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3개월 안에 유창해 지는법 - 외국어(Fluent in 3 Month - Foreign language)

수능세대는 아닌데 수능시험을 본 적이 있다. 당시에 이유가 있어 수능을 준비했다. 수능이 11월이었는데 8월부터 준비를 했다. 당시에 비디오가게 알바를 하며 했다. 암기과목은 교육방송 교재를 구입하여 한 권씩 몇 십페이지를 오전에 쭈우욱 읽었다. 저녁에 집에 가서 국어와 영어공부는 따로 했고 수학은 포기했고. 아마도 200점 만점으로 기억하는데 당시에 129점을 맞은 것으로 알고 있다. 생각보다 점수가 참 잘 나왔다.

그중에서 깜짝 놀란 것은 영어가 40점 만점에 2~3개만 틀렸다는 것이다. 나도 채점을 하고서는 깜짝 놀랐는데 점수를 받고 사실이라 두번 놀랐다. 영어는 별 거 없었다. 결국에는 지문읽고 문제의 답을 찍거나 어색한 표현(문법문제)를 푸는 것이었는데 재수좋게도 찍는것 마저 정답이었다. 듣기도 거의 찍었지만. 여전히 엄청난 내 점수에 뿌듯하다. 내 인생에 그토록 고득점을 찍은 적은 전무후무하다. 그저 신기할 뿐이다.

그 이후 '영절하'라는 책이 유행했다. '영어 공부 절대로 하지 마라'의 줄임말이었다. 삼성 근무 하던 분이 출간했는데 - 그리고 보니 삼성출신들이 유능하기 하나보다 삼성출신이라고 하는 사람이 무척 많다 - 설득력있었고 맞는 말이라 여겼다. 열심히 청취를 했다. 가볍게 얇게 읽을 수 있는 영어소설도 읽었다. 아직까지 AFKN이 TV에서 나오던 시절이라 시청을 했는데 어떤 날은 기가 막히게 다 들렸고 어떤 날은 전혀 들리지 않고 컨디션에 따라 들렸다 안 들렸다는 반복했다.

곰곰히 보니 결국 들리는 것이 많을 때는 아는 단어가 많을 때였다. 영어 시험도 마찬가지였다. 아는 단어를 근거로 내용을 유추한 후에 문제를 풀었다. 결론은 영어는 단어만 많이 알면 공부든 회화든 다 가능하다고 개인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외국에 나갔을 때도 여하튼 단어만 알면 단어만 조합해서 상대방에게 대화하면 상대방이 다 알아듣고 응대를 했다. 이미 영어와 담싸고 지낸지가 너무 오래 되어 이제는 아는 단어도 거의 전멸이지만.

개인적으로 영어와 관련되어서는 외국인과 자유롭게 대화를 하고 싶다는 열망보다는 미드나 영어 영화를 자막없이 보는 게 목표였다. 아울러 영어 원서를 읽는 것. 늘 마음만 있고 실천을 하지 못했다. 어떻게 보면 내 평생의 프로젝트중에 하나로 계속 남아 있다. 상당히 많은 시간을 투입해야만 하는 작업이라 생각해서 지금은 뒤로 미뤘고 나중에 꼭 영어를 다시 공부해서 미드나 영화를 원어로 듣는 것이 목표다.

There's not SAT generation've seen the SAT exam. There is no reason at the time was preparing for SAT. SAT This was in November and was ready in August. Alba had at the time, and a video store. Memorize subjects read a few dozen pages gwonssik to purchase educational materials squatting Ouch broadcast on AM. Go home in the evening to study English language and mathematics separately had had to give up. I know that probably the right time to remember that the 129 to 200-point scale. Better than expected came true score.

It will be surprised at which English is wrong, only 2-3 out of 40 points. I was surprised I was surprised hagoseo scoring twice received the score is true. English was no big deal. Eotneunde would eventually have to solve the awkward scenes or representation (grammar issues)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read answers even to take fingerprints were unlucky shot went right into the keeper's arms. But it took almost hear also. I am proud to still be a huge score. High scores in my life taken so little is unprecedented. It just marvelously.

