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쓰잘데 없이 고귀한 것들의 목록 - 지식인(Where are you staying write a list of things without a noble-intellectuals)


지식인은 무엇을 말하고 누구를 말하는가? 지식인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일정한 수준의 지식과 교양을 갖춘 사람. 또는 지식층에 속하는 사람이라고 한다. 애매한 표현이다. 일정한 수준이라는 단어에서 나오는 비논리적인 의미가 대략적으로 대충봐서 결정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지식의 수준이라는 것을 논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한계가 바로 일정한 수준이라는 표현을 나오게 만든 듯 하다.
Who is to say what the intellectuals say? Looking to find the word in the dictionary intellectuals a certain level of knowledge and a man of culture. Or as a person belonging to the intelligentsia. Ambiguous expression. The word comes from a certain level illogical decision means that there are roughly read as rough looking. We discussed that the level of knowledge is very limited, it is not easy to come out a certain level, the phrase seems to be made​​.

내가 갖고 있는 지식을 근거로 나보다 뛰어난 사람은 지식이라고 명명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렇지 않다고 할 것이다. 자신의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자신보다 수준이 높은 사람은 전부 지식인이라고 표현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딱히, 지식인이라는 타이틀을 갖기 위해서 시험(우리나라가 아주 좋아하는 계량화 과정)을 통해 지식인을 선정할 수는 없다. '신지식인'이라는 타이틀을 준 적도 있는데 참 무식한 일이다라는 생각도 든다.
Based on my knowledge, I have a better knowledge of who will be named for the majority of people will not feel. People who think their level is lower than his highly intellectual people all said, as he does not represent. No apparent intellectuals in order to have the title of the test (a quantification process of our country is very good), and can not be selected via the intellectuals. 'Sinjisikin' equator, which gave the title is indeed ignorant of the idea that one can carry it.

모든 사람이 전부 인정하는 지식인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수치로 환산할 수 없는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 중에 많은 범주의 사람들이 '지식인'이라고 말을 해 주는 사람들은 있다. 그들은 스스로를 지식이라고 이야기 안 할지 몰라도 남들이 지식인이라고 이야기한다면 지식인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지칭 받는 사람이 아니라 지칭 하는 사람들의 지식 수준차이가 천차만별이라고 볼 때 그들이 이구동성으로 '지식인'이라고 칭할 때는 남들과는 구분되는 지식을 갖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All anyone could be recognized by the intellect, but generally can not be converted to numeric who has knowledge of many categories of people during the 'intellectuals' and it is said that people have. They called themselves the knowledge others do not know whether the story is not as intellectuals will have to talk as if the intellectual. Refers to a recipient who is referred to as differences in knowledge levels vary widely when they unanimously called 'intellectuals' and others would call when there is a distinct need to have knowledge of you.

지식인은 많은 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뜻할 것인데 단지 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만으로 지식인이라고 지칭할 것인가? 규정할 수 없는 비언어적 지식을 언어로 풀어 이야기할 수 있다면 지식인인가? 다양한 지식을 언어로 풀어내면 지식인이라고 우리는 지칭할 수 있을까? 이 부분에서 지식인에 대한 구분이 생기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론이 결여된 실천이나 실천이 결여된 이론은 둘 다 불완전한 토대위에 언제 무너질지 모른다. 문제는 실제 현실에서는 실천이 없는 이론만으로도 얼마든지 잘난체를 할 수 있고 마구 마구 떠들 수 있다는 것이다.
Have a lot of knowledge that intellectuals geotinde mean that you have only just intellectual knowledge referred to do? Rules can not be released to non-verbal language knowledge is intellectual if you can talk? Inside knowledge to solve a variety of languages ​​called intellectuals can we say we are? This part of the intelligentsia, it is probably the cause for the distinction. This lack of theory and practice practice theory is both incomplete lacking on the foundation fall do not know when. In reality, there is no real practical problem is just how many theories can be pretentious to speak out loud that it can fives.

지식인이라는 타이틀을 남들에게 듣는 사람이 지식이 풍부할 지 몰라도 실천이 없다면 그를 우리가 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의외로 지식인은 무척 많다. 나보다 지식이 많다고 생각되느 인물에게는 다 지식인이라고 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여러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지식인이라고 하는 그 인물은 지식인에 좀 더 가까운 사람일 것인데, 우리의 실정에서 과연 지식인은 얼마나 될 것인가? 외국에서는 지식인들이 자신의 지식을 현실에서 실천하는 경우가 많다.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알고 있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Listen to the title of intellectuals who are knowledgeable others, you do not know him, we do not have intellectual practice can we say? Surprisingly so many intellectuals. Doeneu knowledge than I think many people who can be called the intelligentsia. In reality, the number of people that are commonly called intellectual people who are close to one a little more intellectual geotinde, really intellectuals in the fact of how much we be? Their knowledge of other countries, intellectuals is often practiced in reality.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that a lot of what you know, it is important to practice.

