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어떤 사람이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가 - 강인함과 따뜻함(Compelling People - Strength and warmth)


누구나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를 꿈꾼다. 최고를 꿈꾸지 않는 사람은 희망이 없고 삶이 무료한 사람이다. 내가 하는 일이 아무리 취미생활처럼 재미삼아 한다고 해도 이왕이면 최고가 된고 싶은 것은 인간의 당연한 본능이다. 최고가 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오히려 인간의 본능을 거스리는 행동이다. 프로 선수와 아마추어 선수가 시합을 해도 아마추어는 이기려고 최대한 노력하는 것과 같다. 질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어도 이기려고 기를 쓰고 노력한다. 이처럼, 최고가 되고 싶은 것이 사람의 당연한 본능이다.
Everyone dreams of the best in their field. People who do not dream of the best life there is no hope of a boring person. No matter what I do as a hobby for fun, even if it is you want as long doengo best natural human instinct. Rather, it is best not trying to Guthrie human behavior is instinctive. Professional athletes and amateur athletes amateur fights it's like trying to win as much as possible. Will be eager to know even strive to win. As such, you want to be the best, it is a natural human instinct.

최고라는 위치에 대해서는 분야마다 다르다. 어떤 분야는 딱 한 명의 최고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이를테면, 스포츠에서는 우승팀이나 선수만 최고의 칭호를 받을 수 있다. 대다수의 분야에서 최고라고 하여 딱 한 명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다수의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능력에 따라 최고라는 호칭을 받는다. 서로 존중하고 자신만의 색깔과 향기로 최고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라 자신이 무조건 최고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The best location for the field-dependent. Some areas are just only one can survive up to. For instance, sports a title winning team or player can receive only the best. Many of the best known in the field does not refer to just one person. A large number of people, depending on their own ability to get up to the title. Respect each other and their own position in the color and fragrance of the best people because they do not argue blindly best.

이러한, 최고라는 호칭을 받는 사람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최고가 되려고하는 사람들이 어떤 점을 본받아야 하는지 알려주는 책이 바로 '어떤 사람이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가'이다. 다양한 방법과 이유가 있을 것이다. 최고라는 자리는 유형보다는 무형인 경우가 많다. 더구나, 이 책에서 말하는 최고라는 위치는 일렬로 길게 사람들을 늘어세우고 그 중에 가장 앞에 있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남들보다 앞 서 있는 사람을 이야기한다.
This, the highest designation in the recipient geotilkka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t some point people are trying to be the best and that this should inform the book is 'the best place to ohreuneunga someone' is. There will be a variety of ways and reasons. Intangible rather than the type of the top spot in most cases. Also, the location is the best in the book telling people to hold the line stretched to establish that the person in front of one of the most diverse areas,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man standing in front of the others talk more.

책에서 최고가 된 사람들의 특징은 두가지다. 먼저 강인함이다. 이 부분은 당연해 보인다. 어느 분야이든 그 분야에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은 남들과는 달라도 무엇이 다르다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강인하다. 어떤 경우가 닥쳐도 강인하게 대처하고 헤쳐나간다. 문제는 강인함만 갖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남을 피곤하게 만들고 곤란하게 만든다. 오로지, 자신만 생각하고 남을 배려하지 못한다.
The people in the book of the best features of two sources. The strength of the first. This part is supposed to look. Any field in the top spot on the right or in the field with others who are different, which can be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robust to most. Because no matter what the case is going strong and get through coping. The problem is that people who have only strength. They are difficult to create and make others tired. Only, do your own thinking and not caring.

이들에게 필요한 것이 바로 따뜻함이다. 따뜻함을 통해 이들의 강인함이 더욱 빛을 발한다. 남을 배려하고 따뜻하게 바라보는 시선을 통해 부러지지 않아 최고의 자리에 올라 설 수 있었던 것이다. 따뜻함이 없고 강인함만 있었다면 그들이 그 자리에 가기전에 이미 사단이 나서 부러지고 말았을 것이다. 강인한 면은 인정받아 일정 수준까지는 올라가도 그 이상은 계속 자신은 깨닫지 못하는 이유로 발목이 잡혔을 것이다.
The warmth that is what you need. Through their strength is more warmth shines. Caring and warm eyes looking through the break could not be set up on the top spot. But they had no warmth strength already in place before then Satan would never broken. A robust face recognition more than come up until a certain level has been grabbed his ankle is two euros will not understand.

강인함과 따뜻함을 함께 지니고 있어야 사람들에게 자연스러운 존경을 받을 수 있다. 강인함만 갖고 있거나 따뜻함만 갖고 있으면 타인과의 차별화된 성질로 두각을 나타날 수 있어도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그런 이유로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들은 한결같이 일을 추진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강인하지만 주변 사람들을 돌보고 독려하는데 있어서는 따뜻한 감정으로 함께 하려고 하기에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이다.
With the strength and warmth of the people has to be respected can be natural. But only if they have had the strength or the warmth of the distinctive nature of others and may even stand out as there is a clear limit. That's why people are consistently one the best place to promote the right to run a strong encouragement to take care of the people around, but comes with a warm feeling of trying to be the best place could go up.

