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메타생각 - 말랑 말랑(Meta-thought-fluffy)

영어가 약하다보니 메타가 커다란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았다. 메타는 커다란 뜻도 굳이 포함하자면 가능하지만 정확하게는 무엇을 초월하건 더 높은 뜻을 갖고 있다. '메타 생각'은 기존의 생각을 초월하거나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더 높은 의미를 뜻하는 것으로 쉽게 표현하면 창의력이라 불러도 된다. 이 책을 처음 서점에서 봤을 때 번역서라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막상 책을 펼치니 한국저자라서 그놈의 사대주의때문에 약간 관심이 작아졌다.
Found that English is weak, meaning great meth Bonnie. Can also mean big meth include but are deliberately gritty Whether transcend what exactly is it has a higher meaning. Creativity can be expressed easily be called, because that means a higher sense than the idea of transcendence or existing commonly thought 'meta-thinking' is. There was an image of the translation when I saw this book in a bookstore first interest was reduced slightly because the worship of the powerful South Korea because the author of the book and expand your GNOME film.

관심이 작아졌지만 계속 이 책은 눈에 들어왔고 - 아마도 베스트셀러라는 피할 수 없는 이미지 - 결국에는 이렇게 읽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했지만 '메타생각'은 학자가 자신의 지식과 정보를 알려주는 책이 아니라 쉽게 풀어낸 내용이다. 저자의 프로필을 보면 나같이 평범한 사람은 좀 질린다는 느낌이 든다. 나와는 완전히 다른 별에 있는 사람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저런 스펙을 갖고 있다는 것은 도저히 흉내도 못낼듯하고 공부했다고 나오는 분야도 엄청 똑똑한 인간이라 보인다.
Been interested, but keep your eyes smaller this book - read this was the end - that probably inevitable best-selling image. I did not know the contents of this information is released to embellish easy to tell that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he scholars as a book "meta idea" is. In a profile of the author feels that as I get tired of ordinary people. Because you look like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 by is shown. The spec looks like that because they have also shown that the field can not even hardly imitate naeldeut studying awful smart man.

똑똑한 인간들의 가장 큰 실수는 바로 자신이 똑똑하니 그 시선 그대로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우를 범하는 것이다. 그런 책을 읽다보면 쓸데없이 내용은 어렵고 글은 난독증을 만드는 경우가 있어 내 지식의 한계와 낮음을 저주하기보다는 똑똑한 인간의 무식함(??)을 탓하는데 '메타생각'은 내용이 쉬운 것은 분명히 아니지만 글을 쉽게 읽을 수 있게 썼다. 무엇보다 저자와 제자가 등장인물이 되어 '메타 생각'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약간 유치한 부분도 있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만들었다.
Is to commit to inform the people that just do right eye has the biggest mistake of his smart men are smart. If you read the contents of that book unnecessarily difficult article contents is easy "meta idea" is to blame also a smart man (??) when making the ignorant have dyslexia than to curse the limits of my knowledge and apparently low I wrote the article, but can be read easily. This character is the author and what it consists of a disciple than to tell how a 'meta-thinking' form part of a little childish, but made ​​it fun to read.

 학술적인 내용으로 점철되어 있으리라 예상했던 내 기대를 저버려 어깨에 잔뜩 들어간 긴장이 풀리면서 읽었다. 책에서는 '메타생각'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학을 이용한다. 저자가 고등학교때에 수학을 그림으로 푸는 방법을 스스로 끙끙대며 해결했기에 이러한 방법을 제시한 듯 하다. 책은 거의 전부 수학을 통해 새로운 생각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꼭 수학만이 '메타생각'을 하는 방법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데 이 책 자체는 수학을 통한 방법을 알려주며 수학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움을 준다.
As I read this tension pulley into a bunch of shoulder forsaken my expectations had been marked by academic content assuming expect. The book uses mathematics as a way to a 'meta-thinking'. This method seems to have presented itself kkeungkkeungdae to figure how to solve math in high school said because we solved the author. To present a new way to think through the math just does not think that the only mathematical 'meta-thinking' How is that almost all of the book is to help with easy access to the math tells the way through the book itself is a mathematical The.

학생때는 수학에 젬병에 병맛에 포기한 과목이었는데 책을 읽고 지식을 습득하다보니 수학은 결코 제시된 숫자를 풀기위한 방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내 앞에 놓여 있는 질문과 궁금증과 호기심을 풀기 위한 방법이었다. 생각을 좀 더 공교하고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숫자로 풀어내는 방법이었던 것이다. 이런 사실을 알았지만 여전히 숫자로 표시되는 수학은 나에게는 넘사벽이라는 사실 자체는 변함이 없다. 깨달아도 그걸 수학으로 풀어보려는 노력은 진작에 포기했고 글로 푸는 방법을 택했을 뿐이다.
When the student was abandoned in byeongmat storing corn on the mathematics and reading a book I learned it was a way to unlock the knowledge that lies in front of my questions and curiosity and curiosity to learn how to solve math is never presented as a number. It was more cunning ways of thinking and to specifically release the number. Okay, but this fact does not change the fact that more than sabyeok still appear to me that mathematics is the number itself. Also realize the only way to solve the global taekhaeteul was abandoned earlier efforts to solve a mathematics it is you want.
숫자를 통해 의식을 확장하고 새롭게 사물을 보는 시선을 던져주는 책이 '메타생각'이다. 이미 인도수학을 알게되면서 곱셈을 하는 새로운 방법을 배우며 신기해 했는데 이 책에는 곱셈을 하는 방법이 소개되는데 정말로 신기하게 그림을 그려 푸는 방법이다. 곱셈할 숫자를 선으로 그려 선끼리 교차하는 지점을 세어 이를 삼등분하여 숫자로 표시하면 암산한 것과 같은 답이 나오는 아주 신기한 방법이었다. 아주 놀라웠다. 이렇게 숫자의 곱셈을 그림을 풀 수 있다니 말이다.
The 'meta-thinking' this is throwing the line of sight through the numbers and expansion of consciousness new book looking at things. As already learned Indian mathematics marveling learn new ways to solve multiplication had drawn a picture is really amazing how the method of multiplication are introduced in this book. How come this was very strange, as if the answer was mentally counting the number represented by the intersection of a line drawn between thirds and line numbers to multiply it. Very surprised. Being able to pull a picture says so multiply the numbers.

