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제력- 인내(Self-control - perseverance)


마시멜로 동화(신화)가 있다. 아이들에게 너무 맛있는 마시멜로를 눈 앞에 두고서도 먹지 말라고 한 후 어른이 사라졌을 때 마시멜로를 먹은 아이와 먹지 않은 아이를 자란 후에 추적 조사를 했더니 먹은 아이들에 비해 먹지 않은 아이들은 모든 면에서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자제력에 대한 이야기다.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다스린 아이들이 성공한다는 이야기다. 마시멜로는 나중 연구에는 조금 다른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듯 하지만 자제력이 중요하다는 걸 알려준 동화다.
Marshmallow fairy tale (myth) has. Children is too good not to eat the dirty marshmallow in front of your eyes, and then disappeared when adult kids did not eat the marshmallow kids grew up eating after a follow-up compared to children not eat haetdeoni ate all aspects of the children that will grow into a great adult . This is a story about the end restraint. Children's desire to govern themselves that this success story. Marshmallows are a different story comes out later in the study seemed to have a little self-control is important, but I gave it a fairy tale.

하고 싶은 것을 참는 이유는 보상이 더 크기 때문이다. 무조건 아무런 이유도 없이 참으라고 할 때 참는 것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욕구불만이 쌓이고 다른 감정으로 폭발할 것이고 순종적인 - 과장해서 맹목적인 - 사람으로 만든다. 당장 눈 앞에 있는 이익을 참는 것은 당장의 이익을 참아 더 큰 이익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참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참아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The reason is that the patient wants more compensation because of the size. Unconditionally true for no reason it is better to write down when you can not endure. Feelings of frustration building up another obedient will explode - exaggerating the blind-man made​​. Get it right before your eyes in the interests of the patient to bear greater profits can benefit because we know that will endure. Otherwise, they have no reason to endure.

담배를 피면 마음이 편하고 일이 잘 되지만 담배를 참으면 당장의 눈 앞에 보이는 여러 이익을 달성할 수 없지만 지금은 효과도 보이지 않고 차이를 알 수 없지만 더 큰 이익을 자신에게 준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참는 것이다. 고 3 수험생이 TV를 보고 여행을 가고 친구들 하고 노는 것이 훨씬 더 재미있고 좋지만 참는 이유는 지금이 아닌 나중에 더 많이 TV보고 여행가고 친구들하고 놀 수 있기 때문에 순간의 욕구를 참는 것이다.
Easy things like smoke a cigarette, the smoke really well, but if you look right in front of you can achieve many benefits, but the effect is not visible right now can not tell the difference Giving yourself a bigger profit because I know that will endure. And three students to travel and go watching TV and playing with friends is much more fun now, not later, but why endure more trip to go watch TV and play with friends because you can be patient with the needs of the moment.

자제력이라 해서 무조건 모든 것을 참는 것은 아니다. 사람이 하고 싶은 것을 하지 않으면서 사는 것 만큼 어렵고 힘든 것도 없다. 우리가 태어나 인생을 살며 하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안다. 다양한 조건과 이유로 인해 하지 못하고 있다. 하고 싶은 것을 자제하라는 이야기는 말도 안 된다. 하고 싶은 참고 사는 것이 더 큰 불행을 가져다 주고 성공을 가로막는다. 하고 싶은 것은 해야 한다. 그래야 행복하게 자신의 삶에 주인공으로 살 수 있다.
Referred to endure all that self-control is not unconditional. If you do not want people to live, not as much as it is difficult and. I want to live the life we were born to know that you can not freely. And do not be because of a variety of conditions. I want to refrain from asking ridiculous story. Note that I want to live in misery and bring greater success across blocks. Should like to do. The hero of his own life so that happiness can buy.

여기서 말하는 자제력은 하고 싶은 것을 참는 것은 맞지만 더 큰 이익을 위해 참아야 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인간이 하고 싶은 모든 것을 하면서 산다면 좋겠지만 그렇게 되면 자신의 이익만 추구하는 이기적인 인물로 찍히고 무엇을 해도 인정을 받지 못하는 무능한 인간으로 손가락질을 받을 것이다. 이럴 때 자제력이라는 것이 필요하다.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 소소한 것들을 참을 수 있는 자제력 말이다.
I want to say here is that the patient self-control is correct, but for the greater benefit of energy refers to endure. The man if you buy everything you want to do when I wish to pursue their own selfish interests, but what if imprinted figures do not receive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will be pointing at humans. That self-control is necessary when this happens. We really want to stand in for the little ones inhibitions said.

