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죽음학 수업 - 먹먹함(The Death Class - Sadness)

이 책은 죽음에 관한 이야기다. 죽음이라는 단어에서 오는 어딘지 모르게 손에 잡히지 않는 뿌연 느낌이 아닌 죽음이라는 사실 앞에 선 사람들의 이야기다. 죽음은 늘 우리곁에 언제나 함께 있지만 우리는 인정하지 않고 살아간다. 살아있다는 이야기는 반드시 죽는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모든 살아있는 것은 죽는다. 영혼불멸을 믿는 모든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를 하든 생물학적으로 죽는다는 것을 부정할 사람은 없다.
This book is a story about death. Story line in front of people other than the fact that death does not get caught this fuzzy feeling that comes from knowing where to hand the word death. Death is always by our side, but we have always been living together without recognition. The same meaning as the story alive must die. Every living thing dies. All people who believe in the immortal soul, no one can deny that no matter what the story is biologically dead.

어릴 때 경험하는 죽음은 너무 무섭고 두렵다. 나이를 먹어가며 죽음이 아주 조금은 친숙해진다. 점점 한 명 두 명 주변 사람이 죽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인생의 허무함을느끼게 되지만 여전히 죽음은 나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치부한다. 나이를 먹어가며 생물학적인 에너지가 점점 떨어질 때 조차도 죽음을 간혹 생각하지만 애써 외면한다. 죽음은 나와는 무관한 것이라 여긴다. 하지만 죽음을 피한다고 피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Death of a child is afraid too scary experience. Gamyeo older, death becomes familiar very little. One person getting two people around who are dead will hear the story. But still feel the vanity of life and death is dismissed as not to do with me. Gamyeo older, think of death sometimes, even when biological energy is increasingly falling outside, but struggled. Death is irrelevant would consider me one. But that is not the property can be avoided to avoid death.

죽음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위해 철학적으로 접근도 한다. 죽음 이후의 사후 세계가 있는가에 대한 논쟁은 과거에도 앞으로도 계속 펼쳐질 것이다. 죽음 이후의 사후세계를 믿는가의 여부는 종교와도 결부되면서 답이 없다. 그런데, 한 개인과 주변 사람에게 죽음은 철학적으로 고고하게 논쟁할 이유가 없다. 누군가 죽었다. 그리고 남겨진 사람들이 있다. 남겨진 사람은 어떻게 삶을 살아갈 것인가를 볼 때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
Also philosophical approach to solve the question of death. Controversy as to whether the afterlife will continue to unfold after the death of the past. Whether you believe in the afterlife after death is also associated with religion as there is no answer. However, for an individual and the people around death is no reason to argue with the philosophical archeology. Someone died. And there are those left behind. How do people left behind when something is more important to see what live your life?

자연스럽게 죽음을 준비하고 인정하는 시간을 갖고 죽는 사람과 주변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라 어느 날 갑자기 사망하는 사람의 주변 사람의 이야기다. 아무런 준비도 없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내 삶에서 사라진다. 그의 흔적은 여전히 내 삶 곳곳에 남아있는데 만날 수가 없다. 단순히 사라졌을 때 다시 만날 수 있다는 감정과 죽음으로 인해 다시 만날 수 없다는 감정은 볼 수 없다는 사실은 같아도 감정은 다르다.
Prepare to die naturally, and the story is the story of a dying person and the people around have not time to acknowledge the people around the person suddenly died. No preparation is the most loving person in one day, suddenly disappears without my life. Still can not find his trail remained there throughout my life. You simply can not meet again disappeared emotions and feelings that death due to meet again is the fact that you can not see gatahdo emotion is different.

'죽음학 수업'은 죽음에 대한 이야기다. 죽음 자체에 대해 언급하고 알려주는 책이 아니다. 죽음 근처에 맴도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뜻하지 않은 죽음을 맞이한 사람 주변에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 중에서도 끔찍한 고통을 동반한 죽음으로 세상을 떠나보낸 가족과 지인들의 이야기다. 단순히 누군가 죽었다. 그를 추모한다가 아니다. 그의 죽음은 나에게 더할 수 없는 감정과 정신의 상처와 트라우마를 남기고 떠났다.
Death Studies class' is a story about death. Commenting on the death itself, and not the book tells. Story of people hovering near death. Unforeseen celebrated around the story of a man who left a death. Among the dead was accompanied by a story of terrible suffering From family and friends to leave the world. Someone just died. Not to honor him. His death has left scars and trauma of leaving the emotions and spirit can not be added to me.

