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면왕 이철호 이야기 - 그래도 끝까지 포기하지마(Ramen king lee chul ho story - never ever give up)



노르웨이에서 라면으로 유명한 이철호씨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일본처럼 라면 전문 식당을 창업해서 노르웨이 전국으로 프랜차이즈식으로 만들어 유명해 진 사람이라고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에도 찾아와 강연을 한 것도 알고는 있었기에 관심을 갖고 책을 잡아 읽게 되었다. 막상 읽어보니 라면을 직접 조리한 것은 아니였다. 우리나라처럼 1회용 라면으로 유명한 것이고 그 라면을 우리나라 업체와 계약을 통해 수입할 때 노르웨이에 맞춰서 크게 성공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Famous in Norway, if I heard that story, Cherl - Ho Mr. people think that when the Japanese start-ups like a professional restaurant franchises all over the country of Norway made ​​famous by Gene. Know that in Korea, came to lecture was grab a book to read because I have an interest. When they read, I was not cooked ramen. Disposable, if a country like Korea famous and learned that through an agreement with Korea companies to import their noodles according to Norway was a great success.

우리나라에서 성공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노르웨이에서 성공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대단하다는 말을 아끼지 않고 하고 받으실 분이라 본다. 그것도 노르웨이로 식구들이 이민을 간 것도 아니고 어린 나이에 홀로이 낮선 땅에서 말도 통하지 않고 피부색도 다른 곳에서 책에서는 차별을 느껴보지는 못했다고 해도 분명히 자신있게 행동하는 것에 자기검열과도 같은 위축이 있었을 텐데도 불구하고 혼자 온갖 일을 다하면서도 이겨냈다는 것이 인간승리다.
 To success in Korea and receive spared It's not an easy job and the fact that success in Norway, and awesome horse with looks. It between the family immigration to Norway nor strangers in the land of ridiculous holroyi at a young age, skin color without going anywhere else in the book felt discrimination even mothaetdago not see clearly to act confidently and self-censorship even though it would have been such as atrophy and all sorts of things alone survived, while all the human victory.


'라면왕 이철호 이야기'는 완전개정증보판이라고 하는데 그 전 책 제목이 '그래도 끝까지 포기하지마'라고 하는 것처럼 어린 시절부터 자신의 상황에 순응하거나 체념하고 포기하지 않고 늘 상황에 절망하지 않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했다는 점에서 일반 사람과는 다른 영웅이라는 칭호를 받아도 딱히 무엇이라 할 수 있지 않을 듯 하다.
'Ramen king, Cherl - Ho Story' is a completely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of that from childhood to their own situation, as the book title ',' Do not give up, though, that without giving up or resignation and compliance can be always in the situation yourself, do not despair.seems particularly what can not qualify for the common man and the other heroes of the title by virtue of the fact that that is, to the best

6.25를 어린 나이에 겪고 미군 막사에서 우연히 생활을 하게 되고 거기서 전투 중에 부상당해 생사의 갈림길에서 은인을 만나 - 은인도 평소에 이철호씨가 열심히 노력한 결과로 인한 인연덕분에 - 그 당시에 부상을 치료할 수 있는 노르웨이로 갔다 거기서 화장실 청소부터 돈을 벌어 생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고 돈이 없어 빵을 먹는다. 
6.25 chance at a U.S. military barracks at a young age, experiencing life there during the battle and the wounded from the crossroads of life and death meet benefactor benefactor normally caused as a result of hard work, Cherl - Ho, Mr. Destiny, thanks - that at the time of injury can be treated inwent to Norway, where life can make money from cleaning toilets whatsoever, and do not have enough money to eat bread.

그 빵이라는 것이 제과점에서 돈 주고 산 빵이 아니라 버리기 직전의 빵이나 공원에 줄 비둘기에게 갈 빵을 가서 준다고 하여 집에서 물에 빵을 불려 먹고 버티면서도 늘 어떠한 일도 마다하지 않고 했다. 이런 점에서 솔직히 책을 읽으며 책을 읽고 있는 나와 비교하게 되는데 과연 내가 그런 상황에서 그렇게 행동했을 것인가에 대한 자문자답에는 물음표를 달 수 밖에 없는 것이 아니라 노력은 했겠지만 그처럼 치열하게 노력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Bread to go go jundago pigeons bread, but the bread that money bought at a bakery line right before bread or in a park, and always at home while hanging out eating bread in the water is called what happened hometowns. Honestly, read a book and reading a book at this point is shown to compare really asked myself about whether I have acted in such a situation so that the question mark only the number of months, but the effort would have such a fierce effort would not have been.

