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스캔들 세계사 - 흥미로운(Scandal World History - Interesting)


역사에 대해 가십거리처럼 전달해주는 책이 부담없이 읽을 수 있으면서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비록, 깊이와 전체적인 맥락을 집어가며 역사를 관통하는 흐름을 알기는 힘들어도 이미 알고 있었던 지식이 잘 못 되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거나 가볍게 다양한 사례를 대체적으로 사건 중심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특정 시기에 대해서만 알려주는 책들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Communicator as gossip about the history of the book can be read casually, yet fun to read. Although the depth and context to put the whole flow through the gamyeo history already knew even harder to understand is that knowledge is not good practice to realize a variety of light or events generally centered around the person, rather than only at certain times of the book that tells an interesting can be read.

과거에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분야에 대해 알려주고 이를 배우는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졌지만 전공자가 아니라도 스스로 자발적인 공부를 통해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사람들의 이야기도 널리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있다.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의 특징은 특정 사상에서 자유롭다는 것이다. 스승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사사받은 지식이 아니라 스스로 하나씩 알아가며 체득한 지식이라 특정 사상에 함몰되기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집중적으로 파고 들어 전공자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깊이 아는 경우가 있다.
In the past, experts in their particular field and asks them to learn, but it is taken for granted, not even their own majors through voluntary study to gain knowledge on a particular area of the story of the people who are widely known to people.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are not majoring in a particular idea will be free. Received from a man named teacher judges gamyeo acquire knowledge, but knowledge about themselves because one particular ideology, rather than depression dig into their majors focus on what you want to know more than there is when you know the depth.

이러한 사람들의 지식이 과거에는 스스로 터득하고 책으로 펴 낸 적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자신이 공부하고 배우면서 알게 된 지식을 토대로 블로그라는 공간에 올리면서 사람들에게 환영을 받고 사랑받는 일이 많아졌다. 그 후로 출판사에서 연락이 와서 책이 나오는 경우도 많아졌다. 나같은 경우에는 능력이 안 되어 내가 직접 출판사에 연락해서 책을 나왔지만 이 책의 저자인 이주은씨는 '눈숑눈숑 말푀유'라는 블로그에 자신이 재미있어 하는 유럽사에 대해 올린 것이 이처럼 책으로까지 나오게 되었다.
In the past, these people's knowledge of their own learning and straighten out the book if you've lots to learn and study his recently discovered a blog based on the knowledge of those who welcome the space while raising a lot of work was being loved. After that book came out in publishing, even if contact is increased. If you are like me, I do not have the ability to directly contact the publisher and author of the book The book came out, Mr. yijueun 'end poeyu nunsyong nunsyong' a fun blog that he posted about European History is to come out of such a book was .

특정 시기나 인물에 대해 서술하는 것이 어려울 지 이 책처럼 여러 분야의 사람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 더 어려운지 모르겠지만 전자가 깊이 파고들어 세세하게 알려줘야 한다면 후자는 여러 시기의 여러 인물에 대해 전체를 아우르며 재미라는 측면까지 놓치지 않으면서 알려줘야 하기에 더 박학다식하게 내용을 읽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전달해 준다는 측면에서 한 인물뿐만 아니라 주변인물과 역사적 흐름까지 알려줘야 하니 여러 가지를 알고 있어야 할 것 같다.
Person in a particular time and place it is difficult to describe this book in many areas like that it is more difficult for people who do not know the depth Electronics diligently tell if you dig into the time of the latter is different for different people from all encompassing in terms of fun bakhakdasik more without missing to tell people to read the content in terms of interest to the person who delivers Giving and historically, as well as to tell people around do seem to be several things you should know.