평생을 마음속에 간직하고 살아갈 수 없다. 저 멀리 음침한 곳으로 밀어내고 살아가서도 안 된다. 괴물이 되어 나타나 나를 잡아 먹을 수 있다. 누구도 괴물을 물리쳐 주지 않는다. 나 스스로 물리쳐야 한다. 아니, 정확하게 표현하면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승화해야 한다. 나 자신이 정신적 충격과 감정의 페혜를 슬기롭게 이겨내지 못하면 나 또한 삶이 피폐해진다. 겉은 멀쩡해도 속은 썩어들어가 어떤 행동을 하게 될지도 모르는 사람이 되어 버린다.
Keep in mind, and life can not survive. That is not pushing as far gaseodo dismal place alive. Shown is the monster can eat me. Nobody does not defeat the monster. I shall defeat themselves. No, it should be accepted when exact expression recognition and sublimation. Or if they are wisely yigyeonaeji pehye of the trauma and emotion and also becomes impoverished lives. The outside is this would have been a stranger in a certain action be tricked into decay also works fine.
죽음에 대한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잘 몰랐다. 죽음에 대해 철학적으로 접근하는 책들을 읽었고 제목이 수업이라 하여 당연히 철학적인 수업강의를 한 어느 교수가 쓴 책이라 여겼다. 책은 교수가 아닌 한 저널리스트가 죽음학 수업을 참여하여 교수와 그 제자들의 이야기를 소설형식으로 썼다. 분명히 사실을 쓴 내용인데 워낙 현장감과 감정의 묘사를 잘 살려서 소설을 읽고 있는 착각과 흡인력으로 집중해서 읽었다.
Had no idea how any story about the death. Because I read the book about the death of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eaching the subject which naturally regarded book called professor who wrote a philosophical lecture classes. The book by journalist's death involved a non-science class professor wrote the story of the professor and his disciples into the novel form. You're sure to focus to read the contents of written facts was so realistic and emotional depiction of the illusion alive an well in reading a novel and attractive force.

죽음학 수업 자체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직접 느껴보고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커리큘럼이다. 타인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배우고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 보는 여정이다. 대학 수업이라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아무래도 생생한 느낌을 갖기는 힘들 듯 하다. 그에 반해 주변인의 죽음은 자신이 직접 경험한 부분이라 현장감있고 깊은 상처로 각인이 되어 있다. 특히, 책에서 소개되는 학생들은 하나같이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다.
Death itself is a science class curriculum to think about death and the experience to feel directly or indirectly. Accept the death of others is a journey to learn to think about their death process. It seems it's gonna be hard to have a vivid sense because college classes to think about their own death. In contrast, the death of a marginal presence, and is engraved with a gash part because his own experience. In particular, students are introduced in the book are faced with special situations as one.

죽음학 수업을 가르치는 교수부터 원치 않는 임신으로 태어났고 엄마가 키우려 하지 않다가 자신을 키웠지만 자신때문에 엄마의 꿈을 잃었다고 구박하며 괴롭혔고 부부가 함께 살았지만 서로 이혼했다 만나기를 반복하며 끔찍한 경험한 선사했고 교수의 딸을 고층 난간에서 위험한 행동을 하는 등의 엄마와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 아빠, 자신을 실제로 키워준 할머니의 사망등의 상처를 갖고 있다.
Born with unwanted pregnancies from professor to teach science lessons that mom does not raise her death will bring you repeat yourself, and awful experience kiwotjiman meeting hyeotgo harassed and abused and lost his mom's dream because he lived with the couple divorced, but each other he does not recognize his mother and risky behavior, such as the daughter of a professor in a high-rise railing dad, has died of wounds, such as grandmother who raised himself actually.

