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동물농장 - 조지 오웰 (Animal Farm - George Orwell


'닭장속에는 암탉이 꼬끼오~~'하는 노래의 제목은 동물농장이다. 일요일마다 어김없이 친근한 동물들에 알려주는 프로그램 이름이 TV 동물농장이다. 동물들이라고 하면 무서울 수도 있고 친근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동물농장이라고 하면 가축을 키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무섭다는 생각은 거의 들지 않는다. 
Animal Farm 'chicken coop inside the hen cluck' to the title of the song. Is the name of the program to inform every Sunday without fail friendly animals TV Animal Farm. Animals that may be scary or friendly. But Animal Farm, As I think that raising livestock, a scary thought, almost nothing.

이러한 친근한 느낌이 드는 동물농장이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는 작품이 있으니 바로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이다. 소설을 읽을 때 알게 모르게 현실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생각을 해 보거나 '이건 뭘 이야기 한다'라는 느낌을 갖게 될 수 있다. 작가가 명확하게 의도에 대해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고 읽는 사람이 알아서 유추를 해야 한다. 
May never know that that is not true favorite animal farm these intimate works by George Orwell's 'Animal Farm'. When you read the novel, think about what is happening in the real world, knowingly or unknowingly, you can try it out, or you will have a feeling of 'This is what the story is'. In such cases, the writer is clearly intent on talking about but if you need an analogy extremely rare to read a person take care of.

'동물 농장'같은 경우에는 조지 오웰이 어떤 의도로 소설을 썼는지 알려 주기도 했지만 본인이 왜 글을 쓰는지에 대해서도 사람들에게 알려줬기 때문에 굳이 숨은 그림 찾기를 할 필요가 없다. 다만, 이런 건 있다. 조지 오웰이 동물 농장을 펴 낸 해에 있었던 사건이나 나라중에 떠 오르는 나라가 있었겠지만 지금 이 시대에 동물 농장을 읽고 떠 오르는 사람이나 국가나 단체등이 또 다시 있다는 것이다. 데칼코마니도 아니고 신기하게도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
Why I like 'Animal Farm' by George Orwell wrote the novel with the intention of any known also, but to sseuneunji warn people about because you do not need to bother to find the hidden picture. However, is such a thing. Floating climbing the country during the country George Orwell Animal Farm straighten figured was the case or might have read Animal Farm, floating now, in this day and age who climb or country or organization, such as that again. Dekalkomani nor Curiously, such a thing is happening.

단순하게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 이래로 계속 반복해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라는 거다. 갈수록 사람들이 똑똑해지기 때문에 그에 맞게 상황을 변화시키고 교묘하게 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즉시 알아채는 위험이 있다. 문제는 여전히 모르고 당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거다. 알아채고 외치는 사람들이 이야기는 워낙 소수라 묻혀버려 진실은 저 너머가 되어 버린다.
Repeatedly ever since the history of what is happening is called, but simply happen stories 206965. Increasingly people are smart because people cleverly changing the situation accordingly if you do not immediately grasp the risk. The problem is that many people are still unaware of being'll I noticed people talking shouting, so a handful buried discarded beyond the truth is discarded.

지금은 사라졌지만 예전에 당구장에 가면 자주 볼 수 있는 그림 중에 하나가 있었다. 벽에 떠 하니 걸려 있는 그림에는 상당히 탐욕스럽게 보이는 돼지와 개들이 당구장에서 당구를 하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대부분의 당구장에서 흔적조차 찾아 볼 수 없었는데 혹시나 민초들의 억압이 그런 곳에서 발산되었다고 하면 억측에 불과할까? 하긴, 내가 당구장이라는 보통명사로 표현을 했지만 다양한 당구장을 가 본 적이 없으니 내가 간 당구장이라는 표현으로 정정해야 할 듯 하다.
Had in the past is gone, but now go to the billiard room, the one often seen in Figure. Could be seen floating on the wall paintings that were hanging do look quite avidly looking pigs and dogs and billiards in the billiard is described now You could not even find the trail in most of the billiard ball case oppression emanating from such grassroots assumptions have been if you just do? Indeed, it seems to do not billiards is usually expressed as a noun, I am, but I've seen a variety of billiard, billiard phrase I'm gone, you need to correct.

