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생을 글로 치유하는 법 - 글 쓰기(A year of Writing Dangerously - Writing)


글을 쓴다는 것은 어려운 것인가?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글이라면 분명히 어렵게 느껴지겠지만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는 일기 같은 경우에는 어렵지 않다. 자신의 글솜씨를 자랑하기 위한 글이 아닌 내 일상생활이나 내면에 대한 독백이라 쓰고 싶은대로 쓰면된다. 그럼에도 의외로 많은 사람들은 글쓰기를 어려워한다. 일기는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을 것이라 - 보여주는 일기도 있지만 - 유치해도 맞춤법이 어긋나도 상관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일기는 글쓰기로 여기지 않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Will be difficult writes article? Obviously if someone posts a difficult show to anyone, but it does not show feels as if the weather is not difficult. Proud of his writing skills, not for posts about my daily life and the inner monologue as I write because I want to write. Yet surprisingly difficult writing a lot of people. Diary would not show to anyone - even showing a diary - but it attracts even though the spelling is shifted even though the weather was writing to do not seem to be regarded not know.

지금은 일기를 쓰고 있지 않지만 중학교때부터 매일같이 쓰지 않았어도 꾸준히 30대 후반까지 썼던 것이 내 글쓰기의 원동력이 된 듯 하다. 딱히, 누구에게 보여줄 것이 아니라 쓴 일기덕분에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무서움이 없다. 처음부터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글을 쓴 것이 아니라 누구의 눈치를 볼 필요도 이것저것 신경쓰지 않고 글을 쓴 덕분에 여전히 글솜씨는 엉망이고 맛있는 글을 쓰지 못한다는 한계는 있지만.
Now do not write a diary every day in junior high, even if they continue to do it in my late 30s, wrote to the writing seems to be the driving force. No apparent, rather than to show who wrote a diary writes thanks to the article there is no fear, and fear. Beginning to show to others, rather than the writer who see the need to cater to the writer without worrying about this and that, thanks to the workmanship is still a mess and the posts you write good articles, but not the limit.

글을 맛있게 쓰는 사람들처럼 글을 잘 쓰고 싶다고 생각을 하지만 아직까지 글을 맛있게 쓴다는 것의 의미를 모르겠다. 자신의 수준만큼 보인다고 볼 때 내 수준이 워낙 미천해서 그런지 아직까지 글을 읽으면서 '정말로 글을 잘 쓴다. 어떻게 해야 이런 글을 쓸 수 있지'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다. 아마도 그건, 글이라는 것은 나에게 누구에게 보여주기 위해 미사여구로 치장하거나 세밀한 표현으로 감성을 전달하는 것보다는 내가 느끼고 본 것을 글로써 표현하는데 좀 더 의미를 두고 있어 그렇다.
Post a delicious well-written article like everyone wants to write articles, but still do not know the meaning of delicious writes. Looks as much as their level is so humble to my level when grunge still read the article 'write really good article. How can we use this article 'I've never thought of that. Perhaps that, that article was to show me who embellished or detailed representation of rhetoric convey the emotion I felt, rather than saw, expressed as Post puts it apart to make it more meaningful.

가장 좋은 글은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고도 명료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라 여긴다. 그보다 훨씬 더 좋은 것은 읽고나서 울림이 생기는 글이다. 울림이 전달되는 글은 글을 잘 써서 그런 것이 아니라 글의 내용에서 오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글을 잘 쓰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좋은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다. 다만, 이왕이면 좀 더 글을 잘 쓰기 위해 스스로 약간의 노력은 해야 한다. 그럼에도 글의 형식은 중요하지 않고 내용이 중요하다고 본다.
What a good article is intended to most accurately and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shall be considered distinct. Rather, it is much better to read the resulting article is sounding. The article is delivered sounding good article, rather than by writing articles that will come from the content. For that reason, rather than trying to write a good article to deliver good content does not it want to try it. However, as long as I write more posts for yourself should be a bit of effort. Nevertheless, the format is not important article important to look at the contents.

복잡한 세상에서 자신을 찾고 중심을 잡아 살아간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사람들은 템플스테이를 한다거나 명상 수련을 하거나 자연을 벗삼거나 올레길같은 곳을 통해 내면의 자아를 만난다고 본다. 단순히 시끄러운 세상에서 잠시 떨어져 편안함과 차분함을 느끼기 위한 행동은 아니라고 본다. 결국에 그 모든 것은 세상을 살아가며 자신의 중심을 유지하고 흔들리지 않기 위한 노력이다.
Find themselves in the center of a complex world, living it is not easy to catch. Meditation temple stay or that people or nature or olle beotsam inner self through the same place looks mannandago. Just moments away from the noisy world to feel comfortable and calm behaviors not think for. All of that eventually the center of the world salahgamyeo maintain their efforts are not shaken.

