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꿈의 기업 메이저리그 - 모든 것(Major League Dreams of companies - everything)


메이저리그는 원래부터 야구에서는 가장 최고이자 최상의 리그로 모든 야구인들의 선망의 대상이다. 미국에 있는 야구경기를 하는 리그로 대단한 선수들이 많고 가끔 그곳에서 뛰는 선수들의 대단함에 대해 기사로만 접하다가 드디어 박찬호가 메이저리그에 본격적인 출전을 하면서 TV를 통해 실제로 볼 수 있었다. 시차로 인해 대부분 아침에 할 때나 보게 되었고 가끔은 새벽에 일어나 본다는 분들도 있었는데 대단하다고 봤다.
Originally from Major League Baseball in the best league in the best interest of the envy of all yaguin. In the United States as a big league baseball game, where players often play in many articles about players' greatness has finally come in contact only with authentic Padres played in the major leagues and could actually see through the TV. Mostly due to the time difference was seen in the morning or when you get up in the morning, sometimes even more stares saw was incredible.

덕분에 메이저리그의 선수들과 경기장을 볼 수 있었다. 한동안 메이저리그는 케이블에서나 가끔 하는 정도로 등한시되다가 류현진이 다시 메이저리거로써 풀타임 뛰다보니 다시 보게 되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경기장을 구경할 수 있게 되었고 최근에 유명한 선수들을 다시 볼 수 있는 기회가 자연스럽게 생겼다. 한국 프로야구도 많은 발전을 했지만 화면상으로 보는 메이저리그를 볼 때면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미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anks to the major leagues and the players were able to see the stadium. Or in the major leagues for a while, sometimes to the extent that the cable through and ryuhyeonjin neglected as a full-time major leaguer again saw the kick looked back. Yet, naturally, to be able to visit the stadium and recently famous players have a chance to see you again occurred naturally. Korea Professional Baseball is a lot of progress on the screen, but when I look to see Major League Baseball is still seen in many parts that can be secluded.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를 말하라고 하면 단연 축구이다. 축구 공 하나만 있으면 가능한 스포츠이다. 야구는 장비도 많고 룰도 상당히 복잡하다. 그럼에도 야구는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 (야구, 농구, 미식축구, 하키)이다. 온갖 문화를 수출하는 미국의 영향으로 야구도 주변국가와 영향을 받는 국가에서는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로 자신들의 리그에서 우승팀을 뽑는 것인에도 월드시리즈라는 이름을 과감히 해도 누구도 잘 못 되었다고 이야기하지 못할 정도의 실력과 기반시설을 갖고 있다.
The most popular sport in the world tell you to say that by far football. If there is only one soccer ball for sport. Baseball is a lot of equipment rules are quite complex. Nevertheless, baseball is the most popular sport in the country called the United States (baseball, basketball, football, hockey) is. Export all kinds of cultural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around the country and affected baseball popular in countries. In fact, they would pull out of the league champions and also named the World Series have been wrong anyone even dare not talk about has the skills and infrastructure.

늘 화면으로만 보던 메이저리그를 글로 접할 때에 단순히 선수들에 대해 언급하고 소개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고 지금의 메이저리그가 있기까지의 역사와 그들이 지금처럼 성공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 더 관심이 간다. 하일성, 허구연등의 야구 해설자만 있던 시절에 메이저리그가 본격적으로 선 보이면서 등장한 해설자들이 메이저리그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무장한 신세대(?) 해설자들이였다. 선수출신은 아니여도 흔히 말하는 오따꾸의 정신으로 선수출신보다 더 많은 것을 설명하는 이들의 등장은 신선한 해설을 들을 수 있었는데 그 당시에 등장한 해설자중에 한 명이 바로 송재우다.
Only ever watched the screen glow accessible to major league players for simply referring to the time to introduce significant because it is not until now that the history of Major League Baseball, as they are now up and running a successful system that tells how more interested in the book goes. Hailseong, heoguyeon such as Major League Baseball was in the days of the narrator, but the lines showing in earnest commentators have appeared in the major leagues, armed with extensive knowledge of the new generation (?) Who was the narrator. Five players from the ahniyeo ttakku is the spirit of the players is said to come from more than just fresh commentary explaining the emergence of these were able to hear at that time appeared songjaewoo One of whom was the narrator.

비록, 처음에는 보조 해설자였지만 점점 그가 하는 해설은 풍부한 이론적인 지식과 뒷 이야기들을 통해 재미를 선사했는데 그가 이번에 메이저리그에 대해 알려주는 책을 선 보였다. 사실, 우리와 비교는 근본적으로 힘들다. 화면상으로 봐도 절대적으로 부족한 기반시설이 느껴진다. 메이저리그 팀들이 어떤 식으로 운영하고 수익을 창출하는지 아무리 알려주고 알고 있어도 제도가 뒷받침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무리라고 알고 있다.
Although at first he was getting a secondary commentary commentator, but a rich back-story through theoretical knowledge and prehistoric fun but this time he has a book that tells you about a major league line, respectively. In fact, we are inherently difficult to compare with. Lack of on-screen look absolutely infrastructure is felt. Major League Baseball teams make money in any way that operating systems are supported, no matter how informed are not even aware I know a bunch reality.

