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헌책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 누구나 작가(Come talk to me secondhand book - all artists)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헌책방을 순례한다. 지금은 절판이 되었거나 찾기 힘든 책들을 헌책방에서 발견하고 읽는 재미가 더할 수 없는 즐거움일 것이다. 예전에는 헌책방이 몰려있는 곳도 있었고 동네마다 서점이 있어 언제나 주변에서 가볍게 서점에 들려 책을 들춰보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한 역할을 굳이 하고 있다면 북카페라고 할 수 있는데 누구도 인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헌책방은 명맥을 겨우 겨우 유지하고 있고 서점도 마찬가지다. 있던 서점도 없어지니 실정이니 새롭게 생긴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다.
Most people who like books that imposing a bookstall. Now out of print or hard to find and read the books found in secondhand bookstore can not add to the fun will be fun. Bookstall is also concentrated in the old days where there was always a neighborhood bookstore every bookstore around lightly watched spent the days when a book was heard. If you dare Such a role can be said to Book Cafe will not recognize anyone. Bookstall is barely warrants the name and keep the same is true for bookstores. Go Genie had no bookstores are you also arises a new one that is not even dream.

주변에 책을 읽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헌책방에 자주 간다는 이야기를 한다. 반면에 나는 헌책방을 가지 않는다. 어떤 책이 있는지 확인하고 책을 구경하기 위해 서점을 가는데 어딘지 모르게 헌책방은 가서 꼭 사야만 할 것 같은 느낌이 들고 작은 공간에서 책을 들쳐 보는 것이 부담스럽기도 하다. 이 책의 저자가 운영하는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도 저자의 첫 책을 읽고 가야겠다고 했음에도 아직까지 근처도 가 보지 못했다.
The story of the people who read the book around as often going to look at a story that bookstall. Bookstall the other hand I do not go. Check to see if there are any books books bookstores going to visit just go and buy a secondhand bookstore, but somehow I feel like it is holding a book in a small space, it is the burden deulchyeo seureopgido to see. Run by the author of the book 'bookstall in Wonderland' is to read the author's first book, even though he would have to go so far that I have not seen even close.

하다보니, 윤성근씨가 쓴 책을 전부 읽었는데 어딘지 모르게 부채감이 있다. 간다고 하고 아직까지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책을 읽다보니 두 가지에 대해 생각은 해 봤다. 하나는 출판사를 차려 내 책을 펴 내고 좋은 책을 만드는 것에 대해서. 이 생각은 내 능력이 절대로 되지 않을 듯 해서 아주 잠시 생각하고 말았다. 가끔, 나에게 출판사를 만들지 그러냐는 이야기를 하던데, 최근에 주변분들중에서 출판사를 차린 분들이 있는데 그저 그들이 대단하다는 생각만 할 뿐이다. 그중에 책을 펴 내자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기는 하다만..
It turns out, Mr. yunseonggeun somehow I read all books written by a sense of debt. And had failed to go yet. Read the book I looked I saw the two of thinking about. I dressed up in one of the book publisher to create a great book about what straighten out. I never thought of this does not seem capable of thinking for quite awhile and fell. Sometimes, to make me snap out the story something fierce publisher, publisher recently charin of those people around there, but you just think they are just great. Spread among them in the book because people are asleep to speak, but ...

두 번째는 북카페를 차리는 것이다. 이것은 언제가 한 번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북카페 내에 있는 책은 전부 내가 읽은 책으로만 구성한다. 시간이 늦어지면 늦어질 수록 절판되고 없는 책이 생길텐데 그러면 헌책방을 돌아다니면서 구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내가 거기서 강연도 하는 정도로 말이다. 북카페를 통해 돈을 번다기 보다는 운영만 되면 될 정도로 하고 돈은 부가상품이나 내가 하는 다른 일을 통해 충당하면 될 듯 하다. 가능할 지는 모르겠다. 아님, 주변 분들의 도움을 받으며 운영하거나. 여하튼, 특색있는 북카페 하나를 만드는 것이다.
The second book will be a cafe serving meals. This is one time when I was thinking that I want. Book Cafe in the book I read all of the books are the only configuration. Out of the ground the more delayed time and without delay cause the book would not we then seek to go around bookstall. Made about the size of a large franchise cafe lectures to the extent that I said there. Book Cafe, but rather operates through the money, but time and money is added to such an extent, the product through one or the other I seem to be the cover. I do not know where possible. Or, operate or receive help from those around. Anyway, to create a distinctive one book cafe.

