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 사례집(How to be different - Fact Sheet)

가끔 책을 잘 읽었는데 리뷰를 쓰려고 하니 이 책의 분야가 무엇인지 애매할 때가 있다. 그럴 때면 대부분 인터넷 서점에 가서 책이 어떤 분야로 분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인터넷 서점에서 분류한 걸 보고 그대로 하는 경우도 있고 내 생각은 다르다고 판단될 때는 달리한다.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는 막상 분야를 설정하려 하니 자기계발이 떠오르는데 그 분야로 정하기는 이상한 듯 하여 인터넷 서점의 분류를 봤는데 그 마저도 딱히 마음에 들지는 않았다.
There are times when you want to obscure the field of what I read this book often do you write a good book review. When I went to check the internet, most bookstores that the book is divided into some areas. Sometimes classified as an Internet bookstore and saw it when it is determined otherwise different from my thoughts. I've been trying to set up a classification of Internet bookstores do this tteoohreuneunde in the field of self-development film will seem strange to determine the field did not like 'How do dalrajyeoya' is that no apparent even.

결국 이 책의 표지를 보니 '새로운 기회를 포착한 최고 기업들의 공통된 질문'이라는 부제를 보고서 분류를 경영으로 하기로 했다. 책의 저자인 강미라씨도 우리나라에서 회계법인으로 - 3대 회계법인이 있다고 한다 - 가장 유명한 삼일 회계법인에 근무를 했고 자회사인 삼일 아카데미 대표로 있다고 하니 책의 내용은 기업들의 경영 컨설팅에 관계된 것으로 해도 무방하다싶다. 이런 내용은 전적으로 책을 읽을 때는 전혀 생각해 보지 못했고 리뷰를 쓰면서 떠올랐다.
Eventually agreed to by management to classify the subtitles of "common questions of top companies, and seize new opportunities" saw the cover of this book report. The entity that has three accounting - accounting firms in the country as the author of the book, Mr. gangmira do that three days in a subsidiary represents the Academy's most famous work was the Samil may be involved in the management consulting firm of the content of the book is but may want. Emerged did not think at all when writing a review, read the book entirely this information.

지금까지 읽었던 책중에 이토록 사례로 가득한 책을 읽어본 적이 없다.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는 사례집으로 봐도 되지 않을까싶다. 경제, 경영 분야 책의 구성은 자신의 주장과 사례를 적절히 엮어 펴내는 경우가 많다. 에세이 같은 종류는 자신의 신변잡기를 비롯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처절한 자신의 내용을 적는 책이 아니라면 자신이 하려는 이야기에 신뢰감과 권위를 싣기 위해 사례로 알려주는 경우가 많다.
I have never read a book full of examples yitorok read the book so far. Would not want to look in the casebook 'How dalrajyeoya' is. In many cases the claim and the weaves his case properly configured pyeonaeneun economy, the management field book. Unless you write down the contents of his book may be configured as a desperate grab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his essay of the same type often indicate a case for loading the confidence and authority to the story you want to own.

개인적으로 사례보다는 자신의 주장이 더 중요하다고 보지만 책을 읽는 사람들은 대부분 사례를 더 재미있어 하고 흥미있게 읽는다. 추가적으로 사례에 더 집중을 하며 저자의 주장은 기억하지도 않는 경우도 많다. 적절한 사례로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며 책의 내용을 풍성하는 방법이 사례 중심의 책인데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는 완전히 사례만으로 집필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Most people sees that this claim is more important than his own personal practice reading the book makes it fun and interesting to read more examples. Additionally, more focused and in many cases even if you do not remember the author's claims. But may look inde books of practices around how to support the author's claim to the appropriate cases and to enrich the contents of the book, he wrote only cases 'How dalrajyeoya' completely.

