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013의 게시물 표시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 - 꿈이 있어 행복하다(What is your dream - Happy dream)

이미지
김수영 작가 - 본인이 작가라 표현했으니 - 는 여러 방송매체와 신문을 통해 알게 되었다. 전작인 '멈추지마 꿈부터 써 봐'도 읽어야지 하면서 계속 뒤로 밀리기는 했지만 블로그에 이웃신청을 해서 여러 소식을 보기도 했는데 어느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꿈을 물어보는 프로젝트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작년 여름에 그에 관련된 다큐가 방송에서 하는 걸 보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책은 차일피일 미루다가 드디어 보게 되었다. Soo Young Kim Artist - I called this writer expressed haeteuni learned through the newspapers and broadcast media. Ileoyaji pushed back as we continue, but 'Do not stop, then put dreams from' predecessor, news blog and neighbors to apply to several also had projects that one day, I flew all over the world dream of asking realized. Documentary concerning him in the summer of last year, there was something in the broadcast that. Yet the book was finally put off chailpiil see.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진작에 더 빨리 읽었어야 하는데 라는 생각이였다. 이렇게 좋은 책을 빨리 읽지 않고 우선 순위에서 계속 뒤로 미뤘는지 모르겠다. 참으로 많은 자기 계발서적들이 있다.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는 이야기를 하지만 앙꼬없는 진빵처럼 어딘지 무엇인가 아쉽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에는 그 아쉬움을 채워주는 내용이 있다. 그건 바로 각 개인들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위해 노력하는 실제 내용이 담겨

월급전쟁 - 현명한 소비(Salary War - Wise Spending)

이미지
자아실현을 위해 직장을 다니는 사람은 불행히도 극히 드물다. 월급을 받기 위해 직장을 다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월급을 받아야 생활할 수 있는 여건에서 월급은 개인들에게는 꿈이자 희망이 될 수 밖에 없다. 문제는 이 월급을 한 달에 한 번 받는 날은 희망고문이 되어 버린다는 거다. Unfortunately, the people attending a job for self-realization is extremely rare.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s going to work in order to receive a paycheck. Salary from a salary to be able to live in the conditions of the individuals who dream and hope can only be no Once a month to the day of the salary issue'll discard the hope torture. 돈이라는 것이 생기니 신나는 날이 되어야 마땅하지만 - 그동안 사지 못하고 먹지 못하고 참았기에 - 월급통장에 돈이 들어오자 마자 나보다 먼저 입금 되는 걸 어떻게 알고서는 그 즉시 자신들이 가져갈 돈을 가져가는 각종 기관과 업체에 의해 남는 돈은 절망에 가까운 한탄이 나오기 마련이다. 그렇다고 살 것 안 사고 먹을 것을 안 먹을 수 없으니 카드와 같은 편리한 도구를 통해 지출을 하게 된다. 이러한 악(선)순환은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Money that saenggini the most exciting day of my life should be endured because the meantime, limbs do not eat - but knowing how something or salary into the account as soon as the money is deposited before the immediatel

신세계 - 한국판 대부 탄생(New World - Korean Godfather birth)

이미지
이 영화의 시놉시스를 보면 떠 오르는 영화가 있다. 모든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이야기 할 영화는 바로 '무간도'이다. 조직에 들어간 경찰의 이야기는 이미 향후에 그 어떤 영화가 나와도 '무간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미필적고의가 될 가능성마저 있다. 감독과 출연한 배우나 제작사 측에서 이 점을 몰랐을 리가 절대로 없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조직에 들어간 경찰이라는 점을 굳이 숨기려 하지 않는다.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지?라고 관객을 유혹한다는 느낌마저 든다. Look at the synopsis of this film floating climbing movies. Everyone to talk in unison movie 'Infernal Affairs'. Police went into the organization of the story is already in the future, any movie come out from 'Infernal Affairs' can not be free. Is likely to be even Willful. Directed by and starring actor or production side have never have known about this point. Nevertheless, this film, the police went into the organization that does not bother to hide. Any costs even if you're wondering about? Seduce the audience the feeling that the journal content. '신세계'는 조직에 경찰이 들어가는 얼개만 제외하면 완전히 다른 영화다. 물론, 조직에 들어간 경찰의 초조함과 고민, 번뇌와 같은 점은 비슷한 공감대가 느껴지기는 하는데 그 부분에 있어서는 무간도보다는 못하다. 허나, 이

동물농장 - 조지 오웰 (Animal Farm - George Orwell

이미지
'닭장속에는 암탉이 꼬끼오~~'하는 노래의 제목은 동물농장이다. 일요일마다 어김없이 친근한 동물들에 알려주는 프로그램 이름이 TV 동물농장이다. 동물들이라고 하면 무서울 수도 있고 친근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동물농장이라고 하면 가축을 키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무섭다는 생각은 거의 들지 않는다.  Animal Farm 'chicken coop inside the hen cluck' to the title of the song. Is the name of the program to inform every Sunday without fail friendly animals TV Animal Farm. Animals that may be scary or friendly. But Animal Farm, As I think that raising livestock, a scary thought, almost nothing. 이러한 친근한 느낌이 드는 동물농장이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는 작품이 있으니 바로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이다. 소설을 읽을 때 알게 모르게 현실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생각을 해 보거나 '이건 뭘 이야기 한다'라는 느낌을 갖게 될 수 있다. 작가가 명확하게 의도에 대해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고 읽는 사람이 알아서 유추를 해야 한다.  May never know that that is not true favorite animal farm these intimate works by George Orwell's 'Animal Farm'. When you read the novel, think about what is happening in the real world, knowingly or unknowingly, you can try it out, or you will have a feeling of 'T

더 헌트 - 감염된 사실은 진실을 흐려놓는다(the hunter -Infected with the fact that the truth lay blurred)

이미지
아주 조그마한 사전힌트도 없이 영화를 보게 되었다. 어느 나라 영화인지도 모르고 어떤 내용의 영화인지도 모르고 보게 되었다. 한 마을 어쩌구 저쩌구라는 소개 글만 기억남은 상태에서 영화를 보게 되었다. 영화를 보고나서 반응이 '재미있었다' '볼 만 했다' '괜찮다' '그냥 그렇다' '모르겠다'라는 다양한 반응으로 나눠 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좋았다'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Got to see the movie without the slightest advance hint. Was any other country movies I do not know I do not know what movie to see. Village blah, blah, blah. "Introduction remember movies from the rest of the state saw only do Divided into a variety of reaction after watching the movie was 'fun', 'only' see 'okay', 'Just so,' 'do not know' responses may be seen of him, 'good' story can be. 유럽 영화들이 예전에 소개될 때는 아트영화나 작품성 있는 영화라고 하여 영화내에서 온갖 의미를 부여하고 마장센을 연구하는 등 꽤 난해하게 영화를 보는 유행 아닌 유행이 있었다. 무슨 영화제에 수상한 영화들을 보면서 그런 영화를 보면 괜히 있는 척 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 그렇게 크게 영화를 보고 와 닿는 것이 있지는 않았다. 그 보다는 이런 영화를 봤다는 뿌듯함 정도만 남아 있었다고 솔직히 고백할 수 밖에 없다.  Dressage Line movie within a movie art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