책을 읽는 방법도 여러가지인데 그 중에 많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것 중에 하나가 책에 메모를 하며 읽는 것이다. 읽다가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친다거나 떠오른 생각이 있으면 펜을 들어 책에 적어 놓으면 다음에 다시 책을 읽을 때 도움이 되고 메모한 것만 읽어도 자신의 생각이 떠올라 좋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나 같은 경우 도서관에서 빌려보다 보니 책은 완전히 새 책으로 본다. 내 책이라 하더라도 집에 있는 책을 보면 하나같이 완전히 새 책이다. 그렇기에 주변 사람들에게 줄 때도 부담없이 줄 수 있다.
How to read a book that many of the people in various ways, but it is recommended that a note in one of the books will be read. Reading is an important part to underscore the idea came up when hit or lift the pen next to the book written down helps to read the book again and read only memory is his idea of ​​a good will float. Even if I looked more like a book borrowed from the library if you are completely new look book. Even in my book as one look at the book in the house is a completely new book. So when the people around you can feel free to be.

진정으로 책을 제대로 읽는 분들은 나처럼 깨끗하게 읽는 스타일보다는 책에 메모를 하고 중요한 부분은 포스트 잇을 끼워넣고 책 하나를 통해 빼 먹을 수 있는 모든 것은 다 빼 먹도록 노력을 한다. 한 번 읽은 책은 책을 펼쳐보지 않고 쭈우욱 들쳐보기만 해도 저절로 머리속에 다시 떠오른다. 이 정도면 책 한 권에서 내가 원하는 것은 다 얻었다고 볼 수 있다. 나는 도저히 그렇게까지는 못 읽고 완전 새것으로 책읽고 이렇게 리뷰를 쓰는 것이 전부지만.
People who really like me to read the book to properly clean a book rather than reading notes on style and gums important part of the post put into one book all through it to pull out edible effort to eat. Unfold once read a book without looking at the book, but even squat itself Ouch View deulchyeo Rises head. This enough is all I want from a book can be gained. So far, I can not possibly read the book to read a complete new one, but so is everything to write a review.

헌책은 누군가 이미 읽었다는 뜻이다. 가끔 읽지도 않고 그 즉시 헌책방에 파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 모 회사에서 중고 서점을 대형화해서 곳곳에 만들고 있는데 그 곳에 있는 책들중에는 읽지도 않고 파는 책들도 있다. 더구나, 분명히, 중고서점임에도 아무 책이나 막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분명히 다 읽은 책을 사고 파는 장소인데 너무 오래되거나 상태가 안 좋다고 받지를 않는다는 것은 중고서점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고 돈만 벌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실제로 그 중고서점을 가면 볼 책이 너무 없어 실망할 때가 많다. 
Secondhand book means that someone is already read. Sometimes selling a secondhand bookstore and immediately read it in some cases. Used bookstores in recent enlargement of the parent company and the books all over the place during its making, which sells books, not read it, too. Also, apparently, even used bookstore will not accept any book or film. Clearly the place to buy and sell books read but do not feel too old or not state that it is not the role of pre-owned bookstore wanting to earn money without having properly read as meaning. Actually go see the books used bookstore is too often not to be disappointed.