머나먼 곳을 찾아가거나 조금은 있어 보이는 장소에 굳이 가 - 자연을 벗삼는 것처럼 좋은 것도 없지만 - 생각을 정리하고 자아탐구를 하는 것도 좋지만 멀리 갈 필요없이 집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 바로 글쓰기이다. 아니, 굳이 집이 아니라도 어느 곳에서도 글을 쓰기만 하면 자신이 있는 공간이 정지되고 혼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바로 글쓰기이다. 글쓰기는 결국 나를 만나는 하나의 과정중에 하나이다.
Visit faraway places or places it seems a little bother is - it is not as good as natural samneun off - I think it is a quest for self-organized and good at home without having to go away much as is possible, it is just writing. No, the house is not even bother to write anywhere but in your own space alone will stop and you can have the same feeling that it is just writing. Writing is one of the end for me during the course of a single meeting.

지금이야 일기처럼 나 혼자 볼 목적으로 쓰기에 무지렁이와 같은 찌질한 내면을 전부 다 드러내고 쓰지 않고 적당히 남을 의식하고 쓰지만 여전히 글쓰기는 내가 쓰고 싶은 것을 쓰는 행위이다. 하지만, 글쓰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어쩌다 글을 쓰면 무엇을 써야 할지 몰라 어렵고 매일같이 쓰게 되면 어떨 때는 머리가 진공상태가 되어 쓰지 못해 어렵다. 그렇지 않다면 거의 대부분 글쓰기는 얼마든지 자기 혼자 도전하고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행동이다. 누구의 눈치를 볼 필요도 없고.
It's now see myself as a diary for writing purposes, such as dunce jjijilhan properly without exposing everything inside to remain conscious of the sseujiman still writing Writing is an act that I want to write. But it is true that writing is difficult. How did not know what to use when I write posts difficult to write every day, when the vacuum head Sometimes I can not do difficult. Otherwise, much as his own writing is almost at will to challenge the actions of the few. No need to see anyone's noticed.

글쓰기는 치유의 행위이기도 하다. 글을 쓰면서 억눌려있던 감정이나 불안한 마음을 다잡고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모든 것을 털어놓는 효과를 스스로 맛보게 된다. 아쉽게도 '인생을 글로 치유하는 법'은 이러한 내용을 알려주는 책은 아니다. 그보다는 글을 쓰려는 사람이나 쓰고 있는 사람들에게 글쓰기에 대한 온갖 자질구레한 것까지 하나씩 하나씩 알려주는 책이다. 글쓰기와 관련된어 있는 다양한 상황에 맞부딪혔을 때 분명히 책에 언급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삼아 위로 받거나 공감할 수 있다.
Writing is an act of healing as well. Post was suppressed by writing to the nervous feelings and mind hold jimyeonseo comfortable confiding everything to effect their own taste. Unfortunately, the 'law of life and global healing' is not a book to inform such content. Rather, the article writing to write to the person or people who will be writing about all kinds of trinkets that one by one, the book tells. Writing in a variety of situations related to air've hit the right is clearly mentioned in the contents of the book or sympathy note may be up to Sanya.

글을 쓰면서 사는 삶은 편안해 보이기도 한다. 글을 쓰기만 하면 되니 말이다. 막상, 이게 사람 죽이는 일이라는 것을 모른다. 그 아무리 천재적인 필력으로 감탄사를 내는 사람이라도 무의 상태에서는 아무런 글이 나올 수 없다. 머리 안에 무엇인가 있어야 글로써 풀어낼 수 있다. 아무리 필력이 좋아 작은 내용이라도 그럴싸하게 글로 꾸며내는 사람도 인풋이 있어야 아웃풋이 나올 수 있는데 글을 쓰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글로 먹고 살려고 할 때는 글로 나오는 것 이상의 인풋이 머리속에 들어가야만 한다. 머리에 들어간 내용 중에 20~30%정도만 나올 때 정말로 좋은 글이 탄생하는 것이 아닐까한다. 100% 전부가 글로 나온다면 그 글은 깊이도 없고 재미도 없고 무료할 것이다.
Boyigido a comfortable living writing writing life. Simply writing doeni said. Okay, we know that this is killing people. Pilryeok matter of admiration for those who pay the genius of any non-state can not come out any posts. What should be inside the head can be released as the article. No matter how little information I would like pilryeok forma inputs people have forged global output will come out in a day or two but it is not writing, glow glow coming out to eat to live when you enter into the head, but the more input. Contents into the head out only about 20% to 30% during the time it is a really good article is probably the birth. If you get 100% of all the global depth of the article is no free will, no fun.