무엇보다 전공자들이 아닌 사람들이 쓴 글은 일단 재미있다. 전공자가 쓴 글들이 꼭 재미없으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역사와 같은 분야는 너무 세세하게 들어가고 일반 대중들에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책보다는 자신의 업적이나 논문과 같은 내용을 좀 더 보강해서 책으로 펴 내는 경우가 많아 가독성이나 흥미보다는 다소 따분하고 학구적인 내용으로 점철되어 나같은 일반인들이 읽기에는 다소 힘든 것이 사실이다.
Than what is written by people who are not majoring interesting one. Wrote the majors are not just fun no guarantee lira history into such fields is too small and to deliver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rather than a book or a paper such as the achievement of their contents spread out a little more if the book is to reinforce increase readability and interest rather than the dull and academic content jeomcheol ordinary people like me to read, it is true that there are some tough.

역사에 대해 비전공자인 저자가 유연하게 자신이 알려주고 싶은 이야기를 편하게 커피 숍에서 테이블위에 얼굴을 묻거나 의자 깊숙히 몸을 누이고 흡사 비밀이야기를 전달하듯이 소삭이는 소리에 귀기울여 듣는 느낌이다. 어릴 때 미국에서 공부를 하고 와서 그런지 단순히 특정 인물에 대해 알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가쉽성으로 언어에 대한 이야기까지 함께 전달해 줘서 그런 것을 읽는 재미도 있다.
Bijeongongja about the history of the author tells his story you would like flexibility to easily buried in a coffee shop or a chair on the table face deep into the body to deliver the story as a secret sister. Much like the sound of this sakyineun listen very small feeling. Come to the U.S. to study at an early age and grunge just as any person not just for Gossip Star tells the story of the language with a pass for being such a thing to be fun to read.

책의 반 정도는 영국 역사에 대한 이야기고 나머지는 이곳 저곳을 설명하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영국 인물과 프랑스 인물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특히, 영국 같은 경우에는 인물에 따라 연대순으로 차례 차례로 한 명씩 알려준다. 연대순으로 나열식으로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책의 제목인 '스캔들 세계사'라는 제목처럼 흥미위주로 사람들이 관심있어야 할 내용을 갖고 알려준다.
Half of the book about the history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rest of the story here and there, but to describe the British people and the French people generally accounted for the majority.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UK in chronological order, as if the person tells one by one in turn. Listed in chronological order, rather than the way the title of the book tells the 'scandal of world history', as the title should be, people are interested mainly interested in the contents of a tell.

역사를 시간 순서대로 외우기 위해 읽는 것이 아니라 동화책을 읽는 것처럼 이야기 형식으로 읽는다면 잊혀지지 않을 것이라는 말처럼 심각하고 역사를 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쉽거리나 스캔들이라는 제목처럼 남녀가의 치정에 보다 초점을 맞춰 각 시대의 역사를 알려주고 있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드라마도 막장 드라마를 보면 욕을 하면서도 빠져 나오지 못하는 것처럼 역사 이야기도 남녀간의 문제로 파고 들어가 알려주니 보다 흥이 동한다.
In order to remember the history of time to read fairy tales, as well as reading the story will not be forgotten if you read format, serious, like a horse, but rather discuss the history of the street or scandalous gossip, like the title of a man and a woman, each focusing on a more chijeong tells the history of the times it was fun to read. Ardent drama drama get out but not look like bath historic problems between men and women digging into the story let the Junior East than hyped.

비록, 스캔들이라고 하는 내용을 통해 역사를 알려준다고 해도 영국 역사를 거의 연대순으로 보여준다. 그만큼 특정 시기의 영국 역사는 스캔들이라는 관점에서 봐도 될 정도로 막장이라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좀 더 깊이 들어가면 과거의 상류층은 막장의 연속이다. 지금이 오히려 사람들의 눈치를 보고 일부일처제가 확실하지만 과거에는 말로만 일부일처제에다 근친상간과 같이 지금으로써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 태연스럽게 일상적으로 벌어졌기에 서로간에 얽히고 섥힌 것들로 인해 치정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scandal as it is said to tell the history of English history shows little chronological. Scandal at certain times so from the point of view of British history is ardent enough to look seems to be able to say. Once more in-depth history of the upper class is a continuation of the Face. I noticed people looking at this now, rather than monogamous in the past, but I sure like incest tunes verbal monogamy can not imagine now, that's the thing carefully casual everyday things happen seorkhin gotten entangl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history of it as chijeong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귀족들과 왕족들은 끊임없이 난봉꾼으로써의 기질을 마음껏 발휘했고 - 능력이 되는 남자가 자유마저 획득한다면 그렇지 않는 것도 신기할 수 있다 - 여성들은 이를 감수하는 시기였다. 고상하게 어쩌구 저쩌구 해도 그들이 난잡한 성관계를 맺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리나라 왕들중에서도 난잡한 성생활로 성병에 많이 걸렸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
By nobles and royal temperament are constantly Unleash Playboy and - the ability to acquire even if the man is free to wear anything you can not do - when the women were taking it. Sublime promiscuous sex blah blah blah they concluded it can not deny the fact that it is. Sexual promiscuity among the kings in our country took a lot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ays the story are you enough.

