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경매에 빠진 사람들 - 설마와 함께(People fall in auction - Tough and together)

대한민국 부동산 경매 역사에서 - 이런 표현이 너무 거창하다는 거부감은 들겠지만 - 중요한 두 군데 카페가 있다. 2002년 민사 집행법과 더불어 본격적인 대중화의 길을 걷게 된 부동산 경매에서 '선한부자'와 '지신'이라는 두 카페는 수 많은 부동산 경매 투자자를 만들어 낸 산실이다. 다른 부동산 경매 카페도 분명히 있겠지만 내가 알고 있는 한도내에서 보자면 두 군데 카페를 통해 수 없이 많은 부동산 경매 투자자가 탄생했다.
Republic of Korea estate auction in history - that this reluctance expressed bankroll, but this is too tremendous - there are two important places in the cafe. 2002 Civil jiphaengbeop and walked along the road from the estate auction of an authentic popular 'good rich' and 'gnome' Cafe is a hotbed of two, who had a large number of investors, real estate auctions. Other real estate auction real estate auction many investors cafe but also apparently was born without a number by two places Cafe In terms to the extent that I know of.

그 당시에 지신은 논현역 근처에서 강의를 많이 했었고 선한부자도 강의를 했었다. 이 두 곳에서 강의를 듣지 않아도 이 곳에 글을 올리고 활발히 의견을 나누고 오프 라인으로 만나 친분을 유지한 사람들중에 아직까지 부동산경매를 하는 투자자들은 당연히 다른 사람들이 고수라고 불리게 되었다. 불행히도 여러 부동산 경매 투자자를 배출한 '선한부자'와 '지신'은 현재 카페가 살아있기만 하다.
God of the earth at that time had also taught a lot of lessons in the near haeteotgo good rich Nonhyeon station. The two do listen to a lecture in this post where raising an active investor in real estate auctions so far met with people who share your opinion are off-line maintain a friendship which came to be known as the drummer of course other people. Unfortunately, many real estate auction discharged investors 'good rich' and 'gnome' is, as long as the current cafe is alive.

두 군데 카페 모두다 수 많은 경매 투자자를 배출했지만 - 이 두 군데를 통해 투자를 한 사람들중에 현재 책까지 펴 낸 사람은 손가락, 발가락으로 다 꼽아도 모잘라 정도이다 - 지금은 투자와 관련된 글도 올라오지 않고 투자자들도 전부 다 각자의 카페를 만들어 독립하거나 다른 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 당시에 '선한부자' 카페에서 글을 올렸던 인기를 끌었던 투자자중에 한 명이 '설마'라는 닉네임을 갖고 있는 안정일씨다.
The two places could all but exhaust the many cafes auction investors - this is a model fits someone he stretched far enough to cut the people who invested through the book two places is a finger, toe-Now articles associated with investment up but it is also not all investors make their own independent cafes and activities, or in other places. At that time, the good rich 'and the investors attracted popular posts in the cafe were clamped' No way ', which is stable and has ssida nickname.

 선한부자에 글을 올릴 때는 그의 글만 읽었고 나중에 ''3000만 원으로 22채 만든 생생 경매 성공기'를 출판하고 '3000만 원으로 시작하는 내 집 마련 카페'를 만든 후에 카페에 가입하여 글만 눈팅하다가 우연히 서로 연락이 되어 직접 만나게 되었다. 직접 만난 설마는 큰 키에 - 워낙 커서 덩치마저 좋으면 부동산 경매 명도할 때 엄청난 장점이 되었겠다는 뜬금없는 상상이 - 서글서글한 인상이었다.
When posting on his rich geulman good read later 'published' only lively auction seonggonggi 3000 made ​​22 in a circle, and after joining the cafe made ​​a 'my house cafe provided beginning with 30 million won, while casually geulman nunting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re met. This imagination was so big, even permitting real estate auction cursor brightness was a huge advantage when you do not tteungeum getdaneun - met directly seogeulhan was surely a tall sad impression.

금방 서로가 공통 분모를 갖고 즐겁게 이야기를 했었고 그 후에도 몇 번을 만나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당시 설마님의 카페에서 활동하는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한 후에 사진과 함께 경매를 하게 된 계기와 활약상을 올렸는데 물어보니 인터뷰를 다 작성한 후에 책으로 펴 낼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 작업이 이번에 '경매에 빠진 사람들'이라는 책으로 출판하게 되었다.
Have fun talking to each other right haeteotgo common denominator had a great time meeting a few times after that. After a time, surely after interviews with investors active in the cafe's I asked I posted an instrument with which to hwalyaksang auction with pictures created all the interviews I heard a story that will be expanded into a book work this time 'auction was published in a book called the missing people.
어떻게 보면 이미 카페에 올라 온 글로 접한 내용이었지만 읽어보니 또 색달랐다. 몇 몇 분들의 글은 당시에는 '이런 사람이 이런 내용으로 시작했고 투자를 하고 있구나'하고 읽고 넘어갔는데 이번에 다시 읽다 보니 책에 소개된 사람들 중 몇 몇 사람은 지금도 꾸준히 글을 올리고 있어 그 변천사를 알게 되다보니 어떻게 보면 기껏해야 1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을 뿐인데 그 이후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알게 되었다.
I look, but I read up on information already in the cafe again faced glow different colors. Some people at the time of the article went beyond 'this guy started investing Putting this information, and reading some of the people who introduced the book, I read it again, this time is still steadily raise the article to know the evolution ppuninde how come I have to look at after about a year at most of the time were aware of how much change since then.