하다보니, 글로써 먹고 살 정도는 아니여도 글로 먹고 살려고 노력중이다. 지금까지 누군가의 코칭을 받은 적은 없고 앞으로도 딱히 받을 생각은 없었는데 유명한 프로선수들도 끊임없이 코칭을 받는다는 사실을 볼 때 생각해 볼 만하다고 보인다. 나는 그저 내가 글을 꾸준히 쓰고 쓸때마다 어제보다 더 좋은 글을 쓰도록 노력하지만 그걸 내 스스로 파악하기 힘들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저, 의식하면서 잘 쓰려고 노력할 뿐이다. 정말로, 좋은 글이 무엇인지 아직도 모르고 있는 상태이니 말 다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It turns out, the article was about as eating live ahniyeo trying to eat even glow. Until now, no less someone who's coaching I did not mean to be a particularly famous for future professional players are constantly coaching when you consider the fact that I myself maven seems. I just continued writing when writing my post yesterday every effort to write a better article myself, but it is true that hard to figure out. Just, just try to write well while being conscious. Indeed, a good article in the state still do not know what are you saying is I do not know whether exhausted.

다만, 책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글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노력하고 글을 쓸 때에 분명히 속으로 읽으면서 쓴다. 나도 모르게 그러고 있는 데 나만 그런 것인지 다른 사람들도 그런지는 모르지만 말을 글로 쓴다는 생각으로 쓴다. 잘 읽히는 글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글을 읽어보면 안다고 한다. 그런 걸보면 더럽게 읽히지 않는 글은 말로써 읽을 수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자기 자신도 그 글을 말로 하라고 하면 때려치울 것이다.
However, as mentioned in the book so that the article is trying to write naturally when the connection into read, write clearly. Then knowing that I want to own that, but others say the glow grunge writes writes opinion. In order to make sure I read posts know that by reading the posts. I see that as a dirty unread posts If you can not read the words of the majority. The article also told his own words, you will end up getting hit.

이 책은 작가들을 위한 최고의 도서로 뽑혔다고 하는데 그럴만하다. 글쓰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워낙 다양한 이야기들로 꾸며져 있어 비록 내가 책에 나와 있는 것과는 다르지만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는 내용이 제법 많았다. 글을 쓴다는 것은 분명히 재능이 있어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어느 분야든 각자 자신의 재능이 있다. 재능이 없다고 포기하는 것은 그렇다고 아니다. 재능은 얼마든지 노력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해 보지 않으면 재능이 있는지 여부를 평생 모른다.
This book is the best book for writers deserve to be voted at. Because of its wide range of writing stories of those involved in a decorated than those listed in the book, although I nod but the contents are quite common sympathy. Writes article should have the talent that is definitely true. All which areas each with their own talent. Yes no talent is not giving up. How much talent can make any effort. In addition, the lifetime do not know whether or not talent.

글 쓰는 것만큼 내 맘대로 되는 것도 없다. 쓰고 싶으면 쓰고 싫으면 안 쓰고 쓰고 싶은 내용이 있으면 쓰고 쓰기 싫은 내용이면 안 쓰고. 전업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면 얼마든지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다. 글쓰는 작업이 거창한 것이 아니다. 가끔, 나도 내가 쓴 글을 보고 깜짝놀라기도 한다. 내가 이런 내용을 썼다는 것에 깜짝놀라서. 이런 경험은 가끔이지만 늘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구와 욕망이 팽배하다. 
Whatever it is that just as in writing not If you do not like do not want to write and write and write and write and write if you want to write the contents should not write hateful content. Not writing full time how many people can be free to write. Writing is not a tremendous job. Sometimes, I'm surprised I'm surprised to see the writing. I wrote this as Startled content. This experience is sometimes, but always wanting to write a good article and a desire to have prevailed.

'인생을 글로 치유하는 법'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은 나라는 사람에 대해 글을 쓰기 시작한 부터 - 구체적으로는 쓴 글을 공개하고부터 - 글은 나에게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읽는 것이 먼저인지 쓰는 것이 먼저인지는 모르겠지만 읽고 쓰는 삶을 통해 어제와는 다른 내가 매일같이 탄생하고 있따는 사실은 분명하다. 내 인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글을 쓰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나는 글로써 나라는 자아를 만났고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고 끊임없는 읽기로 보강하며 저절로 리뷰라는 매개체를 통해 오늘도 이렇게 글을 쓰게 된다.
'Heal the global life law' can be said about the people of the country are starting from writing about - specifically, from the writing to the public - article came to me by other means. First, it is first read it and I do not know what to read and write and write through life like yesterday and the other day I was born, and the fact is evident ittta.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my life, it is a good way of writing. Post as many ways, but I met people in the country to meet the self and reading endless reviews that reinforces itself, and through the media to write articles to do so today.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