Since then, the book was in vogue called "youngjeolha. It was short for "Never Never English language. Samsung minute work was published did - and so are a lot of people who saw the Samsung called Samsung from one to more than competent - considered because the end of that match was convincing. Was listening eagerly. I read an English novel that can be read lightly thin. I heard this was a time not yet called AFKN Were watching on TV some day, depending on the condition, but some days I heard no audible groups have repeatedly blocked it sounded.

To reel was when I finally know when there are many words that sounded a lot. English test was also true. After inferred on the basis of knowing what the word solved the problem. English is the conclusion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personal conversation is all somehow just know a lot of words to study. In fact, even if you talk to the other party somehow gone to foreign knowing only the words but the words were a combination of getting the other party to respond. Jinaenjiga already too old dame now know the word in English and cheaper, but also nearly wiped out.

I personally will be in English and the relevant international and free conversation and it was a goal I want to see a mid or English movies without subtitles, rather than desire. In addition to reading the English original. Always in mind and did not practice. In a sense it remains one of my life's project. Quite a lot of time to think tasks that must be invested now mirwotgo The goal is to come back and listen to the midfield and movies to learn English in the original language again later.


나뿐만 아니라 한국에 살고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모든 사람은 단 한 명도 빼놓지 않고 영어에 대한 강박관념이 있다. 영어를 잘 하고 싶다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노력을 하지만 다들 실패하는. 그렇기에 여전히 영어와 관련된 광고가 나오고 사람들은 영어 학원을 다니고 관련 사업은 불황이라고 해도 여전히 유지되고 스타까지 탄생한다. 어떻게 보면 참 웃긴게 영어를 가르치는데 인생까지 논하며 상대방에게 선생이라고 훈계를 하는 것은 우습게도 보인다.

한국인이 아니라 외국인 - 정확하게는 아일랜드 계열 - 저자가 3개월이면 외국어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스스로 외국어에 문외한이었고 관심도 없었고 절망에 점철된 삶을 살았다. 외국어 시험을 보면 낙오자였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노력을 하더니 외국어를 마스터했다. 외국인과 자연스럽게 말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언어대화가 가능한 경지에 이르렀다. 어떤 일이 저자에게 일어난 것일까. 번개에 맞아 뇌가 변한 것도 아니고 말이다.

그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무려 10개 국어를 할 수 있다. 당연히 언어 천재라고 불러야겠지만 저자는 아니라고 한다. 노력의 결과일뿐. 더구나 자신은 외국어에 낙오자였으니 더더욱. 막상 책의 내용은 길고 길지만 내용은 단순하다. 영어를 잘 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부분 두려움을 갖지 않고 도전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꼭 외국어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다.) 과감히 외국인을 만나 이야기를 한다. 그 전에 최소한 기본적인 단어와 말할 수 있는 문장정도를 외운다.

어차피 상대방은 내가 하는 이야기를 전부 다 알아듣는다. 너무 잘못된 말을 하면 정정도 해주니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무조건 외국인과 만나 이야기를 하도록 노력한다. 언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집중적으로 습득하도록 노력한다. 하루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은 전부 투자한다. 생각도 배우는 외국어로 생각한다. 막히면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보며 외국어로 생각한다. 3개월 만에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의사소통은 가능한 단계에 도달한다.

예전과 달리 지금은 외국인들을 만나는 것이 어렵지 않다. 굳이 거리로 나가 외국인들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에서 찾아 대화를 한다. 그런 목적을 갖고 있는 사람끼리 대화를 할 수 있게 주선해주는 사이트도 있고 저자가 만든 사이트를 통하는 것도 방법이다. 아랍어와 중국어까지 그렇게 습득했다고 한다. 외국인들에게 중국어는 어려운가보다. 아무래도 한자때문이 듯 했다. 단어를 외우기 위해서는 연상방법을 써서 외운다. 너무 시간이 오래 걸릴 듯 하지만 처음에 힘들어도 어느 정도 적응이 되면 금방 연상으로 자연스럽게 단어가 떠오를 수 있다고 한다.