중세 시대에 여자로 태어나고 남자로 태어나면 어떠한 인생을 살았을 것인지에 대해 유추하면서 알려주는 것은 흥미로우면서도 재미있었고 세익스피어의 정체에 대해 탐구하는 내용은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는데 읽으면서 혹하게 만들었고, 중세 시대에 첫날밤에 성주에게 여성의 초야권을 선사했다는 것은 거짓말이였다는 사실과 이에 대한 논거는 타당성으로 아하..를 외쳤고 태양왕 루이 14세가 병치례한 이야기는 고통이 장난이 아니였을 듯 하다. 절대 군주였던 사람이 병을 고치겠다고 고문과 다름없이 마취도 없이 이를 다 빼버리고 불로 지지고 하는 내용은 저런 끔찍한 고통을 참고 살다니 대단하다는 감정마저 생겼다.
Women in the Middle Ages, was born and lived as a man born of whether any life and tells about the analogy is interesting but much fun and explore the information about the identity of Shakespeare is perhaps dimly aware that the reading was made​​, on the first night of the Middle Ages s opposition to the lord of a castle and quality of women is a lie that the latrine facts and arguments about the validity of such chanting Ah, the sun King Louis XIV. chirye bottle story was not the pain seems to be a joke. A person who was an absolute monarch, and no less tortured bottle would fix it without anesthesia jijigo the fire about to pull away like that is a great feeling terrible pain even be living in the reference occurred.

백설공주의 원작을 알려줘서 알고 있던 내용과는 다소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 아마도 디즈니의 영향일 것이다 - 키 큰 병사들만 뽑은 왕의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그 외에도 재미난 단편들의 이야기로써 역사 전체를 관통하는 시선을 획득하는 면에서는 다소 떨어질지 몰라도 흥미위주로 재미있게 역사의 이면을 알게되고 인간 군상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는 책이다.
That's good to know the original story of Snow White knew that the content and learned a little different - maybe Disney will be affected - only the tall soldier king's story was interesting anyways. In addition, as an interesting short history of the story through the eyes of the whole in terms of obtaining some fun tteoleojilji mainly interested in knowing the history of the human being to know if you can see a glimpse of hung under the eaves of the book.

우연히, 스캔들 세계사를 읽게 되었는데 워낙 인기가 좋아 현재 2편까지 나왔다. 확실히, 흥미롭게 역사를 알려주는 내용은 재미가 있다. 딱딱하게 나열식으로 주절 주절 하는 것보다는 이처럼 전체내용은 이어지지 않을 지라도 각 인물을 통해 그들의 행동을 특정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알려주는 내용의 훨씬 지루하지 않게 흥미위주일지라도 보탬도 되고 기억에도 남는다. 스캔들을 통해 역사를 알게 된다니 당연하다고 할 수 있겠다.
By chance, I read the scandal of world history was up two flights Because of its popularity came out like today. Sure, tell the interesting history about fun. Stiff, rather than listing the main clause main clause such a way, the entire contents of each person, even if not in the lead through their actions while looking at a particular point of view informs much of the content is boring and not interesting memory-intensive, even if it remains a boon. Know the history of scandal can assume itgetda job sounds.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