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세바시'라는 프로가 있다.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의 약자다. 이 프로를 본 적은 없다. 유투브 등에서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지만 본 적은 없다. 꽤 화제가 되고 좋은 강의를 15분 정도로 보여주는 걸로 안다. 워낙 화제가 된 강의는 많은 사람들이 공유를 해서 얼핏 본 적은 있는데 제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본 적은 없다. 그래도 하나의 트렌드는 만들었다. TED를 모방했다고 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 좋은 강연자를 발굴하며 사람들에게 공감과 위로도 주었다.
그 강의 중 괜찮은 것을 책으로 엮은 <성장문답>이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여러 질문을 던지고 그에 맞는 답을 강연에서 발췌해서 알려준다. 상당히 많은 강연과 강연자가 있는 걸로 아는데 그러다보니 몇몇 사람은 여러 번 등장한다. 아무리 좋은 강연이라도 질문에 맞지 않으면 그 강연자의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런 부분은 다소 아쉬웠다. 차라리 몇몇 강연자들의 이야기를 추려 중요내용만 알려주는 것이 더 좋지 않았을까한다.
책 내용은 대체로 우리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여러 고민과 차마 말 못할 사정에 대해 그 분야 전문가가 말해준다. 마음, 결핍, 결정, 상처, 극복, 관계, 가족으로 총 7개 파트로 나눠 그 안에 다시 세부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해 답을 하는 순서로 엮었다. 이런 문제는 나라는 인물에 대한 고민, 타인과의 관계에서 오는 고민, 사회와 내가 겪는 고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모든 것들이 결국 그 중심에는 내가 자리잡고 있다.
걱정과 맞서 싸우면 안 됩니다. 씨름에 '되치기'라는 기술이 있어요. 키 작은 사람이 키 큰 선수와 싸울 때, 맞서 싸우는 게 아니라 휙 빼갖고 던지는 기술이에요. 불안에는 그게 아주 효과적이에요. -20페이지
걱정에 너무 집착하면 스스로 걱정이 확대되며 자신의 중심을 잡지 못한다. 걱정 되는 생각이 있다면 굳이 피하거나 없애려 하지 말고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걱정이 온 몸을 뒤덮혀도 상관없이 걱정에 반응하지 않는다. 반응에 즐거워 더 강해진다. 차라리 무시하고 신경쓰지 않으면 걱정은 걱정이 아니다. 지나가는 바람처럼 잠시 나에게 불었다 사라진다. 바람을 잡으려 할 수 없듯이 걱정도 마찬가지다.
인생의 목적에 '열심히 산다'라는 대답은 굉장히 안 좋은 거예요. 심리학적으로 열심히 살겠다는 인생의 목적으로 갖고 사는 분은 중독에 빠질 확률이 높아요. -118페이지
개인적으로 열심히 살고 싶은데 잘 되지 않는다. 내가 정한 열심히 사는 것이 목표가 높은지도 모른다. 하루에 3~4시간 잠자고 끊임없이 무엇을 해야 열심히 사는 것으로 난 본다. 도저히 나는 그렇게 살지 못하는 놈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게 문제가 뭐냐면 스스로 자책감이 든다. 열심히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묘한 감정에 빠진다. 열심히 사는 사람만 사회에 성공하는 식으로 문화가 형성되어있고 이를 당연시 여긴다. 그렇지 않은 사람은 모두 다 실패한 인생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대부분 성공한 사람들은 좋은 중독에 빠져 있고 남들이 박수치는 중독이었기에 열심히라는 화두가 받아들여진다. 누구나 그럴 수 없다는 사실은 이해하지 못한다. 중독에 빠져 일정 범위를 벗어나 열심히했던 모든 것이 무의미해지고 자빠지고 엎어지기도 한다. 그래도 열심히 했다는 자기 만족에 빠진다. 인간이 갖고 있는 속성인지 성공과 출세 지상주의 사회에서 유독 두드러진 문화인지 몰라도 게으름도 하나의 열심인데 이를 인정해주지 않는다.
추상적으로 경제 정책에 대해서 어떤 정책이 좋고 어떤 정책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 내 입장에서 무엇이 유리하고 불리한가를 따지는 식으로 정보를 접하고 공부를 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197페이지
정책에 대해 무조건 욕을 하고 반대를 일삼는다. 정확하게 그 정책이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되고, 안 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곰곰히 따지지 않는다. 어떤 정부도 나라를 망하게 하려고 펼치는 정책은 없다. 흔히 주변 사람의 이익을 위해 그런 정책을 편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한 국가의 지도자 위치에 있는데 그런 짓을 저질를 만큼 허술한 국가가 이제는 아니다. 한국은 투명하다. 여러 검토를 펼친 끝에 나오는 것이 정책이다. 가끔 졸속으로 나와 문제가 되는 것도 맞다.
좋은 정책과 나쁜 정책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는 나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과 도움이 되지 않는 정책이 있다. 대부분 정책은 나와 직접적인 연관이 안 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피부로 느끼지 못하니 남들이 하는 이야기를 곧이 곧대로 믿기도 한다. 막상 시간이 지나 여전히 정책이 나와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내 포지션에 따라 정책을 판단한다. 욕을 하지말고 투표로 자신의 주장을 정확하게 표출해야 한다. 어떻게 보면 자신의 지지자를 위한 정책을 펼친다. 적당한 선에서. 그게 싫으면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행사해야 한다.
<성장문답>은 워낙 여러가지 내용이 짬뽕식으로 엮어 있어 딱히 중심은 구할 수 없다. 그저 좋은 이야기를 읽는다 생각하면 된다. 이미 검증된 것들로 책으로 펴 냈으니 그런 점에서 좀 더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좋은 이야기의 연속일 때는 오히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몇 몇 글은 음미하는 것도.
함께 읽을 책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