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파리의 주얼리 상인 - 땀은 배신하지 않는다(Paris Jewelry Traders - Do not sweat the betrayal)


사업을 하는 것은 무조건 어렵다. 아무리 쉬워 보이는 사업이라도 사업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것은 보통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 엄청난 고생과 고민과 압박에 시달리는 일이다. 언어가 통하고 어릴 때 자라왔던 국민으로써 사업을 시작하는 것도 쉽지 않아 망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 말도 통하지 않는 외국에서 사업을 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미친 짓이라 할 수 있다.
It is difficult to project unconditional. However, even the business looks easy to start and maintain the business is usually is not required by the energy. Suffering and agony and suffering enormous stress days. Through language people grew up as a child it is not easy to start a business if the network is impervious to say which bujigisu Doing business in a foreign country can be called crazy, why look at.

한국도 아닌 외국에서 사업으로 성공한 한국인들이 있다. 엄청나게 큰 성공을 통해 방송이나 신문에 소개되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사업가가 전부 대기업이 되는 것도 아닌 것처럼 외국에서 사업을 하는 사람들중에는 중견기업까지는 아니라도 중소기업정도의 규모지만 탄탄하게 사업을 운영하는 사업가들이 있다. 이들은 혈혈단신으로 온갖 어려움을 혼자 힘으로 뚫고 성공을 일굴어 냈다는 표현이 정확할 것이다.
South Korea is in the business of a foreign non-Koreans be successful. Huge success when introduced in the broadcasting and newspapers, but also all business that is not a big business like all businesses in foreign countries, not even by the people during the mid-sized companies, but small scale solid enough to be businessmen running a business . These hyeolhyeol alone through all kinds of trouble for myself one nice to her and knows that success will be accurate representations.

책의 주인공인 장영배씨가 그런 경우이다. 어릴 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졸업하고 남들처럼 일반 고등학교에 들어간 것이 아니라 공군 학교에 들어간다. 이곳은 군인을 키우는 학교이다. 졸업하자마자 사관이 되었지만 공부에 대한 미련내지 정열로 야간 대학을 다니고 보다 개척된 인생을 살고자 편하게 장래가 보장(??)된 군대를 나온다. 대학때에 교사 자격증을 따지만 이마저도 포기한다. 편하게 갈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박찬다.
Mr. jangyoungbae main character of the book is such a case. A child born in a poor family and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s common as the others went into the school, but the Air Force. This is to foster military school. Upon graduating from officers to regret this, but passion for studying and attending college at night to live life more comfortably pioneered guarantee future (?) Out of the army. Only in college racking yimajeodo give up teaching certificate. Park Chan himself a chance to relax the go.

미국으로 간다. 새로운 인생을 개척하기 위해서. 인생을 뜻대로 되지 않기에 어려움과 살아갈 이유가 존재한다. 미국에서 좀 더 학교를 다니면서 미래를 준비하려 했지만 미국에 살고 있는 저자에게 한국에서 벌어진 IMF라는 불똥은 환율로 인해 모든 것을 잠시 내려놓고 돈을 버는 것에 치중하게 만든다. 미국에 와서 이것 저것 학자금을 벌기 위해 안 해본 것이 없지만 본격적으로 돈을 벌기 위해 주얼리 회사에 들어간다.
Go to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carve out a new life. Difficulties in life does not mean they have to live for the present. More in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school trying to prepare for the future but live in the United States took place in Korea, IMF to the author because of the sparks of the exchange rate while laying down all focus makes making money. Student to come to the United States to make this and that, but do not be tried in earnest to make money goes into jewelery company.

이곳에서부터 본격적으로 굳이 따지자면 제 2의 인생이 시작된다. 열정이라는 단어와 목숨을 걸고 한다는 표현처럼 남들이 싫어하고 마다하는 것들마저 스스로 적극적으로 읽을 해서 스스로의 힘으로 회사를 2배이상으로 키워논다. 영업파트에서 힘들어도 나가 바이어들을 만난다. 회사내에 처치 곤란한 것들은 솔선수범해서 해결한다. 좁은 회사를 나와 더 큰 메인 스트림에서 배우자는 생각으로 유대인 화사에 들어가 더 큰 시스템을 배운다.
From here, the rough equivalent earnest face second life begins. The word passion and expression that life did not like, like the others, even the ones for each read to themselves the power of self-actively to play in the company raised more than doubled. I even harder to meet buyers from operating parts. Treatment within the company solves the difficult ones to take the initiative. Small listed companies in the larger mainstream Jewish spouse brightly into the idea of a larger system to learn.