더구나 그러한 노력을 성인이 된 후에 한 것이 아니라 노르웨이에 갔을 때 청소년시기였으니 얼마나 힘들게 고생했을 지는 저절로 느껴진다. 본격적인 직업을 요리사로 정한 것도 최소한 요리쪽 일을 하면 먹는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이야기에는 인간이 노력을 하면 도움이 어디선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리를 택했기 때문에 지금의 라면왕 이철호가 탄생한 것이니 말이다.
 Moreover, after such efforts as an adult one, but when I went to Norway, adolescents suffer when it showed how hard that is itself feels Human effort you set a full-fledged job as a chef, cooking side of things when you eat anything at least you do not have to worry about would be that the story can see that help is somewhereNow because you chose to cook ramen king said, Cherl - Ho was born;


그 후에는 실질적으로 최선을 다해 자신의 직업에서 노력을 했다는 이야기라고 볼 수 도 있는데 우리가 '생활의 달인'이라는 프로에서도 똑같은 사람인데 누구는 잘 하고 누구는 더 잘하고의 차이가 똑같은 일을 해도 어떻게 하면 더 잘할까를 고민하고 고민한 결과로 나온 결과인 것처럼 이철호씨도 똑같은 일을 해도 어떻게 하면 더 잘 하고 잘 할 수 있을까를 늘 고민하고 연구하고 게으림피지 않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오로지 본인 스스로 의지로 이겨낸다.
Then substantially devoted to their profession in the story was trying to see that we the "master of life" is the same person as a pro who is a difference of who is doing better do the same thing, how doeslazy rim Fiji, Cherl - Ho If you do the same thing, even if Mr. distress as a result of the results as if they were struggling to do better and better and could be always worrying and research and without being conscious of the gaze of others, only yourselfyigyeonaenda the commitment to yourself.

한국에서 라면을 수입한 후에도 라면의 생김새부터 먹는 것까지 그 어느 하나 노르웨이 사람들에게 친숙하지 않았지만 직접 발로 뛰며 어떠한 상황에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화도 내지 않으면서 인내하고 세일을 한 결과로 노르웨이에서 라면의 점유율을 90%로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는 원동력이 된 것이 아닐까 한다. 게다다 이철호라는 콘텐츠가 워낙 탄탄하고 브랜드가 유명하니 노르웨이 모든 사람들이 단순히 라면이 아닌 노르웨이라는 국가까지 생각하는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이다.
Appearance from eating ramen ramen in Korea after import to its feet, but directly to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Norway to affinities playing time without having to give up in any situation without patience and one sale in Norway, as a result of the sharemaintained until now (90%) and the driving force behind it is the twin Norway, a country, not just ramen until known brand it is, all people in Norway think that Furthermore, the content, Cherl - Ho is so strong and want to be the thing.

이철호 개인의 노력과 그에 따른 성공도 인상적이지만 그것이상으로 - 자세한 저간의 사정을 속속들히 모른다는 한계는 있지만 - 노르웨이라는 나라에도 상당한 인상을 받았다. 지금은 그나마 어느정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자기들의 나라에서 볼 수 있다고 하지만 40~50년 전부터 피부색도 다른 인간에 대해 특별한 차별을 하지 않고 - 신기해서 아이들이 와서 머리카락을 뽑기도 했다고 하지만 - 똑같은 인간으로 대했다는 사실에서 노르웨이라는 나라의 시스템과 국민성등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물론, 노르웨이 뿐만 아니라 독일, 스위스등도 책에 언급되니 포함된다.
, Cherl - Ho personal effort and success is impressive, but more than that - more jeogan a matter of one after another of the Hebrews might limit - but in Norway, a country received a considerable impression. Now dont 40-50 years ago, the skin color is also special for another human being without discrimination - Weird kids hair to come draw also had some could see a variety of people from their own country, but around the world - but the same as a human see daehaetdaneun think about from the fact that Norway is the country's system and nationality. Of course, Germany, Switzerland and Norway, as well as wonderful mention in the book are included.

이렇게 살아라 저렇게 살아라고 아무리 이야기를 해도 본인이 직접 보여주지 않으면 공허한 말이 되기 일쑤인데 이철호씨는 늘 자신이 실천하며 이를 이야기했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는다. 자기 계발서를 몇 권 읽는 것보다 이런 책 한 권을 읽는게 더 도움이 되고 각오를 다지게 만들어 준다. 무엇보다 직접 실천한 인물의 이야기니 말이다. 아무래도 내가 이철호씨라면 난 그렇게 못했을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더더욱 대단한 듯 싶고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Thing called living like that, no matter how yourself does not show even if the story is likely to be empty words, Cherl - Ho Mr. stories of my own practice and because receive respect from the people around you. Makes it more helpful and willing to forge one of these books to read than reading a few books self gyebalseo. Practice a figure than what the story said. , Cherl - Ho Mr. If I maybe I would think that is more because it seemed a great many people want to read this book is that I hope
다른 평범한 영웅들(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