<3개월 안에 유창해 지는 법>은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다. 책은 내용에 비해서는 분량이 좀 많다. 중간에 각 언어를 공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데 전혀 관심도 없는 언어는 대략 읽었다. 어차피 그걸 읽는다고 도움 되는 것도 아니고 배울 생각도 없는 언어라서. 그래도 머리속으로 습득해야 할 방법을 다시 한 번 입력하는 시간이었다. 틈틈히 하는 것보다는 집중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고로 지금은 집중적으로 할 마음의 여유가 없으니 기억만 하고 있어야 겠다.

아무리 생각하고 생각해도 영어를 알아야 무궁무진한 세계로 진입할 수 있다. 한국어로 된 정보는 개미똥구멍만큼이다.(참, 아름다운 표현!@@) 현재 아주 아주 불안정한 정보만 취득하고 알고 있는 것이다. 이 정도의 정보만으로도 큰 불만과 아쉬울 것은 없지만 앞서가는 사람과 남이 알려주는 가공된 정보가 아닌 나만의 정보를 융합하려면 역시나 영어는 배워야만 하는 언어다. 

I graduated from high school, as well as all the people living in South Korea has an obsession for word of English but only one involved. Well want to speak English. Efforts in a number of ways, but everyone fails. So still coming out in English and related advertising people attending an English school-related projects is still maintained and that the recession is born to be a star. Funny to see how true to the teaching of English life nonhamyeo It seems ridiculous that an admonition to the other party as a teacher.

Koreans are not foreigners - precisely the Irish Series - says the author is possible if the language three months. The author lives in despair had lived jeomcheoldoen interest were outsiders in their own language. In the language test was a loser. Then one day, then he was suddenly trying to master the language. Enough to speak the language of the foreign and naturally the conversation led to possible state. What kind of happened to the author. Said neither the brain has changed struck by lightning.

Indicating the method is a book. Much as you can for 10 languages. Language should be called a genius, but of course not the author. Only as a result of the effort. Moreover, he is the underdog in the language even more blows. Film details the contents of the book is long, long, but it is simple. To hear the stories of people who speak English well that it is a challenge not have much fear. (This means that not only foreign language.) The story boldly to meet foreigners. Memorize the sentence before you can talk to at least basic words.

Cant get everything the other side I'm about to tell you. If so wrong end of correction may be able to give you a natural conversation. The unconditional commitment to meet foreigners and stories. In order to learn the language and try to learn to focus initially. The time that you can spend a day all investments. I also believe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Blocked think that a few words in a foreign language chatahbomyeo. Not perfect in three months and reached a certain degree of communication possible stage.

Unlike the past is now not difficult to meet foreigners. Find out into the street and on the Internet, rather than bother to meet with foreigners and dialogue. You also have to arrange a site that allows people to talk to each other for that purpose, and it is also how the author made through the site. And so he learned to Arabic and Chinese. Chinese is more difficult for foreigners. Maybe because it seemed kanji. In order to memorize the words to remember using associative way. However, if too much time has seemed to take a long time to adapt to some extent even harder at first could quickly come up with the words to evoke naturally.

<Law which it fluently within three months> will work hard to try. This little book is worth a lot more than. Language no interest at all to describe a method for studying each language read about in the middle. Anyway because I do not even read that it helps to learn that neither language. But it was time to enter it again in your head the way you need to learn. Teumteumhi than to say that it is better to concentrate. Blast now have no margin of mind to concentrate and remember, I have.

I think, however, and may also need to know English, enter the world of the world. Information in Korean is as ants anus (indeed, a beautiful expression!@@) Is currently in obtaining information and know only a very, very unstable. The only big complaint with ahswiul information in this degree, but to fuse your own information rather than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go with someone else who tells prior figured that English is the language to learn.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