만약 내가 살고 있는 이곳이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이라고 생각한다면 둘 중에 하나이다. 내가 이상하거나 남이 이상하거나. 나는 느끼는데 남들은 느끼지 못하니 이상한 것이다. 나만 이상한 것을 넘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상하게 느낀다면 그때부터 조금씩 여론이 형성될 것이고 한 두명씩 깨닫게 되면 본격적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려 하겠지만 몇몇에만 한정된다면 아마도 내가 이상한 것이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여전히 진실은 저 너머일 것이다.
One of the two, if I live in George Orwell's Animal Farm, if you think you I, or others, or at least more than I Zaphod others do not feel strange. Than a lot of people felt strangely beyond strange that my own Since then, little by little public opinion will be formed if the two realize in earnest when trying to change society, but some limited if perhaps I have not strange would want to , But the truth is beyond me still.
도대체, 무슨 말인지 좀 거창한 쓰잘데기 없는 말을 썼는데 그렇다면 동물 농장의 내용이 어떠하기에 이런 생각과 글을 쓰게 된 것일까? 한 번 쓰자면 짧게 하면 어느 동물 농장에 인간의 지배에 동물들이 반란을 일으켜 사람들을 쫓아냈고 동물들이 평등한 세상을 만들자고 했지만 그중에 몇 몇 동물들이 다시 다른 동물들을 지배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To Animal Farm what the hell wrote that rubbish, you say what you mean some tremendous Then, which was inspired by this idea and writing? Once Refurbished ends as short as any animal on the farm, to the domination of the human animal people revolted went on to chase the animals, and creating a world of equality, a few of them, but a few animals to have dominion over the animals again.

어딘지 너무 짧다. 보다 길게 쓰자면 인간들이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제대로 대접하지도 않고 동물들에게 착취만 하고 있어 어느 날 자신들이 살고 있는 동물농장에서 쫓아내고 동물들이 살아갈 나름대로의 법과 체계를 만들어 평등하게 일하고 먹고 살 수 있게 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몇 몇 동물이 자연스럽게 보다 앞 선 지위를 갖고 여러가지 지시를 내린다. 동물 농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동물들은 초반에 여러가지를 배우지만 그 중에는 교육속도에 따라 받아 들이는 것이 달라졌고 차츰 차츰 노동의 강도는 예전과 달라 진 것이 없지만 그래도 스스로 원해서 한다는 믿음을 갖고 노동을 했고 점차 예전과는 조금씩 조금씩 무엇인가 달라진다는 느낌을 갖게 되었지만 무엇인 변화 된 것인지 알아채기 힘들정도로 서서히 변화되어 그저 시키는 대로 하게 되면서 특별한 의심을 갖기 보다는 보다 열심히 노력하자고 생각한다. 
Where it is too short. Refurbished longer than humans to animals solely for the benefit of their own, nor treated properly exploitation and its own laws and system to expel their animals that live on a farm one day live animals created equal work, but able to live among them, some animals naturally than have the front-line position to make various instructions. Animal farm to expand and improve the lot of animals in the early learned many things, but among them, depending on the speed of Education to accept different and gradually the intensity of labor is not the same as before, but you would not still have themselves voluntarily belief that labor and what changes you want to notice too is slowly changing as just that, rather than have a suspicion as to the old and gradually, little by little, but have a feeling depends What is harder than I thought I'd spend trying.