책에 소개된 사람들은 한결같이 평범한 사람들이다. 특출나거나 엄청난 능력을 갖고 있는 인물이 아니라 언제든지 길거리에서 만나는 아저씨, 아줌마다. 그럼에도 이들은 경매를 알게 되었고 아는 바를 실천했다. 한결같은 공통점은 경매를 알게 된 후에 혼자는 힘들어 설마에게 강의를 듣고 함께 실전반에서 움직이며 부동산 경매를 기초부터 차례 차례 단계별로 배우고 현장에서 실천했다는 거다.
The people were introduced to the book ordinary people alike. Exceptional or is not a person who has a tremendous ability to meet uncle in the street at any time, and aunt. Nevertheless, they learned the practice auction to know what was. Consistent similarities alone after a hard'll surely find the auction moves in siljeonban together to hear the lecture that practice in the field of real estate auction in turn learn from the step-by-step basis.

그런 면에서 보자면 평범한 사람이 아니다. 평범한 사람은 실천하지 않는다. 아는 상태에서 끝내는 경우가 대다수다. 평범하지 않은 사람의 공통점은 아는 바를 실천하는데 있다. 책에 소개된 사람들은 전부 아는 바를 실천했다는 면에서 다들 대단한 사람이다. 본인들은 아니라고 손사례를 치겠지만. 전반부가 열전이라는 섹션을 통해 인터뷰 한 내용을 한 명씩 소개하며 끝으로 설마로 마무리를 한다.
In terms in that sense, is not an ordinary person. Ordinary people do not practice. If you know the end from the state is a majority. Common in people who do not know what normal is to practice. The introduction to the book they are all great guys who knows if that action in a bar. I will not hand your case, but value. About the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half of the interview section of the thermal one by one, and finally finished with a surely.

후반부는 '3000만원으로 시작하는 내 집 마련 카페'에 올라온 글 중에 아마도 카페 주인인 '설마'와 인터뷰어인 레이디김 김민주씨가 공들여 선정한 글이 아닐까한다. 전체적인 내용인 현장조사에 대한 글, 입찰에 대한 글, 낙찰에 대한 글, 명도에 대한 글, 임대 또는 매매에 대한 글로 나눠져 있어 차례 차례 순서대로 나온다. 다만, 한 명의 글이 순차가 아니라 여러 사람의 글이 올라와 있어 글의 일관성이 없다는 아쉬움은 있다.
Maybe the latter is probably the cafe owner, 'No way' and the interviewer, Lady, Mr. Kim Min-ju Kim painstakingly selected text in articles posted on 'My house is starting to raise 30 million won cafe. Article on the overall contents of the field research, writing for the bidding, writing bid on, writing about the brightness, it divided Glow for rent or sale in sequential order emerges. However, one article is not the sequential number of people have come up in this article, is that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text inconvenience.

덧글도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 그 부분은 굳이 할 필요가 있었을까에 대한 생각은 든다. 아울러, 책이 전부 카페에 올렸던 글만 있다보니 용어부분에 있어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싶다. 몇 몇 부분에서는 따로 박스로 용어나 팁을 '설마'님이 직접 설명하는 부분을 넣었으면 책을 읽는 사람 입장에서 보다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을 것인데 그 부분은 아쉬웠다.
The introduction also comments and thoughts on that part of the costs would have been necessary to bother. In addition, this book has everything I want in a cafe clamped geulman itgetda might find it somewhat difficult for those who do not know the terminology section. Some part in the terms or tip off a box 'No way''s made ​​it perfectly if you put a part of yourself could explain more fun to read a book in the reader's position that part ahswiwotda.

책의 구성은 기존에 있는 부동산 경매 책과는 다소 다르다. 여러 사람들의 다양한 사례가 함께 실려있어 부동산 경매가 특출난 사람이 하는 투자가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한다. 
In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book is a real estate auction and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book. Carried with it a variety of cases of different people feel that real estate auctions are not an exceptional investment for anyone.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제가 쓴 경매투자자들의 이야기(구매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