제자중에 아버지가 이혼한 어머니를 어느 밤에 갑자기 수십차례 칼로 찔러 죽인다. 과대망상증에 사로집힌 행동인데 이 광경을 목격한다. 불행히도 자신의 동생마저 과대망상증이 유전되어 생각지도 못한 죽음을 맞이한다. 또 한 명은 엄마가 늘 약물 과다복용으로 자살을 시도한다. 이로 인해 부부는 늘 싸우고 둘 사이를 자신의 케어해야하는 상황이다. 어릴 때 갱단의 마약연락책으로 활동한 한 친구는 상대방 조직의 가족을 전부 총으로 위협하고 결국 죽이지는 않는다. 이런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학생들이 책의 주인공이다.
Father kills knife suddenly stabbed dozens of times in the night during which a divorced mother disciple. Obsessed with excessive paranoia jiphin act inde witness the sight. Unfortunately it died even his brother did not even think excessive paranoia is hereditary. Another mother always said to attempt suicide by overdose. This couple is on their care between the two situations should always fighting. A liaison activities with drug gangs childhood friend does not have gunpoint and kill all the family members of the other organization eventually. The protagonist of this book, students have this trauma.

우리나라도 쉽지 않겠지만 미국이라는 나라는 정말로 마약과 무기소지가 엄청난 문제인 듯 하다. 도대체, 어떤 삶을 살아 가는 것인지 늘 조마조마하고 힘들 것 같다. 책에서는 정신이상으로 대학에 난입하여 교수와 학생을 죽이고 자살한 학생의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도 나온다. 죽음후에 남겨진 사람들이 어떻게 이를 치유하고 극복할 것인지에 대해 소설처럼 묘사하고 있어 소설을 읽는것처럼 푹 빠져 읽게 만들어준다.
Korea also not be easy but it really seems the country is called the United States a huge problem drug and weapons possession. What the hell, what kind of life you want to live seems always anxious to go hard. The book also comes the story of those left behind one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s stormed the university student killed by suicide insanity. How people got left behind after death and whether portrayed as fiction for it to heal and overcome makes bathed read like reading a novel.

과연, 나라면 저런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고 살아갈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바로 눈 앞에서 어머니를 죽인 아버지를 본다. 그리고 아버지는 모든 식구들을 차에 태우고 의도하지 않았지만 동반자살을 시도한다. 하지만, 살았다. 그 이후에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어른이 되어서 이런 경험을 해도 치유가 쉽지 않은데 청소년 시절에 이런 경험을 한 친구들은 거의 100% 제대로 된 삶을 살지 못하고 인생을 스스로 망가뜨린다. 그가 한 행동의 결과가 아닌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Sure enough, I'd get over it and could live in a situation like that I heard a lot of this idea? Right eye sees the father killed the mother before. And my father did not intend to attempt suicide by burning all the family in the car. But lived. How to live normally after that? Not easy to heal if these experiences be adult friends who have this experience in youth destroys himself did not live the life that lives almost 100% correctly. And he must try to determine the cause, not the result of one act.

소설이 아니라 책은 해피엔딩도 새드엔딩도 아니다. 현실과 상황에 상관없이 삶은 계속된다. 기쁜 일과 슬픈 일은 반복되어 나타난다. 인생은 계속된다. 죽음이라는 엄청난 경험은 가장 강렬한 경험이다. 나조차도 죽음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생각은 했어도 내 주변 가족의 죽음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했다. 앞으로도 외면할 것이다. 굳이 상상해야 할 이유가 없다. 이토록 죽음은 누구에게나 힘들다. 내가 아닌 나와 친한 사람의 죽음은 더더욱. 죽음학 수업은 그런 면에서 필요한 것이라 본다. 그런데, 내가 그 수업을 참여할 것 같지가 않다.
This book is a novel, not a happy ending and nothing Sad endings. Life goes on regardless of the facts and circumstances. Nice work appears sad thing is repeated. Life goes on. Tremendous experience of death is the most intense experience.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death or even strive for death was outside of my family, even if the surrounding. We will be outside. There is no reason to dare to imagine. Yitorok Death is hard for everyone. The death of me I am not the best person even more. Watch Death Studies classes will need in that respect. However, I do not think we'd join the class.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