이렇게 쓰면 여전히 뭐가 문제인지 잘 모르겠다는 느낌이 들어 조금 더 길게 쓰자면 분명히 모두 함께 노력해서 얻은 결과물로 동물 농장을 인간이라는 거대한 적에게서 쟁취한 것이다. 그 후에 모든 동물들이 함께 잘 살기 위해서 그전과는 다른 합의를 정해 지키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각 동물들이 알파벳과 같은 교육을 받게 된다. 농장에서 하는 일이 기존에는 억지로 시켜서 한 일이지만 이제는 다들 스스로 자신들의 자유와 행복을 위해서 하는 행동으로 변했고 일도 자발적으로 하다보니 더욱 생산성있는 작업을 이뤄냈다. 보다 똑똑하다고 생각되는 동물이 하나씩 더 좋은 동물농장으로 가기 위한 다양한 제안을 한다. 그들의 이야기가 처음에는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지만 점점 갈수록 그들의 제안이 모든 동물들에게 똑같은 잣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일부 동물들에게만 좋은 일이 생기고 많은 동물들에게는 여전히 피부로 느낄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전 인간의 지배하와 그다지 다를 바가 없다. 그래도 어떤 식으로 인간을 쫓아내고 이 동물농장을 획득했는지 알고 있는 동물들은 '내가 더 열심히 일 하면 된다'고 믿는다. 이 한 몸 동물 농장을 위해 아낌없이 쓴다는 생각을 갖게 되지 절대로 절대로 누군가에게 이용당한다는 생각을 추후도 해 본 적도 없고 비슷한 이야기라도 들을라치면 그 동물은 동물농장의 적으로 간주된다. 점점, 분명히 예전과 달라진 것은 없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지만 함께 동물농장을 세운 지도자들이 우리를 이용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못하고 그들의 모든 행동과 말은 오로지 우리를 위한 것이라 믿고 따른다. 
Still feel what the problem is, you do not know how to do, to put a little longer so write clearly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all working together huge human animal farm from enemies win is. After which all animals live together well before that, and the other agreed to decided to keep it. For this purpose, such as the alphabet, each animal will receive training. From the farm to the existing force sikyeoseo now, but everyone turned to themselves for the liberty and happiness of their actions do voluntary work more productive, I have achieved. Various proposals one better to go to the animal farm animals that are smarter than you think. Getting their story at first, but increasingly, their proposal does not go back with the same yardstick for all animals. Are not only some animals is a good thing and the skin can not feel the difference for many animals still exist. Eve, the old man's domination has not been much difference. Believes, '' I have to work harder if you are still chasing humans in any way, they know that these animals have acquired a farm animal. Not have to think generously writes one body to Animal Farm, Never Never someone to think you're exploited later seen do not have a similar story of, rachimyeon is regarded as an enemy of the animal farm animals. Increasingly, apparently not changed and the old do not think the farm animals with established leaders, feeling presumably not the same, we will use all of their actions and words only for us to believe that comply

