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상처의 인문학 - 리뷰


독서 리뷰는 꽤 형식이 다양하다. 각자 자신의 글쓰기 스타일에 따라서도 리뷰 형식이 다르다. 내 경우에는 주로 내가 느낀점 위주로 쓴다. 가끔 다른 형식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처음부터 책을 읽고 어떤 것을 느꼈는지 무엇이 내 안에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으로 시작했다. 저절로 이 형식이 굳어져 이제는 나만의 리뷰 특색이 되었다. 다른 형식으로 쓰고 싶다는 생각도 하지만 지금 방법이 가장 편하고 익숙하고 시간이 덜 걸린다.

느낀대로 마구 갈겨 쓰면 되니 이보다 편할 수 없다. 독서 리뷰를 정성스럽게 쓰는 분들은 책 내용을 발췌하고 그에 따른 자신의 생각을 적기도 하고 책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알려주기도 한다. 자연스럽게 이 책이 어떤 책인지 궁금하게 만들고 직접 책을 읽어보게 싶게 만든다는 점에서는 어떤 형식이든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독서 리뷰는 무엇보다 자신을 위한 것이다. 리뷰를 읽고 도움이 된 사람은 부차적인 이득이다.

나에게 독서리뷰는 나를 위한 시작이었지만 내 의도와 달리 타인을 위한 리뷰도 되었다. 내가 쓴 리뷰를 읽고 책 선택에 도움이 되었다는 수많은 분들의 간증(?) 덕분에 알게 되었다. 독서리뷰는 단순히 그 책에 대한 내용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창작이기도 하다. 똑같은 책을 읽어도 백인백새의 이야기가 나온다. 늘 이야기하는 것처럼 책을 쓴 후 독자에게 다가간 후에는 저자의 것이 아니다. 그때부터 책을 읽은 독자의 것이다.

저자의 의도가 어떠하든 그 책을 읽고 느낀 감정이 바로 독자의 것이다. 독자가 어떻게 읽었던지 그 부분은 책의 작가의 아무런 관련이 없다. <상처의 인문학>은 가장 스펙트럼이 넓다면 넓을 수 있는 문학으로 구성되어있다. 책을 쓴 저자의 약력을 보니 연세가 있었다. 한 마디로 내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으셨다. 그런 편견 때문이지 처음에 읽을 때 문체가 다소 고풍스럽다는 느낌이 들었다. 글은 사실 자신과 남을 속일 수 없다.

단편의 글로는 얼마든지 속일 수 있어도 꾸준히 그가 남긴 글은 거짓말이 탄로나게 되어 있다. 스스로 한 말을 부정하거나 앞 뒤가 맞지 않는 말이 되어 들통나게 된다. 그런 면에서 한 개의 글은 그 사람을 은연중에 드러내는 장치다. 그렇다고 그 글이 글쓴이를 대표하거나 모든 것은 아니다. 그마저도 그가 갖고 있는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글이 갖는 지속성이라는 속성으로 인해 글쓴이의 일부라도 지속적인 노출을 통해 거짓을 알 수 있다.
책은 독서리뷰다. 형식은 책을 소개하는 것도 있지만 책을 쓴 작가에 대해 알려주는 측면도 있다. 거기에 저자가 책을 읽으며 느낀 점이나 현 상황을 책과 연관시켜 알려주는 부분도 있다. 특히나 작가에 대해 알려주는 지점은 재미있었다. 모든 것이 다 그렇다. 단순히 어떤 사람의 보이는 면만 보기보다 그 사람의 역사를 알 때 좀 더 상대방을 이해하기 편하다. 이처럼 책의 저자가 살아온 궤적을 알게 되면 작품 이해에 좀 더 편하다.

특히나 저자가 오랜 시간동안 한국에서 살아왔고 기자로써도 살았기에 나로써는 그저 글로만 접한 많은 작가를 직접 만났다. 유명한 작가를 직접 만나 술도 마시며 어떤 사람인지 알고 있는 걸 책에 소개할 때 단순히 작품 소개하는 것보다는 훨씬 흥미가 갔다. 대체로 책을 쓴 작가와 작품은 비슷한 뉘앙스를 풍기게 마련이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알게 되는 면이 좋았다. 작가가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는 작품속에 녹아들어갈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상처의 인문학>에서 소개하는 작품은 전부 오래된 문학책이다. 그것도 한국 소설이 거의 대부분이고 외국 작가도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문학책이다. 그만큼 꼭 여기에 소개되는 책을 읽지 않았어도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 혹시나 작품을 알지 못해도 작가는 알 수 있다. 그런 부분에서 이 책을 좀 더 부담없이 읽을 수 있게 만든다. 아무래도 모르는 책이나 작가보다는 아는 책이나 작가를 소개할 때 훨씬 더 친근감을 갖고 읽을 수 있으니.

책 초반에 고해성사도 눈에 들어왔다. 소개된 작품 중에는 작가가 후대에 와 욕을 먹는 경우가 있다. 그들이 살기 위해 내린 결정이라도 잘못된 판단에 따른 결과이니 그 부분은 감수해야겠지. 이건 작가에 대해서만 이야기한 것이 아닌 이 책을 쓴 본인의 잘못도 이야기한다. 당시의 시대상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 먹고 살아야 하는 생활인이다. 식구를 가장으로 키워야 하는데 당시 시대에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았다. 

이런 상황이라 하더라도 본인이 잘 못한 것은 잘 못했다는 자기성찰적인 글이 눈에 들어왔다. 문학소설을 읽고 우리는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문학 소설은 단순히 가공된  세계가 아닌 현실을 반영하는 세계다. 책을 읽으며 책 속 인물들에게 감정이입을 하며 우리는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그 과정에서 상처를 치유받기도 하고 의지를 다지기도 한다. 문학 소설이 밥을 먹여주지 않지만 과거부터 지금까지 사람들에게 선택되고 읽히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그런 책을 소개하고 작가를 알려주며 저자의 생각도 함께 알려주는 책이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오래된 문학으로만 구성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한 작품씩 읽어간다.

함께 읽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220851419082
읽다 - 김영하

http://blog.naver.com/ljb1202/220233943731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 수단으로서의 독서

http://blog.naver.com/ljb1202/205040113
오직 독서뿐 - 독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