처음에는 전혀 느끼지 못했다. 읽다보니 저자의 능력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매 장과 매 꼭지마다 저자의 주장은 별로 없는 듯 한데 사례는 가득 가득하게 있었다. 책을 계속 읽다 다시 한 번 저자가 누군인지를 파악했다. 저자는 삼일 아카데미 대표로 여러 기업들에게 경영 솔로션을 제공하는 컨설팅한다. 회사의 사장을 포함한 임직원에게 고리타분한 이야기를 아무리 떠들어봐야 씨알도 먹히지 않는다.
Did not feel at all at first. I was astonished and admiring the reading skills of the author. Every chapter and every faucet together by the author's claim that it had not seemed filled with cases full. Continue reading the book, I understand that the author who once again. It provides business consulting for several companies in three days solo Illustration Academy representative authors. An antiquated company to its employees, including the president of the story, no matter how this story should not even eaten CR.
아무리 내가 하려는 이야기가 기가 막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컨설팅을 하는 회사 입장에서는 PT를 들으려는 사람들이 팔장끼고 의자에 기대 앉아 '어디 한 번 이야기 해 보세요!'라는 자세로 있을 때 그들의 집중을 한 곳으로 모아야한다. 좋은 이야기를 떠들어 봐야 자세가 변하지 않는다. 흥미롭고 재미있는 사례를 알려줘야 그들이 의자에서 고쳐앉고 얼굴을 똑바로 들고 PT하는 사람에게 집중한다. 
As their concentration when a posture of "look where you talk at once!" Sit in a chair wearing paljang people in the company to a consulting position where you want to listen to the PT group makhan have a story idea, however I want to, even if it to collect. See this story is a good story does not change posture. Focus to the person they face fixed in a chair to sit upright holding a PT tell the exciting and interesting case.

그런 이유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전부 사례로 엮은 것이 아닐까싶다. 물론, 사례가 좀 과하게 있어 '과유불급'이 생각나지만 재미없는 책보다는 훨씬 좋다. 오히려 이 책을 읽은 후에 특정 주장을 하고 싶을 때 보다 재미있는 사례를 참고하고 싶을 때 이 책을 집어 들어 찾아본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사례집의 교본이지 않을까 한다. 자랑이지만 어지간한 책에서 나오는 사례중에 처음 접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다보니 이 책에 나온 사례중에 딱 하나만 처음 접했다.
I think this case is hooked up to all the stories you want to own such a reason. Of course, there are some cases overly 'gwayubulgeup' is much better than a book that I think drumsticks fun. The textbook would not in itself a great casebook if you want to see the more interesting case when you want to a specific claim, after reading this book rather look to find the book picked up. Proud of the way out, but in rare cases it is new to the book quite a bit. And then just the first one I've never seen anything in this book case.

이런 이야기는 재수없게 들렸겠지만 나처럼 여러 책을 읽는 경우가 아니라면 다양한 사례를 읽는 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는 보람과 얻는 것이 있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이렇게 엄청난 사례를 찾아내는 것도 장난이 아니었을 것이다. 자기가 하고 싶은 주자에 걸맞는 사례를 찾는것은 쉽지 않다. 평소에 부지런히 각종 사례를 스크랩해도 그 사례가 떠오르지 않으면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 걸 보면 말이다.
Unfortunately heard this story, but it will be worth getting and reading this book unless you just like to read a number of books and reading a variety of cases. See how this would not have been a joke also find a huge case. It is not easy to find a case worthy of his players want to be easy. In the case says that the case can not be used if you come up a lot even scrap the usual variety of practices diligently.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어떻게 성과를 낼 것인가라는 네가지 파트로 나눠 설명을 하는데 정작 저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인지 명확하게 남는 것은 없다. 사례는 재미있게 읽었지만 저자가 주장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실제로 저자가 자신의 주장을 하는 파트가 극히 드물다. 몇몇 이야기들은 눈 앞에 보이는 사실말고 그 이면도 고려했어야 하는데 시중에 있는 이야기만으로 사례를 알리고 주장을 하고 있어 아쉽기도 했다.
How to think, how to communicate, how to survive, it remains clear that what the author wants to split in four parts jeongjak for a description of how the results will be the story. Interesting case, but what I read is that the author is not a bar to claims not remember at all. I actually would not only be a part of his claim the author is extremely rare. The story also ahswipgi only in the case and to inform the market do not seem to captain got in front of the eyes should have considered the fact that even if some stories.

여러 책을 읽었지만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는 상당히 색다른 책이다. 일반적인 책과는 달리 온갖 사례가 있는 책이라 신기하기도 하다. 덕분에 갖고 있으면서 두고 두고 이 책 저책 뒤질 필요없이 이 책 하나만으로 잽싸게 사례를 찾을 수 있는 혜택을 받을 듯 하다. 그러면에서 회사의 임원급이 직원들에게 멘토링할 때 이 책을 참고해서 설명하면 훨씬 더 매끄럽게 전달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The book is quite unique, but I have read many books "How dalrajyeoya. It is also strange because, unlike the typical case book that has all kinds of books. It seems that you can benefit your practice real quick with one of these books without having to leave this place because the book has jeochaek dwijil stay. Will be able to enjoy the effects described by delivering much more smoothly if you see this book will be mentoring from executives to employees of the company.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