한편으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라고 할 수도 있다. 남자의 테스토스테론은 강인함을 대표하고 여자의 에스트론은 따뜻함을 대표한다. 이 말은 남자들은 과다 테스토스테론으로 강인함은 폭팔하고 넘치지만 주변을 따뜻하고 바라보는 점이 부족하고 여자들은 에스트론으로 따뜻함은 넘치지만 일을 하는데 있어 강인함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남성들은 따뜻함을 함게 지니거나 여성들이 강인한 추진력이 있을 때 성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a man and a woman can be called. Testosterone is representative of the strength of men and women represent the warmth of estrone. The mean testosterone of men over the strength of the detonation point of overflow, but looking around the lack of a warm and estrone in women with a warmth flooded it hath ten thousand and one does not practice well. For this reason, along with the warmth Genie men or women be successful when there is a strong driving force.

한편으로는 여성들이 테스토스테론을 과하게 선 보이면 재수없게 바라보기도 하고 남성들이 너무 에스트론이 과하면 이상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실정이다. 적절하게 조화를 시킨다는 것은 이처럼 어려운 일이다. 남성이라고 전부 테스토스테론으로 대변되는 강인함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여성이라고 전부 에스트론으로 대변되는 따뜻함이 표출되는 것이 아닌데 말이다.
On the one hand you see the line excessive testosterone to women unfortunately overlook this exceeds even the men are so strange gaze looking estrone Korea. It is these sikindaneun appropriate coordination difficult. As represented by the strength of all male testosterone also appear as not all women represented by the warmth of estrone But she says that this manifestation.

그리고, 최고의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잘 하는 것은 바로 우리라는 개념이다. 너와 나는 같은 써클에서 있는 공동체라는 생각을 심어주고 내가 강인하게 추진하는 것은 너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신념을 심어주고 같은 써클내에 있는 사람의 어려움을 함께 공유한다는 따뜻한 감정은 나 뿐만아니라 우리라는 개념으로 함께 만들어준다. 이런 행동과 감정을 갖고 있는 지도자에게 사람들은 기꺼이 동참하게 된다.
And the people at the top spot is a good notion of what we are. You and I are in the same circle of community to instill the idea that I was too strong and also helps promote and instill the belief that within the same circle of people with difficulties, as well as share the warm feelings and together we created the concept of gives. These actions and feelings people have a leader who is willing to participate.

책에서는 재미있게도 싸이에 대한 언급도 있다. 그가 아시아를 대표하고 싸이라는 이름으로 관심도 주목을 받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그만큼 싸이라는 브랜드는 전 세계적으로 이제는 누구나 다 알고 있다는 한국사람으로써 신기한 감정으로 읽게 되었다. 그러한, 싸이는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그에게 강인함과 따뜻함은 책에서 언급한 강인함과 따뜻함과는 완벽히 부합하지 않지만 그가 연예계에서 활동한 모습을 볼 때면 확실히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Interestingly, the book is also noted for Boys. He was named as Asia's leading and Im interest with stories could get attention. Im so now the brand is the world as everyone knew that South Korea who was curious to read emotions. Such, the top spot went Psy. The strength and warmth of him mentioned in the book does not meet the strength and warmth and is fully active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but one look at him when I see this is definitely a nod.

다만, 책에서 말하는 최고는 조직생활에서 최고를 이야기한다. 특정 분야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다. 조직생활이 필요없는 분야라든가 개인이 더 강조되는 분야에서는 책에서 알려주는 강인함과 따뜻함이 응용될 수 있지만 책에서 말한 분야들은 한 조직내에서 각 단계에서 수장이 되는 사람을 이야기한다고 할 수 있다. 당신이 지금보다 높은 자리에 올라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However, the book says that the best story is the best in organizational life. Certain areas may be slightly different. Areas that do not require living tissue is more emphasis on private sector radeunga book tells the strength and warmth in this application field can be mentioned in the book, but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at each stage of the story is that a person can be. Higher up you are now in place will inform you what you need to succeed.

누구나 강인함과 따뜻함은 갖고 있다. 남자와 여자의 근본적인 속성이라 더더욱. 둘 중에 하나가 좀 더 우세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대부분 우세하게 나타난다고 해도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강인하지도 따뜻하지도 않다. 둘 중에 하나라도 제대로 사람들에게 어필할 때 사람들은 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여기서 더 발전하고 최고가 되기위해서는 강인함만 갖고는 안 되고 따뜻함만 갖고도 안 된다. 둘 중에 한 쪽이 더 우세할 수는 있어도 잘 조화를 해야 할 것이다.
Everyone has the strength and warmth. More and more men and women because of the fundamental properties. When one of the two appear more dominant. However, most predominantly appears robust even in general terms, and it is not even warm. Well when one of the two people when appeals to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their watches. In order to further develop and become the best here, but have not the strength, and warmth, but also do not have to. In either one, you can have even more dominant and should be well-balanced.

최고의 자리에 오르고 싶은 사람이 갖춰야 할 것에 대한 개념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Those who want to climb the top spot should possess what is the book that tells you about the concept.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