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이케아, 북유럽 경영을 말하다 - 이케아(IKEA, the Nordic management speak - IKEA)


최근 몇 년동안 전 세계적으로 '머스트 잇' 상품이 되면서도 매니아적인 상품들이 몇 개 있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아이폰'과 '이케아'다. 둘 다 기존에 없던 것을 완전히 새롭게 만들었다기 보다는 기존의 것에 약간의 첨가물과 발상의 전환을 통해 사람들에게 다가갔고 디자인이라는 아주 멋진 도구로써 사람들의 시선을 완전히 사로잡았다. 사회가 발달할수록 사람들은 똑같은 상품이면 좀 더 예쁜 상품을 선택한다.
In recent years, the world of 'It Must' products while still a few enthusiasts who had goods that would be representative during the 'iPhone' and 'Ikea' it. We both were not previously existing one, rather than a completely new made ​​some additions and ideas people came up through the transition as a tool for a very cool design that completely caught the eye of people. People are more developed society, the same product and select a more beautiful product.

비슷하고 예쁜 상품이라면 스토리가 있는 상품을 선택한다. 이런 면에서 이케아는 사람들에게 스토리를 함께 전달한 측면이 있다고 본다. 완성된 제품을 보고 가장 맘에 드는 것을 구입해서 집 내부에 들여놓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집구조는 이미 파악한 상태에서 집과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가구를 직접 선택하고 조립까지 할 수 있다는 것은 내 것이라는 느낌을 넘어 내가 만든 것이라는 애정까지 듬뿍 담겨 이케아를 바라보게 된다.
If the story is pretty similar to the product, select the product. In this sense, IKEA delivered with the people side of the story believe. To see the finished product that I like best buy and placing it inside the house to let the house structure has already been identified as his home state and get along with the furniture that you can directly select and assemble it in to the feeling that beyond that I made love to see a lot of hope contained IKEA.

특히, 트랜드에 민감한 젊은층으로부터 폭발적인 사랑을 받게 되어 이케아는 단순히 가구라는 개념을 넘어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감정까지 구입하는 사람들에게 심어주고 이케아 가구를 보면서 사람들은 나도 갖고 싶다는 욕망을 갖게 된다. 분명히 조립을 하는 가구임에도 - 직원이 조립해주기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 가구가 세련되고 예쁜 것이 더욱 큰 인기를 큰 요소로 보인다.
In particular, the trend-conscious young people receive from the explosive love IKEA furniture is simply beyond the concept that enriches the lives of people who buy to instill feelings IKEA furniture I have to look at people who have the desire to want. Apparently, even the furniture assembly - even the staff that has been assembled now know, it is more beautiful furniture is stylish and seems to be very popular in big factor.

이케아는 명품이라는 느낌은 없어도 고급스럽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어 어느 정도 수준이 되는 국가와 집에서 구입한다. 무엇보다 직접 조립을 해야 한다는 점은 아주 아주 큰 부지를 필요로 하기에 도심에서는 매장을 찾기가 힘들다. 책에서도 이런 이유로 도심보다는 보다 큰 땅을 사용할 수 있는 주변부를 활용한다고 한다. 매장뿐만 아니라 임대로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IKEA is a feeling of luxury without the high workable images that have a certain level is buying a house in the country. That you must assemble yourself than what you need is a very very big sale in the store for hard to find in the city. For this reason, a large city in the book than in the periphery of the land can be used to take advantage of that. You can also take advantage of the store as well as because of lease.

책은 바로 직전의 CEO가 저술한 책이다. 그래서, 그런지 책 내용이 좀 딱딱하고 따분하기도 하다. 이케아의 사상과 정신을 전파하는 것까지는 좋은데 글이 참 읽히지 않게 썼다. 무엇을 말하려는지 알겠는데 각 장의 타이틀만 읽어도 될 것 같다. 누군가에게 읽히기 위해 썼다가 보다는 스스로 자신이 퇴직하며 정리하는데 보다 큰 의의를 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Just before the book is a book written by the CEO. So, grunge book content may be a little hard and boring. IKEA will spread the ideas and spirit of being read is true so far, good written article. What you're trying to say, but I know I read the title of each chapter is going to be. To be read in person than someone who has spent his retirement, which were greater than the significance Maybe you also want to put it.

