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결혼 - 제도에 대해(Marriage - for institutions)

림지식총서가 있는지 몰랐다. 여러 분야의 지식에 대해 길지 않고 짧게 주제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부담없이 집어 들어 읽을 수 있는 분량이지만 내용은 결코 만만하지 않다. 어느덧 역사가 쌓여 500권이 탄생을 했다. 500권이 되어서야 그 존재를 알게 되었고 읽게 되었다. 서점에 자주 가는 나인데도 이 책을 발견하지 못한 것을 보면 대형서점에 이 책만 따로 섹션을 마련되어 있지 않나보다. 모든 분야의 책을 전부 서점에서 확인하지 않아도 500권이 모여 있으면 눈에 띄기는 했을텐데 말이다.
Salim did not know if there is a series of knowledge. The book tells about the subject briefly but long for the knowledge of the various fields. Volume that contains readable information, but picked up casually is never manman. 500 were piled slip history of the birth. It was not until 500 was read was aware of its existence. Even though I often go to a bookstore to look at what did not discover this book than Is not chaekman not have a separate section on this large bookstore. If you do not have to check in all the books in all fields bookstore said would have gathered 500 is noticeable.

이번에 살림지식총서가 500권째로 펴 낸 책은 '결혼'이다. 500권이라면 어딘지 모르게 그냥 넘어가기는 힘들 것이다. 그런 이유로 살림지식총서가 500권이 나왔다고 신문 뉴스에 나온 것은 읽었다. 이번 책의 주제이자 제목이자 내용인 '결혼'은 조금 힘들다. 내용이 힘들고 어렵다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이 어렵다. 평소에 글을 쓸때면 90%이상 솔직하게 쓴다. 나와 관련되어 있는 이야기는 굳이 숨겨야 될 이유가 없다.
This time, the series has expanded to embellish Salim book knowledge 500 gwonjjae is 'married'. If you somehow just beyond the top 500 will be tough. That's why you still got the 500 series Salim knowledge and read it from the newspaper news. The theme and title and content of the book 'marriage' is a little difficult. This information is difficult to write this article, but it is difficult to difficult. When writing articles for daily writes candidly if more than 90%. Story that is related to me and there is no reason to be a bother to hide.

그에 반해 '결혼'은 그렇지 않다. 나 혼자만의 일이 아니다. 내가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에 대해 상대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을 읽지 않을 수도 읽을 수도 있지만 어쩌다 보는 사람과 달리 매일같이 보는 사람이라 그에 대해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다. 그리하여 나에 대한 이야기는 제외하고 책에 언급한 지식에 대해 설명을 해야겠다. 나는 간 큰 남편이 아니라서.
Whereas 'marriage' is not. Or not work alone. I can not help being aware of the other person for what a story. May read this article also read, but unlike the beholder because someone happened to see on a daily basis can not but be concerned about him. So talk about me, except I have to describe the knowledge and mentioned in the book. I have my husband's not really a big liver.

이 책의 제목인 '결혼'은 어떤 점이 떠오를까? 미혼인가, 기혼인가에 따라 결혼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다를 것이다. 결혼에 대한 로맨스적인 측면은 거의 배제된 책이다. 철저하게 결혼이라는 제도에 대한 고찰과 의미에 대해 알려준다. 두 남녀가 사랑해서 만나 더이상 헤어지기 싫어서 하는 결혼이 아니라 결혼이라는 제도가 인류에게 어떤 의미이며 각 개인과 가족에게 미친 결과에 대해 알려준다. 참 무미건조하다고 할 수 있다.
The title of this book 'marriage' is how to come up some points? Is unmarried, emotions feel about marriage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pplied married. The romance aspect of marriage has been almost ruled out the book. Thoroughly investigated and tells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marriage institution. Both men and women love to meet a marriage is not marriage anymore institutions that did not want to break up, and a sense of humanity to tell about the crazy results of each individual and family. Can be said to be truly insipid.