사람들은 글 쓰기를 어려워하지만 누구나 글은 쓴다. 지금처럼 SNS가 발달한 환경에서는 다들 단문이라도 수 많은 글을 남긴다. 예전에는 책에 자신의 생각을 적는 경우가 많았다. '헌책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는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에 있던 책중에 메모를 발견하고 인상깊었던 내용을 발췌해서 알려주는 내용인데 예전에 대학교에서 화장실에 쓴 낙서를 모아 시집식으로 펴 낸 책이 떠올랐다. 단문이든 장문이든 시대상황을 담고 있었고 위트가 넘치는 재기발랄한 글도 있었다.
Anyone who posts an article, but are difficult to write and write. SNS as now even a development environment in a number of short articles and leave everyone. In the past, books were often write down their thoughts. "Come talk to me secondhand book" Alice in a secondhand bookstore and found a note was impressive during the book to extract the contents to inform it about once wrote graffiti on the bathroom together at the University of poetry straighten up way came up with a book . Whether short or lengthy period contain the situation was witty writings were full of wit.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가 나도 20대에 글을 좀 많이 쓸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쓰고 있는 글들은 대부분 이성적이다. 감성보다는 이성에 많이 치우쳐져 있는데 20대에는 아무리 이성이 넘쳐난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감성이라는 감정이 풍부한 때라 쓴 글에서 숨기려 해도 숨길 수 없는 감성이 묻어나올 것이다. 그 때에 쓴 글은 두고 두고 내 찬란한 감성이 넘쳐나서 오글거리고 쑥스러워도 시간이 갈수록 다시는 찾을 수 없는 감성이 있었을 것이라는 회상에 젖었다.
While reading the book, I felt it was one of 20 in the article that I write a lot of thought. Article writing is now mostly rational. More emotional than rational biased in the opposite sex, which was flooded at 20, no matter how it has fundamentally rich emotional feelings that it's time to hide the writing can not hide emotions are buried will come out. I left the place at that time wrote a brilliant sensibility, even shy neomchyeonaseo georigo Oglethorpe again find over time that there was no emotional recollection wet.

책의 겉표지에 쓴 메모들이 대다수를 이루는데 쓴 글을 읽어보면 거의 대부분 20대의 친구들이 - 이제는 나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을 수 있지만 - 자신의 고뇌와 우정, 사랑등에 대해 길지 않게 짧지만 함축적인 단어로 남겼다. 누가 볼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 일기가 가장 내면 깊은 곳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처럼 책에 쓴 글들도 누군가에게 보여줄 것이라는 의식없이 썼기 때문에 더욱 진솔한 감정이 묻어나온다.
A note on the cover of the book are written by achieving a majority by reading the 20s most friends - now much older than me, but a lot more people - their anguish and friendship, love and short, but not for long left implicit in the word. Who does not think the ball deep inside the story of the diary, which contains writings, as is written in the book will show anyone more honest, because without them wrote out buried emotions.

책에 메모를 한 사람들은 아주 평범한 사람들이지만 그들이 써 놓은 글을 읽다보면 어떤 글은 울림을 주거나 명문장이라는 느낌마저 준다. 억지로 글을 쓰기 위해 쓴 글들이 아니라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온 느낌과 생각을 쓴 글이라 누구도 따라오지 못할 진실이 담겨져 있다. 또한, 글을 쓴 시대상황도 저절로 행간에 읽힌다. 그 당시가 아니면 절대로 알 수 없는 느낌뿐만 아니라 그 시대를 공유한 사람만 수긍할 수 있는 감정은 동시대를 함께 겪은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연대감내지 동질감이다.
Note book, but people are very ordinary people look at what they wrote articles to read article gives a ringing or even a feeling myeongmunjang. Posts are written by force, not for writing comes naturally in feeling and thinking wooreo because no one wrote the truth is put not come along. In addition, wrote on era situation itself read between the lines. Never was unknown at that time or those times, as well as to share the feeling that only one person could agree with the sentiment of contemporary Only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sense of community is to chemistry.

지금까지 깨끗한 상태를 그대로 보전하며 읽던 내 습관이 변하지는 않겠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향후에 누군가에게 책을 줄 때는 간단한 감상이나 메모라도 하고 주면 좋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솔직히, 약간 귀찮아서 책을 선물할 때 그냥 주는 편인데 나중에 시간이 지나면 누군가에게 선물할 때 남긴 간단한 메모가 역사가 되고 추억이 되어 우연히 다시 만날 때 그 메모를 통해 서로 다시 한 번 공유할 수 있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더 즐겁게 회상할 수 있을 듯 하다.
Conservation and clean so far as it has changed my habits while reading this book, read it or not saw the future when you give someone a book, even a simple note to appreciate and give judgment jotgetdaneun asleep. To be honest, just a little troublesome when you book a flight to the present time, but later, after a gift when someone left a brief note on the history and the memories of that note when they meet again by chance once again to share with each other through a consensus in seems to be more fun to be able to recall.




저자의 다른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