동물 농장에 나오는 주요 동물은 돼지, 개, 양, 말, 닭등이 있다. 우리의 불쌍한 돼지는 늘 탐욕스러운 존재로 나온다. 동물농장에서도 어김없이 탐욕스러운 존재로 나온다. 미련하게 보이는 돼지임에도 가장 똑똑한 존재로 나온다. 어떠한 동물보다도 많은 지식을 쌓고 이를 근거로 자신의 탐욕을 채우는데 이용한다. 지식 쌓은 자를 조심해야 하나보다. 지식이 있다는 이유로 타인을 지배하고 우월하다는 근거는 없으나 탐욕과 결부되어 지식은 탐욕을 확장하는데 남김없이 이용된다. 인간에게 가장 친근한 개는 누구보다 앞장서서 돼지를 지키는 데 앞장선다. 일반 동물들에게는 가장 무서운 존재다. 돼지가 무서운 것이 아니라 자신을 지키기 위해 개들을 조심해야 한다. 돼지는 아무런 반응이 없지만 개들은 동물들이 직접 맞닿는 존재다. 동물들이 무슨 생각을 할라치면 양들은 생각할 틈을 주지않고 일방적으로 떠들어 댄다. 그냥 왁자지껄한 소리가 아니라 돼지에게 유리한 말을 일방적으로 다른 소리가 나오지 못할 정도로 떠들어 댄다. 엄청나게 힘이 좋은 말은 그저 돼지는 우리를 위해 노력하니 내가 더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다.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주지만 돌아오는 것은 없다. 하지만, 이 점은 중요하지 않다. 그저 동물농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하고 동물농장을 위해 노력하는 돼지는 모든 것을 누릴 자격이 있는 인물이고 조금이라도 이상한 점은 내 잘못이다라는 믿음으로 살아간다.
Appearing on the animal farm animals, pigs, dogs, sheep, horses, daldeung. Our poor pig will always exist as an avid Animal Farm also unfailingly comes to being an avid Look foolish pigs being the smartest beings to come. Built a lot of knowledge than any animal uses to fill them based on their own greed. Than one knowledge accumulated characters to be careful. Superiority to dominate others for reasons that knowledge based, but is greed, coupled with the knowledge to expand the greed is unreservedly. Most friendly to humans than anyone to keep the lead pig to take the lead. Animals for the most horrible existence. Be careful with pig dogs to protect themselves rather than scary. Pigs, but no response, animals mating existence. What animals think hitting the sheep think the break Hala unilaterally without letting hollering. Just a buzzing sound, but talk of letting pigs the end of the one-sided in favor of the other sounds not get enough. Incredibly good horse power, just a pig for our efforts do I strive believe. All of their lavish, but it is not coming back. , But that does not matter. Important and just trying to farm animals that are trying to farm animals, pigs deserve everything is a person who is a little strange that it's my fault that live by faith.

동물 농장을 읽으며 왜 이리 기시감이 느껴지는지 모르겠다. 분명히 다양한 문학과 작품과 영화와 드라마와 만화에서 봤던 기시감이라 믿는다. 독재가 꼭 나쁜 것은 아니다. 얼마나 다수의 사람들이 더 잘 살고 본인이 욕심을 부리지 않는 지가 관건이다. 돼지가 처음부터 욕심을 갖고 동물농장을 인간에게서 빼앗었는지는 모른다. 갈수록 본인의 욕심을 채워가는데 이용했다는 것은 확실하다. 어떤 혁명도 탐욕을 채우기 위한 행동은 없다. 혁명 이후에는 다시 새롭게 보이는 과거로 돌아갈 뿐이다. 아무리 좋은 제도와 법을 만들어도 지키고 행하는 것은 인간이다. 인간에게 욕심은 당연한 것이다. 어떤 인간도 욕심이 없는 인간은 없다. 욕심을 탐욕까지 발전시키는 것은 인간에 따라 조금 달라지겠지만.
Reading Animal Farm, Why is it so I did not know what deja vu feel. Clearly saw a variety of literary works and films, dramas and cartoons in the deja vu believe. Dictatorship is not necessarily a bad thing. How many people live better, I do not be greedy land is key. Greedy pig from scratch in humans, farm animals have taken what may. It is clear that the increasingly go use that to fill my greedy. Which revolution do not act for greed. After the revolution, the newly visible again only to return to the past. Human is to keep doing it to create the institutions and laws, no matter how good. To human greed is natural. There is no human being, not human greed. As will vary slightly depending on human greed greed developing

그러기에 제대로 서로가 서로를 견제하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지금 대다수의 민주주에서 행하는 삼권분리이다. 서로 상대방의 힘보다 내 힘을 더 가지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에서 행해야한다. 독재가 안 좋은 것은 자신이 갖고 있는 힘만 더 키우려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갈수록 교묘해진다는 것이다. 이제 동물농자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모든 사람들이 자각할 수 있는 것은 전 세계에서도 몇 몇 나라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Thus, to one another in order to check properly made ​​right now do in the majority of Democratic separation of powers. More my strength than the strength of each other, rather than trying to go on the extent to which he can be conducted. Is that dictatorship is not a good thing that they have to nurture more force. The problem is that it becomes more sophisticated. Now what is happening in the animal nongja everyone to be aware that only a few countries in the world that is being done.