하지만, 인류 역사를 볼 때 남녀가 사랑해서 만나 결혼한 것은 최근 들어서다. 200년도 안 되는 시간이다. 그 전까지 결혼은 매매혼과 약탈혼이 대부분이었다. 대대로 늘 여성이 부족했다. 이러다보니 남성들은 부족한 여성을 어딘가에서는 공급(??)받아야 했다. 최초 인류는 근친상간을 통해서도 종족 보전을 했지만 서서히 금지되면서 자신의 씨족과는 다른 부족의 여성을 약탈했다. 그래야 자신의 종족도 유지, 번식할 수 있었다.
However, it was met by a man and a woman love marriage deuleoseoda When you view the recent history of mankind. 200 years is not that time. Until then, marriage was the most Bride-buying and the Bride kidnapping. Generations of women always lacked. Bonnie cr men had to be somewhere for the lack of women in the supply (??). Although the preservation of mankind's first race slowly through the incest prohibition as his clan and had pillaged the women of other tribes. So that his tribe also maintained, could breed.
오늘 날 결혼식의 이미지가 되어버린 면사포는 처녀를 어망을 잡았다는 의미로 시작되었다. 신랑 친구들을 부른 것은 약탈한 신부를 신부가족이 빼앗아 갈까봐 염려되어 무력시위이자 조력자였다. 신부를 왼쪽에 서게 한 것도 갑작스런 침입에 대비해서 왼손으로 신부를 감싸고 오른 손에는 무기를 들기 위한 행동이었다. 신부 들러리도 누가 신부인지 모르게 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Today is the day of the wedding veil images've started to sense the fishing nets caught a virgin. It is called the groom is anxious friends incase you take away the bride's family to the bride looting and armed demonstrations were helpers. Even the bride stand on the left hand just in case there was a sudden break with the left hand the right bridal wraps for lifting the arms act. Bridesmaid who also raised the possibility of even one of these was a means for knowing whether the bride.

결혼은 남자와 여자의 만나 함께 사는 것이 아니라 두 집안이 만나 서로 결합을 하는 도구였다. 자신의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해 부모들이 자녀들을 흥정하고 거래한 결과물이다. 약혼은 어디까지나 서로 미리 찜한 행동이다. 자녀들의 마음과는 상관없이 부모들끼리 서로 매매하는 매매혼이 과거에는 생존의 도구로 쓰였다. 사랑해서 만나 결혼하는 개념은 최근에 생겼지만 이마저도 이제는 부모들이 아닌 자신들이 직접 매매혼을 하고 있다.
Marriage is not living with both women and men to meet in the meeting house was a tool that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ill their own shortcomings are the result bargained for parents and their children deal. Picked up. Engagement is strictly act together beforehand. Child's mind and that is the Bride-buying bargain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parents spent the past as a tool of survival. Concept of love and marriage are met recently got a few yimajeodo now and the Bride-buying their own rather than their parents.

결혼하기에 앞서 배우자가 될 사람의 모든 것을 따져본다. 단순히 사랑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을 끌여들인다. 스스로 매매혼을 하는 것이다. 조건을 따지고 재면서 결혼에 대해 최종 결정을 서로 한다. 책에서는 결혼업체에서 정한 등급도 보여주는데 불행히도 나는 10등급중에서는 8등급 정도 되었고 15등급중에서는 14등급정도 되었다. 직업은 무조건 서울대에 판사면 최고다. 사자로 끝나는 직업이 아니면 유학을 갔다 와야 하고 키는 180은 되어야 하고 도저히 결혼 못할 듯 하다. 나는.
Before marriage weigh everything looks to be the spouse of the person. Bring a different concept than simply loving deulinda. Will themselves to the Bride-buying. After all, he re-conditions each other a final decision about the marriage. Unfortunately, I also show the book from grade 10 class set out in the marriage was about 14 companies from 15 ratings rating has been about 8 rating. Occupation is the best judge if unconditionally to SNU. Or come this job ends with a lion and went to study key 180 and hardly seems not to be married. I am:

