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위성인간 - 불쌍한(Satellite human-poor)


한 인간은 얼마나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 모두들 자신의 인생은 자신이 주인공으로 산다고 믿고 있겠지만 실제로 그렇지는 않다. 내 의지로 살 수는 없다. 의지만으로 살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돈을 벌고 돈을 쓰는 것도 자신의 의지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고 사고 싶은 것을 꼭 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살고 싶은 곳에 꼭 살게 되는 것도 아니다.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누군가의 지시로 해야만 한다.
Independent of human life, how can we live? Everyone is the hero of his own life, but in fact it is not believed live. I will not have to buy. People will only be able to buy not only the brightness. It is to spend money to make money that is not his own will only be able to buy exactly what you want to buy it, not sure where you want to live it not being live. And do not sipeodo. Someone must be in the direction of the sileodo.

많은 것들이 돈을 얻어 자유로울 수 있다고 해도 이 역시도 완벽하지 않다. 돈과 상관없이 다른 사람의 부탁에 어쩔 수 없이 하게 되기도 하고 알게 모르게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아 어떤 일을 하거나 구입하기도 한다. 이렇듯이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대로 살고 있다는 착각과 달리 다양한 상황과 정황과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간다. 평소에도 이럴찐대 내 주변에 있는 사람중에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 있다면 그로부터 자유롭기는 쉽지 않다.
There are many things that money can be obtained free yeoksido it is not perfect. Regardless of money in favor of another person may be forced to learn under the influence of knowing what the people around you, or even the purchase. As such these people want to live in the illusion that they, unlike while being influenced by a variety of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and lives. This happens around me, even in the usual jjindae tremendous influence among the people if the people are to be free from him is not easy.

그것도 내 아버지가 그렇다면 더더욱. 아니면, 그로부터 어떤 금전적인 도움을 받고 있다면 말이다. 우리가 사장을 어려워하는 것이 나에게 봉급을 주는 결정자라 그렇다. 신경을 쓰기 싫어도 써야 하고 그가 하는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따를 수 밖에 없고 무언의 동의를 해야 할 때가 너무 많다. 자신이 평생토록 먹고 살 수 있는 돈을 주는 대상자에게 과연 할 말을 하면서 살 수 있을까? 미치지 않고?
So it's even more of my father. Or, if you hear from him any financial help said. It is difficult for our president decided to give me a salary grew apart. Sileodo write a nerve and he is not happy to have to follow the action not only have to accept the unspoken too much time. He can eat a lifetime of money to do what a person could live with horses? Does not?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길들이면 된다. 나를 떠나서는 살 수 없게 만들면 싫어도 어쩔 수 없이 떠나지 못한다. 이미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을 책에서는 '위성인간'이라 부른다. 이들은 증오의 감정을 갖고 있지만 그가 주는 달콤함에 이미 길들여져 다른 선택의 대안이 전혀 없다. 위성이 지구에서 떨어지면 본연의 가치가 사라지고 쓸모없는 쓰레기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It is not difficult to influence. Deulyimyeon the road. Apart from me you can buy not create sileodo not forced to leave. Because it is already accustomed. To book these people 'satellite man' is called. They have feelings of hatred, but that he was already accustomed to the sweetness of the other choice is no alternative. The inherent value of satellite drops will disappear from the earth useless junk that is just like that.

파티에 모인 사람들은 전부 그 자리가 부담스럽고 싫지만 억지로 참여할 수 밖에 없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들의 존재가 위태롭기 때문이다. 이를 잘 알고 있는 기업주는 교묘히 이용하며 계속 사람들을 머물게 하고 도저히 떠날 엄두를 못하게 길들였다. 첫째, 둘째, 셋째 부인과 자녀들과 떠나지 못하는 인간들로 구성된 파티에서 절대권력자가 죽는다. 그것도 예고한 대로.
People gathered at the party place all forced to participate in a cumbersome and can not but hate. Otherwise, because their presence is witaeropgi. Manipulated by companies that are familiar with it and continue to leave people dare not let you stay and possibly tamed. First, second, third wife and children and not leave the party, consisting of men never dies powers. As you notice it.

'위성인간'은 최근에 소개되는 추리소설과 다른 점이 바로 정통 추리소설이라는 것이다. 더 자극적이고 추리보다 스릴러에 가까운 추리 소설의 장르지만 그래도 추리 소설의 본류인 유럽에서는 여전히 스릴러보다는 추리쪽에 좀 더 비중을 둔다고 보는데 그중에서도 한스 올리브 랄룸은 정통 추리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정통 추리 소설이라고 하면 코난 도일이나 아가사 크리스티의 작품을 이야기한다.
'Satellite man' was recently introduced authentic whodunit mystery and that is where will the other. More than stimulating and mystery thriller genre of mystery novels, but still close to the main river in Europe is still a mystery novel mystery thrillers side more than the proportion among them Hans olive ralrum dundago viewing can be called authentic mystery. Speaking of authentic mystery of the work of Arthur Conan Doyle and Agatha Christie story.