결혼과 더불어 창업을 한다. 세상만사 뜻대로야 되겠소라는 표현처럼 생각지도 못한 911사태가 터진다. 체류를 연장해야 하는데 까다로워진 조건으로 인해 결국에는 모든 것을 포기하고 다시 한국으로 온다. 중국계 프랑스인 아내와 함께하는 한국생활은 힘들다. 아내가 힘든 것보다는 자신이 힘든 것이 더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번에는 프랑스로 간다. 프랑스에서 다시 출발하기 위해서.
Entrepreneurship with the marriage. Sora'm gonna vanities expressed as mean as the terrorist attacks of Sept. 11, 2001, an unexpected pop. Need to extend your stay because of stringent conditions Jin gave up in the end everything comes back to Korea. Chinese French wife and life in Korea together is difficult. His wife, rather than hard, it is more difficult to think of this time jotgetdaneun go to France. France to start again.

배운게 도둑질(??)이라고 다시 주얼리 사업을 시작한다. 언어도 통하지 않고 법 체계도 다르지만 - 미국도 한국도 아닌 - 결국에는 탄탄한 사업처로 만든다. 현재는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차근 차근 매출이나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여기까지가 '파리의 주얼리 상인'의 대략적인 스토리다. 나이도 나와 똑같다. 내 나이때 이토록 자신의 인생을 적극적으로 개척해서 산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니 조금은 부끄럽기도 하다.
Theft learned (?) It starts to re-jewelry business. Without going through the legal system is different languages ​​- not even the United States in Korea - eventually made ​​a strong Project Office. Do not crowd the line current in the step by step to expand its sales and sachet. This concludes the "Paris of jewelery traders' story of the rough. Age also listed the same. When my older pioneer yitorok actively in their life when I hear a little bit of the mountain people bukkeureopgi too.

읽으면서 현재의 내 상황과 해야 할 일들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된다. 현재, 갖고 있는 고민과 다양한 모색을 책을 읽으면서 각오를 다지게 된다. 최소한, 나는 말도 통하고 법도 알고 움직이는 데 제한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너무 움직이지 않는 것이 아닐까라는 반성도 하게 된다. 책을 읽어 든 생각이라기보다는 최근에 계속 집중해서 하는 생각이 '프랑스의 주얼리 상인'을 읽으면서 보다 구체화된 듯 하다.
Reading to be done with my current situation, I think that it is about the various. Currently, a variety of concerns and has sought to dajige willing to read the book. At the very least, I know the law and moving through to say even though restrictions Maybe though it does not move so it is also a reflection. I read all the book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latest idea to keep 'French jewelery traders' seems to be embodied than by reading.

프랑스에 대해 소개하는 부분도 많은 도움이 된다. 법 체계는 어떻게 다르며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알아야 하는지 사회체제는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한 소개는 프랑스에 대해 잘 모르는 나같은 사람에게 단순한 재미가 아니라 정보차원에서도 도움이 되었다. 엄청나게 많은 세금을 내지만 사장이나 사원이나 똑같은 조건에서 일을 하는 것이고 그게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것이나 국가에서 많은 복지지원을 해주기에 아이들을 키우는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다. 외국인에게도 똑같은 조건으로 복지지원을 해 준다는 점도.
An introduction to many parts of France also helpful. How is business different legal system in order to know something about how the social system is what has introduced the French people like me who are not familiar with, not just a fun dimension in the information was helpful. President and enormous temples and pay taxes, but you are doing exactly the same conditions that would be acceptable for granted in many countries but now the children aware of. Welfare assistance is not any discomfort. Foreigners who Giving support to the same conditions as the viscosity welfare.

회사를 운영하며 조금이라도 투명하지 않으면 그 즉시 정부차원의 압박이 들어와서 뒷돈이나 다른 생각은 할 수 없다. 사업을 시작해서 키우는 것도 어렵지만 일단 궤도에 오른 회사가 망하기도 힘든 구조로 되어 있다. 부동산 거래도 쉽지 않아 우리처럼 부동산 가격이 쉽게 오르기도 떨어지기도 힘든 구조이다. 그리고 보니, 유럽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떨어지는 그래프에서 프랑스 것은 본 적이 없는 듯 하다.
Company does not operate, and even a little transparent government immediately came in the press or any other idea you can not dwitdon. It is difficult to start a business and raise manghagi one is a tough track to the right company structure. Real estate transactions are not easy easy as we climbed property prices fall to a hard structure. And, behold, rising real estate prices are falling in Europe is never seen in the graph seems to France.

자신의 상황이 어디에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수 많은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스토리다. 미화가 어느 정도는 곁들여졌다고 해도 그들이 열심히 노력한만큼 성공했다는 점은 어느 사람이나 다 똑같다. 어려울수록 인정하고 받아들이지만 이를 헤쳐나가기 위한 노력을 마다하지 않는 점이 바로 지금의 위치를 만든 원동력이다. 쓸데없이 실천력이 없는 말로만 떠드는 자기계발서적보다 이런 책을 읽는 것이 인생에 있어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는데 있어 훨씬 도움이 될 것이다.
His is not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significant number of the successful stories of common people. U.S. may have seemed to some extent served as successful as they had for the hard work which the person or the same. Acknowledge and work through the more difficult to accept it, but not willing to point right now in an effort to create the position of force. Verbal practice power is not bustling needlessly self-development books to read such a book than it is back in life, seeing his plight would help a lot.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