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개념이 10/10이다. 이케아는 상장기업이 아니다. 개인 기업은 분명히 아니지만 상장되어 있지 않기에 보다 유연하게 당장의 이익에 집착하거나 보여줄 필요는 없다.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차분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다. 여기서 말하는 10/10은 올 해 눈에 보일 정도로 발전하거나 내 년에는 달성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보다 긴 호흡을 갖고 10년 동안 발전시킨다는 개념이다.
This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book is 10/10. IKEA is not a listed company. Private companies are not clear, but it is not listed in the interests of greater flexibility now need to show or not to stick. Il ilhui can grow, rather than calmly environment. In this context, 10/10 so as to be visible in the development of this year or next year, you have the goal to be achieved, not longer than 10 years to have breathing sikindaneun concept of development.

이러면, 다들 당장의 이익을 추구하느라 놓치게 되는 많은 부분을 개선할 수 있다. 이케아는 지금까지 가능했다. 앞으로도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서 나는 모른다 . 하지만, 발전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여전히 이케아를 알고 있기만 하고 써 보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다. 나같은 경우에도 알고만 있지 단 한번도 써 본적도 없고 이케아 물건을 직접 본 적도 없다. 쓰고 있는 사람들이 좋다고 하는 것만 들었을 뿐이다.
Yireomyeon, they're missing out on right now being spent to pursue the interests of a large portion can be improved. IKEA was possible until now. I do not know about the future, whether possible. However, progress is still a possibility. IKEA and still write as long as you know there are more people who have not seen. Even if you do not like me, but not once you know things IKEA does not write directly touched not seen before. I heard only good people writing only.

스칸디나비아 스타일로 통칭되는 이케아. 북유럽에서는 또 다시 스웨덴 스타일로 불리고 있다. 특이하게도 이케아는 스웨덴 기업이지만 다소 복잡한 지배구조다. 네델란드, 스위스등으로 말이다. 세금때문에 그런 듯 한데 좀 장황한 설명을 한다. 전 세계적으로 펼쳐져서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이라 쉽지 않을 듯도 하지만 지금까지 잘 운영해 오면서도 결코 무리한 확장을 하기보다는 보수적인 운영방법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IKEA collectively known as the Scandinavian style. Again, as in Sweden, the Nordic style called. IKEA is a Swedish company, but rather unusual complex governance structure. Netherlands, Switzerland, for fun. But that seems a bit long-winded description of tax due to the. Spread throughout the world, and so business is not easy because the company operated deutdo well, but so far unreasonable expansion is ever coming conservative methods of operation, rather than generate revenue through the stable.

수 많은 가구 기업들이 이케아에 도전했고 비슷한 컨셉으로 등장했지만 이케아만 유일하게 아직까지 살아남았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분명한 것은 이케아만의 문화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전파한 것이 가장 커 보인다. 이케아에 고객 각자의 추억과 경험이 남아있어 계속 이케아만 고집하고 추억을 계속 덧입혀 편향에 빠지지만 이케아는 지속적으로 좋은 물건을 공급하고 스토리를 만든다.
IKEA furniture companies have a number of similar concept had emerged to challenge, but so far only IKEA, but survived. IKEA several reasons for this, but it is clear that creating a culture of the people is the most spread looks great. IKEA customers remain in their memories and experiences continue to stick to IKEA, but fleeting memories keep ppajijiman IKEA continues to inflict bias supply and the story makes good stuff.

이제는 은퇴한 전CEO의 이야기라 생생한 내부적인 내용을 볼 수 있을 것도 같은데 그런 면에서는 다소 부족하고 글의 재미면에서도 부족하고 전체적으로 그다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이케아의 성공스토리를 재미있게 했다면 그나마 좋았을텐데 이마저도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의 입장이 아닌 글이라 읽는데 참 힘들게 겨우 읽은 책이다.
Now the story of a retired former CEO vibrant place to be able to view the contents of internal think that it is somewhat lacking in terms of the lack of posts in terms of fun and can read the whole book is not so much fun. IKEA's success story should have a lot of fun if you dont yimajeodo position of those who read this book and not just read the article because reading a book is really hard.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