엄청나게 박학다식한 지식을 습득하고 어느 분야나 막힘없이 술술 이야기를 할 줄 안다고 해도 아무런 실천이 없는 사람을 우리는 지식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재수 없는 놈이라고 봐야 할 것인데 우리는 이런 사람을 지식인이라고 칭송할 때가 많다. 외국처럼 말로만 지식을 떠들고 지식의 실천을 외치는 것이 아니라 앞장서서 외치고 지식을 글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경우가 드물다. 이분법적인 사고가 팽배한 시대를 건너와 아직도 자유롭지 못한 우리의 사상적인 한계가 스스로 자신을 특정 틀에 가둬놓는지도 모르겠지만.
Bakhakdasik a huge field of knowledge, and which can speak and talk fluently without blocking any action without the person even knowing that we do not think that the intellectuals. Rather, it should be unlucky guy who geotinde intellectuals such as we are often praised. Tteodeulgo verbal knowledge, as knowledge of foreign practice, rather than shouting shouting prior knowledge to move the hearts of the people as the article rarely. Dichotomous thinking is prevalent across the ages and still not free ourselves of our own particular ideological framework of limits put in the cage I do not know the map.

현대의 지식인은 말을 잘 하는 사람이 아니라 글을 잘 쓰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지식을 상대방에게 어떻게 전달하고 움직이게 만드냐가 바로 지식인의 사명일 수 있다. 글이 없던 시대나 글을 읽기 힘든 시절에는 말로써 전달하면 그것으로 족했다. 인원도 얼마되지 않아 전달과정의 변질이 다소 될 수 있어도 충분히 의미가 전달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현대에는 자신의 지식을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글이라는 표현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
Contemporary intellectuals who speak well, but people do not read and write can be called. How to transfer their knowledge to the other side and brings the right moves can be samyeongil intellectuals. Post this before you read the times and days of the end of a tough group as it was passing the. Shortly personnel transfer process is somewhat of a perverted sense enough to be delivered even if a lot of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but his knowledge of the people who passed by the expression in order to notify the Post.

그만큼, 글쓰기의 중요성이 필요한데 지식을 많이 쌓는다는 것과 좋은 글이 나온다는 것은 다른 듯 하지만 같은 것이다. 흔히 말하는 인 풋이 좋아야 아웃풋이 좋다는 말을 한다. 들어오는 것이 있어야 나오는 것이 있게 된다. 글을 잘 쓰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술적인 측면으로 노력하는 것은 얼마든지 극복 가능하다. 글을 쓰다보면 자연스럽게 글은 조금씩 조금씩 개선되고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는 기술이 늘게 되어 있지만 이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지식은 스스로 쌓지 않으면 결코 늘 수 없다. 백날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고 좋은 글을 쓰기 위한 강의를 다닌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So, you'll need a lot of knowledge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Banks emerges is what good writing is different and it seems the same. Foot-called horse is good to have a good output. It should be able to come out. How to write a good article for the technical aspects of how much effort it is possible to overcome any. Naturally look to write articles article is improving little by little, their intention is to deliver the technology, but it neulge yourself for delivering a variety of knowledge can not ever never not not stack. Baeknal trying to write a good article writing is not for the river's going to solve.

물론, 많은 것을 읽지 않아도 많은 것을 듣고 - 일정 한계가 존재한다 - 많은 것을 생각하고 - 한 개인의 생각에는 사고의 확장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 글을 쓰면 되겠지만 이에 대한 한계는 분명하다. 고로, 많은 것을 보고 읽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을 것이다. 그러는 과정에 지식이 쌓여 좋은 글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쓰잘데없이 고귀한 것들의 목록'의 책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서 이토록 길고도 긴 지식인의 의미와 지식인이 자신의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 대해 썼다. 그만큼 지식인을 알아채는 방법은 그의 글을 읽는 것 밖에는 없다는 뜻이 된다.
Of course, many things have to read a lot hear - there is a certain limit - I think a lot of that - and the expansion of a person's thought the accident that there is a limit - limit post write doegetjiman For obvious. Hence, the good thing is that just as many will not read the report. Meanwhile,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in the process will be able to come out good writing. "Where are you staying without a written list of things noble 'in order to talk about the book a long, long yitorok intellectual meaning and convey their knowledge of intellectuals wrote about. His intellect to know how much you read while holding it, it means that this is outside.