시에서 경기장을 무상 임대받는 식으로 다양한 수익을 창출하는 메이저리그와 시가 모든 수익을 가져가는 우리를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잘 못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할 수 없는 것은 어쩔 수 없어도 할 수 있는 범위에서는 최선을 다해 메이저리그를 흉내라고 내면서 공력을 키우고 수익창출을 노력하면 우리도 그들처럼 비슷한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고 실제로 그런 구단과 경기장도 하나씩 생기고 있다. 
Receive free rent for the stadium during a variety of way to monetize and market major league Compare us to take all the revenue that it may itself have been wrong. Without it you can not be forced to range to mimic the best known major league throwing the aerodynamic efforts to raising revenue we like them to be able to creat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club and stadium, one that will actually be occurring.

화면만으로 야구를 보는 사람에게 메이저리그가 왜 메이저리그인지에 대해 알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바로 이런 책을 통해 배우는 것이다. 또한, 단순히 야구를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남자들끼리 만나 야구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 때에 그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곁들여 주거나 속사정과 뒷이야기들을 해 준다면 금방 모든 사람의 시선을 내 앞으로 끌어당길수 있는 효과마저 누릴 수 있다. 최근처럼 류현진으로 인해 메이저리그에 대한 관심이 높을 때는 더더욱.
People just look at the screen for a major league baseball major league why is a great way to learn about what is right will learn through this book. In addition, rather than simply playing baseball, but baseball men met each other when the story came out more about him and the story in the story scenes that served or If you could be right in the eyes of all the people in effects to pull even in the future can enjoy . Due to the major leagues as recently ryuhyeonjin is high, more and more attention.

책은 세 파트로 구성되어있다. 메이저리그 사무국과 구단들이 어떤 식으로 운영을 해서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돈을 쓰게 만드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팀들이 어떤 노력을 통해 우승이나 살아남기 위한 노력을 하는지와 선수들과 감독들이 어떻게 노력해서 최고의 자리에 있을 수 있는지. 스포츠 경기는 자신들이 좋아서 하는 것도 있지만 프로라는 단어가 앞에 있으면 이를 보는 사람들에게 최대한 서비스를 해야 한다는 의무와 책임이 따른다.
Book consists of three parts. Major League Baseball teams and their fans to operate in any way to grab attention and asks to spend money makes teams have to win and survive through some effort to make an effort to coach and the players and how they try and top spot able to make. It is also a good sports they are in front of the word, but professional people as possible to see if it should be servic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보려고하는 사람들에게 최고의 조건으로 최상의 상태에서 볼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한다. 이런 부분에서 우리 프로야구는 어떤 점에서 부족한지 책을 읽으면 저절로 알 수 있다. 우승을 하기 위한 노력이나 선수들과 감독들의 노력은 그들이나 우리나 별 차이는 없다. 타고난 신체조건이나 운동능력으로 인한 한계는 존재할 지라도. 걸맞는 시설과 수익창출을 위한 노력을 한다면 충분히 우리도 메이저리그에 버금가는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이런 책을 통해 참고하고 꿈을 키운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The best of those who tried to make the best should be able to see the conditions. In this section we lack in professional baseball at some point after reading the book itself can be seen. In an effort to win and the efforts of the players and coach them 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us and the star. Due to the innate ability of the body condition and exercise, even if there are limits. I fit in with efforts to generate revenue if we fully comparable to the major leagues would be able to create the environment in a see through this book and could not help wonder if the dream I want to grown.

우승을 위한 선수들과 감독들의 노력에 대한 이야기는 어지간한 동기부여책들보다 훨씬 더 크게 와 닿기도 한다. 실제로, 눈 앞에서 펼쳐지는 선수들의 노력이 보이니 더욱 현실감있게 느껴진다. 또한, 가장 많은 숫자들이 펼쳐지는 곳 중에 하나가 야구일 것이다. 데이터를 맹신할 수는 없어도 어느 스포츠보다도 훨씬 많은 데이터를 근거로 효율적인 경기를 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야구라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좀 더 관심있게 보려는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될 듯 하다.
For winning the efforts of the players and coach talk about books quite a bit of motivation and a lot bigger than the hits. Indeed, the efforts of the players spread out in front of your eyes you see feel more realistic. In addition, where the most spread one of their number would be baseball. Without data, you can blind faith much more than any sports game, based on data that can be effective immediately baseball field for more explanation in terms of the people who like baseball and help those who want a little more attention to be seems.

단순히, 선수의 능력과 비화와 같은 뒷이야기로만 꾸며져 있고 선수 소개를 나열하는 것보다는 메이저리그라는 브랜드가 어떻게 세계적인 성공을 거뒀고 어떤 식으로 운영을 하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확인하고 지금까지 메이저리그를 빛낸 선수와 감독의 이야기를 함께 읽으면 메이저리그를 보는 재미가 더욱 늘어나지 않을까 싶다. 이러고 보니, 지금 무슨 경기를 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다.
Simply scenes, such as the player's ability and spark only lists furnished and Players Major League rather than how the brand came for the global success of the operation in any way, and so far, efforts to ensure that major league players and shine read together with the director's story is further increased, the Major League Would like to see the fun. Bonnie doing this, what you will need to make sure that the game is the same feeling.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