소설이라 내용도 어렵고 어려운 단어가 많았다. 책에 나오는 모르는 단어는 하나씩 전부 찾아 뜻을 풀이한다. 그 전에 먼저 작가에게 편지를 보내 그 뜻을 물어본다. 매번 그렇게 물어봤다. 학생들이 물어보는 것이 있으면 그것도 물어봤다. 그렇게 소설에 나온 모든 단어를 찾아가며 국어 공부를 한다.
Rather than have a language textbook has a novel class has a class called silver spoon. It for three years. Wonak old story even more difficult because the words were difficult. The unknown words in the book is the will to find one for all pools. But first send a letter to the author and ask its meaning. Asked every way. It also asked the students if there is something to ask. So gamyeo find all the words from the story and the language studied.

이에 그치지 않고 소설에 나온 내용을 직접 해 본다. 소설에 연 날리기가 나오면 다 함께 연을 만들어 날린다. 이런 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니 소설 한 권을 갖고 3년동안 진행한다. 가능했던 이유는 한 번 반을 맡으면 졸업할 때까지 함께 수업을 했기에 가능한 방법이다. 처음에는 꼴통만 모이는 학교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아이들이 성적을 내기 시작하며 - 정책의 변화로 우수 성적자들이 입학했다 - 저자의 교육방법과 부합되어 좋은 성적으로 우수한 대학에 입학하기 시작한다.
The instruction on the novel not only see this for yourself. When the kite to make a kite fly the novel together. Are you going to have a class like this one story continues for the next three years. Possible reason for this is the way we can because we gonna take a class together until they graduate from one half. Initially, the school was only gathering Stupid any mom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sexual and children - an excellent sexual character was admitted to changes in policies - is consistent with the author's teaching method starts with good grades to be admitted to excellent universities.

언론에서는 입시를 잘 하는 학교로 소개되기 시작한다. 칭찬도 비난도 받지만 자신의 교육방법으로 아이들이 단순히 입시 공부만 한 것이 아니라 좋은 인성과 제대로 인문학적 소양까지 갖춘다. 한 달에 한 권의 책을 읽게 하고 독서감상문을 쓰게 숙제로 낸다. 단 한 줄만 독서감상문으로 써도 칭찬을 한다. 문제를 풀고 선생이 정답 채점이 아니라 주변 친구들과 함께 채점을 한다. 100점이나 50점이나 전부 만점이라고 가르친다.
In the press begins to introduce the entrance to the school well. Praise batjiman also equips children to simply blame but rather to the entrance good toughness and properly studied humanities knowledge to their teaching methods. Read a book a month, and produces the homework to write a book report. I use only one line to praise a book report. Loosen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scoring with friends is not the answer the teacher grading. Teaches that out of 100 points or 50 points and all.
나는 공부를 못했다. 굳이 변명하자면 공부를 안했다. 멍하니 책상에 앉아 있기만 한 학생이었다. 워낙 책을 읽는 이미지가 있어 사람들이 나에게 공부를 잘 했을 것이라는 착가들을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내 이미지 중에 하나인 일관성처럼 정말로 꾸준히 반에서 중간 성적을 유지했다. 그것도 참 신기했다. 중간이나 기말고사때에는 잠자고 공부한다고 해 놓고서는 일어나면 학교 갈 시간이라 찍기 바뻤다. 역시, 체력이 중요한가 보다.
I have to study. Anhaetda gritty dare excuse to study. Students who were just sitting idly on the desk. The image reading book wonak's not at all to the people that have been well studied chakga me. In a really steady as one half of my images has maintained a consistent intermediate grades. It was really weird. Intermediate or final exams to study sleep that occurs when notgoseo is ppeotda bar called Take time to go to school. Nevertheless, the more important stamina.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어 성적은 그런대로 좋았다. 20대 중반에 수능을 한 번 본 적이 있는데 그 당시에 딱 3개월을 공부했다. 신기하게도 영어는 40점 만정에 38점인가를 맞았다. 별 거 없었다. 아는 단어에 나머지는 독해력이고 문법은 거의 모르니 이상한 문장은 피하는 식이었는데 찍기의 절정인 시점이 아니었나 한다. 그저 아는 단어를 근거로 내용을 때려 맞춘후에 문제를 풀었을 뿐이었다. 유일하게 국어와 영어 공부는 좀 했던 덕이지 않을까 했다.
At least, the good news is that as good language scores. I've seen once the SAT in the mid-20s he studied just three months at the time. Curiously, English is struck for 38 points applied to the 40-point manjeong. There was no big deal. To know the rest of the word comprehension and grammar are almost never know Was not this strange sentence is the culmination point of the eotneunde avoid taking diet. After just beat tailored content based on knowing the word was only solved the problem. The only study English language and was not something that would benefit.