여러 곳에 기고한 글들로 구성되어 있는 책이다. 대부분의 책들이 특정 주제를 이야기하는데 반해 이 책은 특정 주제는 없다. 수 많은 주제에 대해 글을 썼던 당시의 상황에 맞는 시의적절한 지식을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쓴 글들을 엮어 펴 낸 책이다. 각 주제에 맞는 글이 얼마나 논리정연하게 전달하느냐가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데 그런 부분에서는 방대한 지식을 동반한 자연스러운 내용전개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다. 
Consists of a number of writings contributed by you book. Most of the books were talking about a particular topic, whereas this book is not a specific topic. Wrote a number of articles on the topic at the time of the context-sensitive knowledge in a timely writing to tell people to spread out the book is woven. How to fit each topic posts orderly logic that can be passed to whether the core of such a natural part of the writing, accompanied by a vast knowledge of the reader makes this a nod to let.

분명히 어려운 내용인데 번역되는 과정에서 더 어렵게 내용을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어 넘사벽이 되는 글이 많다. 자신의 무지를 탓하며 극복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다수는 무지를 인정하고 포기한다. 이럴 때 한국사람이 쓴 어려운 글은 그나마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의 사고를 갖고 우리나라 말로 풀어내기 때문에 어렵다고 해도 읽을 수 있는 친근함이 존재한다. 이 책이 그렇다고 할 수 있다. 결코, 쉽지 않은 내용과 글이지만 읽는데 큰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딱히, 잘난체를 하거나 지식인이라고 지식을 알아들을 수 없는 말로 나열하지도 않는다. 물론,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은 아니다.
Translate it about obviousl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ifficult is the way of the article is much more than this sabyeok. Because of ignorance, and people who overcome the ignorance of the majority, but to acknowledge and give up. When this happens dont Korea Korean man who wrote this article is a difficult country to have an accident if our country difficult because words can be read out loose intimacy exists. This book can be yes. Never, not an easy read, but the content and posts are not in big trouble. No apparent, as pretentious or intellectual knowledge does not even list the words inaudible. Of course, the article is not easy to read.

글에는 다양한 분야가 존재하는데 현대의 글쓰기는 논리정연하게 자신의 주장을 자연스럽게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방대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 더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다. 1에서 1을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100에서 1을 이야기하는 것처럼 말이다. 필사라는 방법이 있다. 좋은 글을 계속 베껴 쓰다보면 자연스럽게 글쓰기의 기술을 체득하는 방법이다. 그만큼 좋은 글을 쓰는 사람의 노력을 단기간에 훔치는(??) 방법이다. 신문의 칼럼을 베껴쓰는 것이 가장 좋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이 책은 그런 교본으로 쓰기에도 참 좋은 책으로 보인다. 논리정연하게 자신의 주장을 사례와 함께 기승전결로 자연스럽게 연결해서 전달하는 글의 맛을 알려준다. 이거,, 쉽지 않다. 나도 그랬으면 참 좋겠다.
There exists a wide range of modern article writing is the logic of his argument squarely passed to the other side, it is naturally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do this, you must have extensive knowledge it is clear that more help. 1-1 100-1 rather than the story, as the story said. There is a desperate way. Copy write a good article to continue looking at how to naturally acquire the technology of writing. Writing profitable in the short term to steal people's hard work (?) Method. Copy of newspaper column writing good stories, but this book is the best textbook writing is also true that the book looks good. Case Logic squarely with his claim giseungjeongyeol deliver a smooth connection to tell the taste of posts. This, it is not easy. I wish so happy with.

더구나, 그 과정에서 저자가 얼마나 풍부한 지식을 통해 글로써 풀어내며 단순히 글로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시대에 발생하는 문화, 사회, 정치, 외교등의 전방위적인 지식의 전달과 실천을 요구하는 글에서 지식인의 글쓰기가 이렇다는 것을 알게되고 지식인이라는 표현에 대해 생각을 해 보게 만들었다. 어린이 도서관이 '기적의 도서관'을 만드는데도 노력하고 있다고 하니 진정한 지식인이라는 판단이 든다. 이런 지식인들이 보다 더 많아졌으면 한다. 감히, 내가 지식인에 대해 미주알 고주알 주제넘게 마구 마구 이야기하고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 어불성설이지만.
Also, the process of how the author with a wealth of knowledge to solve naemyeo Post as global knowledge to deliver simply swelling that occurs in each period rather than cultural, social, political, diplomatic and other all-round knowledge and practice to require the delivery of an article yireotda in writing is to know that intellectuals and intellectuals see the phrase made ​​to think about it. Children's library is "Miracle Library 'is trying to make a judgment that the costs that do the real intellectuals. Jyeoteumyeon than a lot of these intellectuals. How dare I presume Recent changes for intellectuals talking yardstick to deulyidaeneun fives, but it is unreasonable.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