실제로 연수원을 다닐 때 마담 뚜나 주변 사람에게 전화가 많이 온다고 한다. 좋은 결혼처가 있다고 하면서. 이것이 바로 매매혼이다. 예전과 달리 은밀하게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제는 부모들이 결정했던 매매혼을 결혼 당사자들이 직접 시장에 나와 결정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이러니, 결혼을 로맨스로만 이야기할 수 없는 한계가 이 책에선느 존재한다. 현실이 그러하니. 현재 행해지고 있는 모든 결혼과 관련되어 있는 풍습과 제도가 다 여기에서 출발한다. 결코, 낭만적인 로맨스와는 거리가 멀다.
Actually a lot of phones coming to Madame ttuna people around when I was in training. And that good marriage destination. This is the Bride-buying. Appears to contrast with previous secretly only difference is that now there is only the parents who decided to get married parties Bride-buying decision directly in the market. 's Wrong,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talking about marriage and romance only exists In this book feel. This reality do so. All the customs and institut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marriage that are currently being done all starts here. Ever, is far from romance and romantic.

어느 덧 결혼식은 사업수단이 되었다. 결혼을 준비하는 사람이나 직접 하는 사람이나. 결혼으로 생기는 수익구조가 워낙 다양하니 쉽게 결혼식을 포기하지 못한다. 본전 생각도 나고. 결혼후에 생기는 각종 문제들도 많다. 그것까지는 쓰지 않겠다. 다만, 책에서 서로 좋아하는 점이 많은 배우자 보다는 서로 싫어하는 점이 비슷한 배우자를 만나는 것이 훨씬 더 좋다는 이야기는 생각해보니 맞다. 결혼한 부부들이 이혼하는 것은 상대방의 행동을 내가 싫어해서 참지 못하는 것인데 서로 싫어하는 것이 비슷하면 그런 점은 많이 줄 것이다.
The wedding was a fleeting one business unit. Person or persons to prepare for marriage or to yourself. The revenue structure caused by the marriage does not give up easily do the wedding was so diverse. Thoughts on Capitalism also sheds. There are many various issues arising after the marriage. I will write it up. However, it is good to see the story much more than many similarities spouse spouse hate each other like each other point in the book Come to think right. The married couple were to divorce geotinde the opponent's behavior, I do not tolerate hate and dislike each other, if you like it then that will give you a lot.

이제, 결혼은 하나의 상징적인 것으로 남을지도 모른다. 동거가 점점 추세가 되고 있다. 얼마전 본 TV프로에서나온 출연한 방청객의 90%가 동거에 대해 찬성을 한다. 이혼한 여자에게 너무 가혹한 짐을 많이 안긴다. 동거는 이런 대안이 될 수 있다. 아직까지 동거한 부부에게서 나온 아이에 대한 문제가 제도적으로 해결되지 않아 문제인데 이 부분이 해결된다면 우리나라도 외국처럼 결혼이 아닌 동거가 훨씬 더 수면위로 올라올 것이다. 대부분 부모로써는 동거를 반대해도 인간으로써 동거는 대부분이 찬성한다. 그렇게 결혼이라는 제도는 점점 변화가 예상된다.
Now, the marriage may remain to be one of the symbolic. Cohabitation has become a trend that more and more. 90% of the audience came from recently seen starring in the TV program and the approval for the living. Anginda much too harsh burden to a divorced woman. Cohabitation may be an alternative to this. Does not solve the problem for the child yet came from a couple who live together with institutional questions ... if this part is resolved to our country would rise in cohabitation over marriage is much more than the surface of the water like a foreign country. Many parents may oppose rosseoneun living as human beings should live together in favor of the majority. Regime change is getting married so that is expected.

여전히 매매혼은 유효하고 거래될 것이다. 약탈혼은 아주 고급스럽게 치장되어 이뤄질 것이고. 하지만, 대부분의 남녀청춘들은 이제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매매혼을 하거나 동거를 하지 않을까한다. 시대에 따라 변하는 흐름을 누가 막으랴.
Bride-buying will still be valid and the transaction. Bride kidnapping is a very luxurious trappings will be made​​. However, most of the men and women are now independent from parents and youth would not live together yourself or Bride-buying. Just her? Who varying flow depending on the era.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