실제로, 책의 초반에 아가사 크리스티에게 이 작품을 받친다고 한다. 책 초반부에 떠 오른 장면은 그 유명한 만화 '소년 탐정 김전일'에서 항상 외치는 밀실 살인 사건이다. 외부와는 철저히 분리된 공간에서 모든 사람들이 한정된 공간에 갖혀 있는데 살인사건이 난다. 빠져 나갈 곳도 없고 들어올 곳도 없는데 살인이 벌어진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추리가 시작되고 어떻게 살인이 되었는지 미궁에 빠지면서 해결하는 과정이 그려진 소년탐정 김전일의 도입부와 같다. 아가사 크리스티의 작품에서 많은 부분을 빚졌다고 하는데 작가가 '소년탐정 김전일'도 아는지 모르겠다.
In fact, at the beginning of the book to the work of Agatha Christie and the batchinda. Scene early in the book is the famous cartoon floating right 'boy detective gimjeonil' murder is always crying behind closed doors. Space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utside and all the people trapped in a confined space, which flies the murder. Where exit for no lift and no where murder happens. How and where to start full-fledged murder mystery mystery has been solved in the process of ppajimyeonseo drawn like the beginning of a boy detective gimjeonil. Agatha Christie owe a large part of the work of a writer in the 'boy detective gimjeonil "I was wondering if we could also.

오로지, 추리로만 사건을 해결하는 것과 같은 공간에 있던 모든 사람들은 서로가 서로를 잘 알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때부터 모든 사람이 범인이 될 수 있다. 다들 각자의 사연으로 살인자가 될 수 있는 충분한 이유를 갖고 있다. 한 명씩 한 명씩 살해된 사람과의 공통점과 과거에 얽혀 있던 내용들이 벗겨지며 서로의 민낯이 드러나며 이야기는 점점 더 미궁에 빠진다. 추가 살인사건이 나면서.
Only, the same reasoning to solve the case only had space for all the people know each other in the majority of cases. Since then, every person can be a culprit. Everyone has their own story of a murderer has to be a sufficient reason. Murdered one by one, one by one, in common with the people and information that was previously stripped jimyeo intertwined with each other more and more of a mystery story minnat this deureonamyeo falls. Over more murders.

추리 소설은 그런 면에서 작가와 독자가 함께 벌이는 지적게임이다. 환경을 만들어 놓고 독자가 내용을 읽으면서 누가 범인인지 추리를 하며 미리 짐작을 하고 작가는 다시 허를 찌르며 아니라고 한다. 마지막에 가서 모든 퍼즐이 하나로 연결되며 완결된다. 눈치 빠른 독자는 중반 이후부터 어림짐작으로 알아채지만 이 역시도 어떤 반전이 있을 지 모르게 된다. 늘 패턴은 가장 가깝고 그렇지 않을 인물인 경우가 대다수지만.
Mystery writers and readers in the face with such a grab point game. Place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 for readers who did read the pre-cognitive reasoning and guessing that the writer is not jjireumyeo aback again. Go to the last one is connected to all the puzzles are completed. Since the mid astute readers will notice the rule of thumb is this - will be reversed only by knowing what to yeoksido. If pattern is not always closest to the people, but if the majority.

뜻하지 우연이 결합되어 사건의 해결은 더욱 늪으로 빠진다. '위성인간'의 내용도 그렇다. 이 사람인가 저 사람인가 하면서 추리를 함께 하는 재미가 있다. 유럽 추리 소설은 - 최근 작품 - 의외로 나치와 관련된 것들이 많다. 직접적으로 사건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를 주는 소재로 쓰이는데 그만큼 유럽인들이 이를 통해 과거의 잘못을 끊임없이 되살려 잊지 않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고 보인다. 그런 면에서 동아시아의 작품들에서 아쉬움이 있다.
Accidental coincidence events are combined to solve the more refreshing falls. 'Satellite human' So the contents. While this reasoning is that guy who is fun to be with. Europe is a mystery - recent work - surprisingly a lot of things associated with the Nazis. Directly related to the case, but it is important to look for a solution to a material through which Europeans sseuyineunde past mistakes so you do not forget to create effects that constantly seems to revive. In that sense, there is regret in the works of East Asia.

책에서는 엄청 잔인하다는 표현을 하는데 절대로 그런 장면이 현재의 기준으로 볼 때는 나오지 않는다. 아마도, 책의 배경이 60년대라 그렇지 않을까 한다. 특이하게도 최근에 저술한 책임에도 시대배경이 과거이다. 추리소설이라 그럴 필요도 없는데 말이다. 저자 자신이 직접 홈즈와 왓슨을 차용했다는 표현을 한 것처럼 모든 조건을 만져 추리하는 매력적인 인물도 나온다.
A representation that the book is very cruel, never seen such a scene when the current does not come by. Perhaps, the book's background is not outrageously called the '60s. Also recently authored responsible unusual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ast. Says it is necessary because for no mystery. Author their own borrowing that Holmes and Watson, as represented by all the terms of an attractive person is out to touch the mystery.

여러모로, 추리 스릴러 장르에서 스릴러를 제외한 정통 추리 분야의 맛을 느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좋은 책이다. 대신에 긴장감넘치는 장면이나 스릴 넘치는 장면은 없다. 차분하게 하나씩 하나씩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추리 소설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In many ways, the mystery thriller genre mystery thriller, except in the field of authentic people who want to feel the taste of a good book. Instead, suspenseful and thrilling scenes, there is no scene. Unreeling calm and logical reasoning, one by one, you can feel the fun of the novel.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