재미있게도 이제서야 순수하게 공부라는 것에 재미를 갖고 있다. 입시 공부가 아니라 자격증 시험은 자신없지만 스스로 궁금해서 하는 공부를 한다는 차이가 있다. 지금처럼 그 당시에 뚝심있게 공부를 했으면 좀 더 좋은 결과를 가졌을 것이라는 아쉬움 정도를 갖고 있다. 좋은 대학이 필수조건은 아니여도 한국에서 - 아니 전세계적으로 - 좋은 출발점이자 엄청난 프리미엄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점이 다행일뿐.
Interestingly enough there to have fun that only now that Purely study. Not the entrance exam certification exam study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ut that by his own self-study questions. Once that time endurance able to study as it is now has a much regret that have had a better result. This requirement is also a good university in Korea's because - as no worldwide - not a good starting point and you can not deny that that is a huge premium. Fortunately, that's not a problem only and all.

그런 이유는 아마도 그나마 책을 좀 읽은 편에 속했기에 국어와 관련되어 있는 언어영역의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부분이 잘 찍을 수 있지 않았나 하다. 일어는 친구의 쪽발이 말을 왜 배우냐는 한 마디에 아예 손을 놔 버린 멍청한 짓만 하지 않았어도 좀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또 갖고 있다. 그렇게 이 책 '슬로 리딩'은 공부에 대한 이야기지만 독서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곁들여져있다.
That is why, perhaps in part because we dont just read a book on hand to read and understand the sentences of the language areas that are related to the language did not have to take it well. Japanese is also regret that the words of a friend Jjokbari learn why detractors who would ever do at all even if not stupid've put your hands have been nice to have a little more to the word again. So this book, Slow Reading "is gyeotdeulyeojyeo also talk about reading, but talk about studying.

과거에 몇 권을 책을 계속 읽고 또 읽고 분석하고 뜻을 해석하면서 지혜가 쌓인 것과 비슷한 과정이 아니었을까한다. 저자가 교사를 세계대전 전후로 시작했다고 한다. 그런 시대라 가능할 수도 있었겠다는 판단도 들지만 그걸 계속 발전시켜 무려 50년 동안 한 학교에서 교육을 했다고 하니 무시하거나 부정할 수 없다. 결과물인 졸업한 학생들이 사회 지도층에도 많이 있다고 하니 말이다. 그렇게 보면 획일적인 교육보다는 학생의 성적과 소양을 함께 키우는 교육이 참 중요한데 현재의 교육제도로는 어느 나라나 쉽지 않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대체적으로 평균은 만들어야 하는 교육제도이니 말이다.
Continue reading Further analysis while reading a book a few books in the past and have been interpreted to mean and how a similar procedure to that wisdom is not cluttered. The author has begun a teacher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Getdaneun was presumably also determined that era may be called can not do that it continues to develop education at a school for nearly 50 years ignored or denied. The resulting graduating students also said that there are many community leaders do. In so important education rather than one-size-fits-raising with a true student achievement and literacy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is not easy to feel that every country. In general, the averag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reate a memo am.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