재미있는 것은 수학을 암기과목으로 알았다. 수학을 아예 모를때는 수학이 암기과목인지 몰랐다. 조금 알게 되었을 때 수학은 암기과목인지 알았다. 공식을 열심히 외우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많이 풀면 응용하여 고득점을 맞는다고 알게 되었는데 여러 책을 읽다보니 수학은 암기과목이 아니라 문제를 풀기 위한 이해과목이었다. 어떤 식으로 그런 해답이 나오는지를 이해해야 하고 그 방법말고도 다른 방법도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꼭 단 하나의 방법만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The funny thing was found to memorize math courses. If you do not know the math did not know at all to memorize math courses. When memorizing know whether subjects knew little mathematics. Hard to memorize the formula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meets the high score solving a lot of problems with it based on the number of books I was reading to solve problems rather than understanding mathematics courses memorizing subjects. Was able to learn that the way to understand the other ways besides that the answer comes out in some way and. How is that only just realized that it is not just one.

이런 식으로 수학을 접하고 풀어나간다면 창의력도 도움이 되고 수학이 피해야 하지만 필수과목이라 어쩔 수 없이 하는 과목이 아닌 흥미로운 과목이 될 수 있을텐데 시험을 통해 서열을 정하는 현재의 시스템에서 아직까지는 변경하기 힘든 듯 하다. 이 책에 나온 내용은 완전히 새롭고 처음 접하는 것들은 아니다. 물론, 그림으로 계산하는 방법등은 기존 수학분야에서도 다소 생소한 분야였던 듯 하다. 수학 박람회(?)인지에서 발표했을 때 수학자들도 다소 생뚱맞다고 했다는 것을 보면 말이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니라 기존의 사고를 뛰어넘는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하는 것이니.
If you go this way, contact puleona math help avoid math and creativity, but it also seems difficult to change the current system still determines the sequence of the test through'd be an interesting subject because the subject is inevitably non-required courses . Things are not completely new, it is new information in this book. It seems a little strange in the existing field was mathematics as well as how to calculate a figure, etc.. In matdago saengttung said that the announcement when (?) In Mathematics Fair also know some mathematicians. Important that the practice shall look at in a new light, but it goes beyond conventional thinking.

그나마 책에서 나온 내용들중에 일부는 풀었다. 왜냐하면 책에서 푸는 방법은 물리나 수학을 통해 푸는 방법도 있지만 이를 뛰어넘는 것들도 있다. 꼭 숫자를 통해 푸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방법을 최대한 이용하면 되는 것이라 비록 말도 안되는 꽁트식을 푼다고 해도 문제만 풀면 된다. 몇몇 문제는 수학을 모르는 나로써는 그렇게 풀었는데 그 방법이 책에 언급되어 있어 괜히 흐믓하기도 했다. 그 자체가 책에서 말하는 '메타생각'이다. 기존의 획일화된 사고에서 벗어나 기발한 사고로 풀어내는 능력말이다. 문제를 하나의 방법으로만 푸는 것 자체가 수학에 접근을 가로막는 벽이고 말랑말랑한 사고를 가로막는 잘못된 방법이다.
Dont pull some of the information was from the book. Because over how to solve how to solve a math or physics in the book but it goes beyond things. Will come through as a way to solve a given number as possible, even if you use that ridiculous kkongteu Solve the equation and the only problem solving. I do not know the math rosseoneun mentioned in the book that came off that way there is some problem heumeut was also vain. The 'meta-thinking' mentioned in the book itself. Said a whimsical thinking out of the ability to solve the existing standardized accident. The wrong way obstructing the wall and stand in the approach to mathematics is only one way to solve the problem itself, Malang malranghan accident.

책 자체는 끊임없이 여러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안하면서 풀라고 한다. 이 문제를 풀면서 머리를 말랑말랑하게 만드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듯 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사물을 기존의 방법으로 바라보지 말고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며 '메타생각'을 하게 도와주는 책이다. 이 책을 한 권읽는다고 '메타생각'이 가능하다면 엄청난 책이 되겠지만 그런 책이 있다면 그 책은 사기꾼의 책이다. 다행히도 이 책은 그런 말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 약간은 저자가 잘난척을 한다는 느낌이 들때도 있지만 이 책을 통해 '메타생각'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면 아마도 저자의 노력은 보답을 받은 것이 아닐까?
The constant pool, suggesting that the ongoing problems book itself. It seems to say that this is a problem while practicing full should make fluffy hair. A book to help make a 'meta-thinking' do not look at things the old traditional way of looking at it through a different eye. If such a book that one reads this book, if possible, the "meta-thinking" this is a great book As will be the book of the book con. Fortunately, that does not mean this book is absolutely. The authors feel that the smug, but probably are moments it ever received the author's effort is rewarded if learning how to 'think meth' through this little book?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