그렇다면 그 나라들은 왜 동물농장처럼 하지 않을까? 동물농장에서 그 힌트가 있다. 교육을 하지 않는다. 아니, 교육을 한다. 자신들에게 유리한 것만 교육을 시키고 진실을 덮어버린다. 인간에게 교육은 중요하다. 한번 받은 교육은 쉽사리 지워지지 않는다. 스스로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이 올바른 가에 대해 의심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은 거의 없다. 특히, 어릴 때 받은 교육은 뇌리에서 없애기 힘들다. 또한, 누군가 뭔가를 이야기하려고 하는데 이를 방행하는 나라는 동물농장에서 나오는 나라와 다를 바가 없다. 거짓말이든 아니든 뭐든 이야기는 하게 만들어야 한다. 누구는 알아야만 하고 누구는 몰라도 되는 대단한 정보라는 것이 많아질수록 권력은 다수에게서 소수에게로 넘어가게 된다. 
Then why the country would not like farm animals? That hint at the animal farm. Education does not No education. Only beneficial to their education, and covers the truth. Education is important to humans. Once received, the training is not easily erased. There are very few people who know themselves to have doubts about the correct to live. Childhood education in particular, out of my head hard to eliminate. In addition, countries and animals from the farm country is no different than someone trying to talk about something to do this room. Must make the story a lie or not, whatever. Who is to know, and who do not have to know the great information that you have more and more power from the large number of minority to advance.

돼지는 틀림없이 끝까지 동물농장을 지배했을 것이다. 본인의 의지로 변화시키지는 않았을 것이다. 내부가 되었든 외부의 세력에 의해서든 스스로는 할 수 없다. 외부의 세력에게 당하는 것은 오히려 내부의 결속만 공고하게 해준다. 돼지가 탐욕스러운 돼지가 되기전에 권력을 분산하는 제도를 만들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한다. 
Arguably the pigs would dominate the end of Animal Farm. Would not change my commitment. The inside has gotten by any external forces can not be themselves. Rather to external forces being only internal solidarity announcement makes Should have been made a system that distributes power pork avid pig before Would not.

그나저나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곳은 진정 동물농장이 아니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물론, 바로 옆에 있는 나라를 보면 단연코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은 동물농장이 아니라 동물 농장 소설에 나오는 옆 농장에 보다 가깝지 않을까 하기도 한다. 동물농장은 가공의 소설속에 나오는 풍자다. 풍자라는 것은 어딘가 일어나고 있는 일을 묘사했다고 볼 수 있다. 전혀 없는 일이 아니라는 뜻이다. 모든 동물이 함께 잘 살 수 있는 건 정말 힘든 일일까?
So now I live in the farm animals really have not been able to talk? Country, of course, right next to the decidedly animal farm where I now live, but could close next appearing in the novel Animal Farm, the farm than is. Appearing in the processing of novel Animal Farm satire. Somewhere happening can be seen that depicted satire that. Not mean no. Is very difficult, all the animals that can live well together?

동물농장말고도 자유와 행복, 나는 왜 쓰는가에 대한 글도 책 '동물 농장'에는 실려 있다. 자신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쓴다고 한다. 자신이 주장하는 바를 알리기 위해 글을 쓴다고 한다. 모든 작가는 이기적이라고 한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바를 알리기 위해 글을 쓴다고 한다. 조지 오웰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었다. 동물농장과 1984를 위해 그는 자신이 알리고자 하는 바를 알렸다. 여전히 그가 전한 내용은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일뿐.
In addition to the freedom and happiness, farm animals Why am I on whether you're writing the book 'Animal Farm' listed. For their own political purposes sseundago. Announce what he claims to be writing for. All the selfish writer. Inform one believes writing for his right. George Orwell achieved what they want. For Animal Farm and 1984, he announced himself know what. Still does not go away, he preached that only a matter of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