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미국을 움직이는 한국의 인재들 - 정체성


미국에서 살아가는 한국인이 많다. 이제 그들은 한국인이 아닌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 자라 미국으로 가 정착한 경우도 있지만 미국에 정착한 한국인 부모 밑에 자란 한국계 2세도 있다. 이들은 이제 한국인이라고 하기보다는 미국인이라 하는 것이 맞다. 생각해보니 내 주변 친구들 중에도 미국으로 간 친구들이 많다. 그다지 친구가 많은 편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친한 친구 3명이나 미국에서 살고 있다. 한 놈은 아예 이민을 간 것이다.

정확히는 이민이 아닌 유학으로 갔는데 거기서 정착해서 결혼하고 잘 살고 있다. 한 명은 그쪽으로 일 때문에 갔다가 정착을 한 경우고 마지막 놈은 회사에서 그쪽으로 파견되었다가 한국으로 들어오지 않고 미국에 있는 다른 회사로 옮겨 이제는 거기서 정착했다. 이렇게 미국은 참 많은 사람이 이주한 국가다. 잘 살고 있는지 지금은 연락이 거의 되지 않아 잘 모르겠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고 다들 잘 살것이라 본다. 그들은 원래 나보다 난 놈이었으니 말이다.

어떻게 보면 그렇기에 미국을 갔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이 책 <미국을 움직이는 한국의 인재들>에 나온 인물들은 현재 국적이 한국이 아닌 사람도 많다. 그들의 정체성이 한국인이다. 어릴 때 넘어가 한국에 대한 경험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자주 한국을 찾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다. 내 입장에서는 다소 신기하다는  생각도 든다. 나는 계속 한국에서만 살고 있어 그런지 몰라도 그렇게 한국이라는 정체성을 굳이 붙들고 있을까.

아마도 수구초심처럼 한국을 떠나 있으니 오히려 한국에 대한 정체성이 더 커지는 것이 아닐까한다. 책은 미국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여러 사람들을 소개한다. 그 중에서 이번 1권은 주로 예술계통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은 다들 각양각색이다. 그래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한국에서도 힘든 영역인데 미국에서 백인이 아닌 다른 인종이 활동하는 것이 쉽진 않을 것이라 본다. 더구나 한국에서 살다 미국으로 이주한 사람은 더더욱.
무엇보다 언어문제는 쉽지 않다. 거기에 미국이라는 문화에 녹아들어가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이걸 자연스럽게 그들 안으로 들어가 융화되는 것이 말이야 쉽지 막상 당사자라면 얼마나 힘들었을지 안 봐도 비디오다. 특히나 어릴 때부터 살았던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미국이라는 국가와 문화에 적응했겠지만 성인이 되어 넘어간 사람은 많이 힘들었을 것이다. 책에는 독일에서 살다 미국으로도 갔다 한국에도 일을 했던 사례도 나온다.

책에는 대략적인 연봉도 소개한다. 한국에서 외국을 꿈꾸며 이주할 사람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싶다. 총 11명의 인물이 나온다. 그나마 책은 다행히도 신파조로 흐르지 않는다. 얼마나 고생했는지 장황하게 설명하고 이 자리까지 어떻게 왔는지 구구절절 사연을 풀어내는 스토리가 아니라 더 좋았다. 담백하다고 할까. 그들이 지금까지 미국에서 살아오며 경험하고 노력한 삶을 너무 깊지도 너무 떨어지지도 않는 시선으로 알려준다.

어딘지 성공한 사람들의 스토리를 알려주는 책이라 나이가 많은 사람들만 소개할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물론 20대가 나오긴 힘들다. 그 나이대에 성공이란 표현은 애매하니까. 더구나 이 책에 나온 사람들이 성공이라는 잣대로 볼 때 반드시 일치하진 않는다. 현재 진행상일 뿐 성공이라는 단어를 맞지 않는 분도 있지만 그들도 전부 미국에서 잘 정착해서 인정을 받고 있다. 꽤 큰 성공을 해서 한국에 초대받는 분도 소개된다. 이 모든 분들이 전부 미국에서 활동 중이다.

처음에는 책을 다소 삐딱하게 볼려고 했는데 막상 읽어보니 책에 소개되는 분들이 전부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을 읽다보니 재미도 있었고 나를 돌아보기도 했다. 무슨 대단히 거창하게 성공한 사람보다는 우리가 따라할 수 있는 정도의 사람들의 노력이 더 피부로 와 닿는다. 이런 표현을 쓰고보니 좀 어패가 있는데 책에 소개된 사람들은 전부 대단한 분들이다. 한국도 아닌 미국에서 이 정도로 현지인들에게 인정받고 자신의 자리에서 차곡차곡 커리어를 쌓아가는 모습이 같은 한국인으로 자랑스럽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워낙 많은 분들이 나와서.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한 명씩 다 존경스럽다.

함께 읽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207555539
파리의 주얼리 상인 - 땀은 배신하지 않는다

http://blog.naver.com/ljb1202/179835817
라면왕 이철호 이야기 - 그래도 끝까지 포기하지마

http://blog.naver.com/ljb1202/134138214
방미의 골든타임 - 브랜드를 만들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