예전에는 성공학이나 동기부여에 해당하는 자기계발 서적들을 참으로 많이 읽었다. 나폴레온 힐 종류의 책을 많이 읽으면서 도움을 받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직접으로 동기부여하는 책은 읽지 않는다. 당시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지금의 나에게는 다른 계의 이야기인 듯 한 느낌이 좀 더 강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자기계발 종류의 서적들을 읽고 있지만 예전에 읽었던 그 분야의 선구자적인 인물들의 책 이외에는 다소 뻔한 내용이라 - 예화도 그렇고 - 망설여지게 된다.
Seonggonghak in the past, and that the motivation to really read many self-development books. Napoleon Hill and many kinds of books to read, help yourself motivated batatjiman From one moment do not read the book. Help at the time, but now I have a different type of story which seemed to feel a little more strong. Read books that are still kind of self-development, but in the past people had read the book a pioneer in the field of information, other than the rather obvious means - and neither anecdotes - becomes hesitant.

뜻하지 않게 '자제력'은 그런 책이다. 그런 책일 것이라는 예상을 전혀 하지 못하고 읽었는데 읽다보니 점점 그런 책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새로운 방향으로 설정해서 알려주는 책이라 할 수있다. 자제는 어떻게 보면 동기부여에서 말하는 핵심중에 핵심이다. 더 좋은 것과 이익을 위해서 현재를 참아야 한다는 것이다. 신 자유주의가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면서 자기계발 서적이 범람했다고 할 수 있는데 역시나 제이 중요한 것은 참고 이겨내라는 것이다. 그러면, 좋은 날이 올 것이라는.
Accidentally 'self-control' is such a book. Chaekil expectation that I read do not read at all, looked more and more convinced that the book is told. Setting up a new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inform the book. Scion saying in a sense, the core motivation during the game. The good and for the good that they are to endure. New Liberalism is that anyone can succeed while talking to self-development books that can be flooded figured that Jay would push through important reference. So, a good day will come.

자제력을 포인트로 정하고 여타의 동기부여책에서 이야기하는 수 많은 이야기들을 전달하는 책이다. 분명한 것은 책에 소개되고 언급되는 다양한 이야기를 적용하면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예전에 열심히 읽을 때에도 이런 부류의 책은 읽기만 하고 책에서 따라하라고 소개하는 것들은 따라 한 적이 없다. 이번에도 역시나 그런 부분은 핵심 타이틀만 정확하게 읽고 나머지 부분은 대충 읽었다. 그래서, 아직까지 동기부여나 성공학 책에서 언급하는 사람처럼 성공하지 못했는지도 모르겠다.
The other point to establish self-control motivated a lot of talk in the book is a book that conveys the story. What is clear is introduced in the book mentioned that various stories will help you apply. This used to be kind of hard to read, even when the book is read along in the book along with things that have never been told Us. Again, just figured that part of the key title to read the rest of the roughly read correctly. So, so far I seonggonghak motivate people mentioned in the book does not succeed as he knows I do not know.

아무리, 좋은 책을 읽어도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런 괴리감으로 인해 책을 안 읽기도 한다. 읽어도 책에서 언급된 내용을 실천하지 못하거나 안 하고 있는 내 자신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 책에는 대단하고 거창한 것을 해야 한다는 내용은 없다. 아주 작은 부분부터 하나씩 따라 하라는 이야기다. 스스로 자기 자신을 이겨내면 무엇을 하든 성공한다. 실패하려고 해도 실패하기 힘들다.
However, a good book to read is meaningless if you do not practice. Not because of the book that ilgido the goerigam. Read the practical information is also mentioned in the book or do not find it has is because of my own. Still, this book contains information that should not be that great and tremendous. Asked one by one according to a story from a very small part. Themselves no matter what their own success to overcome the surface. Fail if you try hard to fail.

자제력은 그만큼 중요하다. 자신이 하고 싶은 욕망을 이겨낸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을 거스리는 행동이자 마음이다. 하고 싶은 것을 미룰 수 있는 힘은 아무나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금 해야 할 것을 귀찮고 힘들더라도 당장 한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세상에서 성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성공한 사람들은 이걸 해 낸 사람들이다. 자신을 자제할 줄 알고 해야 할 것을 한 사람들이다.
Self-control is so important. Yigyeonaenda desire to own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and behavior of Guthrie. I want to force anyone to be put off that it's not easy to do. Now we need to do that right away, even if it is just as cumbersome and difficult that it can not just anyone. When viewed in terms of the success in the world of successful people who are out of this year. You need to know yourself that you refrain from the people.

불행히도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는 인생을 살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인생에 있어 자제하는 삶을 살지 못한다. 정작, 원하는 삶은 자제하면서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자제하지 못한다. 이런, 모순적인 불일치가 바로 인간이 삶이 어려운 이유다. 원하는 삶은 자제하지 말고 정말로 자제해야 할 것을 자제하는 삶을 산다면 그것이 바로 진정한 자제력을 제대로 발휘하며 사는 삶이 아닐까 한다.
Unfortunately, the people that they want to live life on your own life, despite None I do not live a life of self-control. , Come, you do not want things to life, while self-control does not refrain. Oh, contradictory human life is just hard to inconsistencies reason. Do not you really should refrain from life that you refrain from a life of self-control if you buy properly exercise self-control, and that's what real life is probably the living.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