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최후의 제국'이라는 제목인데 계속 '제국의 최후'로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다큐를 보면 저절로 제국이 점점 최후로 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이 든다. 한편으로는 다큐에 나오는 나라가 거의 미국이다. 아주 잠시 중국이 1부에서 도입으로 나왔지만. 그런데, 아무리 들여다봐도 굳이 미국일 이유는 없다. 우리나라에서도 사는 곳과 사람이 다를뿐이지 현재 이땅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로 보인다.
Is titled ' last empire' What is the reason for the 'end of empire' visible? Documentary questioned whether spontaneously empire eventually go into getting that look attractive. Country as appearing in a documentary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is almost. Very briefly introduced in Part 1, China nawatjiman. Well, take a peek at how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 is no reason necessarily Lives and different people in Korea, just as things currently happening in the land seems.
인상깊은 가족이 나온다. 도시중심지에서 마차를 타고 다니는 아이들이 있다. 마부는 여자인데 어느순간 맥도널드에 가 주문을 하고 먹는다. 당연히 부잣집 아이들이 오락으로 타고 가는 것인지 알았는데 떨어져 있던 가족들이 그렇게 모여 시간을 함께 하는 것이였다. 엄마는 마부로써 생활을 하고 있으면서 모든 짐은 컨테이너박스에 넣고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져 살고있다. 또 한 가족은 지하에서 살고있다. 집도 아니고 그저 이것저것 가재도구를 갖다놓고 연명을 하고 있다.
Impressive family emerges. Children attending carriage ride from the city center. Wagoner woman is at any moment and eat McDonald's in order. Thought-flung family members to do so gathered was time to ride, of course, preppy kids entertainment. A mother and life as a coachman, while, all packed into container boxes scattered families are living. Another family has lived in the basement. House, not just this or that is netting to place him a household.
또 한 가족은 차를 타고 돌아디니고 있다. 네 식구가 같이 차에 탔는데 차가 집이다. 게다가 아이들 나이가 2살과 6~7살 정도 되었다. 직업을 구하기 위해 돌아다니면서 자선단체에서 주는 밥을 먹고 화장실에서 씻고 기저귀도 갈고 있다. 그것도 2살 된 아이를 데리고 다닌다. 그마저도 이제 수중에 갖고 있던 돈은 지폐도 아니고 동전으로 한 주먹정도 갖고 있다. 도대체, 이 가족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무척이나 걱정이 되었다.
Family car ride di Sabinanigo. A family of four in the car as I was taking the car home. In addition, children ages 2 years old and was about 6-7 years old. Charities that eating rice and wash diapers in the bathroom, walk around to get job plowing. It took 2-year-old child attends. That even now have bills nor coins had the money in hand, fist degree. How the hell this family in the future, whether I was worried.
한편으로는 내가 신자유주의 사상에 너무 물들어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들었다. 마부로 생활하는 가족과 공원에서 나무가지를 모아 불펴서 음식을 해결하는 가족이 하는 이야기중에 똑같이 하는 이야기가 있었다. '우리들에게 아주 적은 도움이라도 있었으면 이렇게 되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이야기다. 정말로, 적은 도움이라도 받았다면 그렇게까지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솔직히 들었다. 전적으로 전부 본인의 책임은 아니겠지만 말이다. 단,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국가가 도와줘야 한다고 본다. 그것도 그렇게 어린 아이들을.
On the other hand, I think I too tinged neo-liberal ideology that whether heard. Coachman to family that lives in the park and fire gathered tree branches stretch out to solve the food family story was the same story during Us very little help would be greatly hope this does not would that story. Really, who would not grow up to be little help If you have received so far, I think I honestly heard Totally not my responsibility, but all said , Look for a situation that is currently happening in the country that should help. Even young children do.
오바마가 당선이 되어 그런지는 모르지만 오바마의 연설만 나오는데 아주 잠깐 나오지만 보면서 정말로 연설을 잘 한다는 인상이였다. 비 오는 걸 즉석에서 멋지게 표현해서 자신이 주장하는 바를 이야기하는 걸 보면서.
Obama has been elected, the grunge, but Obama's speech coming up very briefly looked naohjiman the impression that speech really well, respectively. To rain on the spot to talk about what he claims to be nicely expressed by Watching all.
이번 다큐의 핵심은 파푸아뉴기니에서 추장으로 살다 결혼으로 미국에서 정착하게 된 한 인물을 통해 현재 미국, 아니 자본주의 나라들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어떤 것이 올바른지는 솔직히 확실히 모르겠다. 장단점이 있다. 파쿠아뉴기니에서 온 추장은 한 부족이 300명정도로 살고 있는데 이들은 함께 살고 있다. 모든 것을 함께 나눈다. 밥을 해도 함께 하고 먹는다. 그런 이유로 추장을 '빅맨'이라고 부른다.
Chiefs as the core of this documentary in Papua New Guinea live in marriage to settle in the United States, a figure that shows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not with capitalist countries. Which is correct, frankly, I'm not sure. There are pros and cons. Far from Massapequa New Guinea 300 of a tribal chief, enough to live there, they can live together. Share everything together. Even the rice and eat together. That is why the chiefs 'big man' are called.
추장의 가장 큰 역할은 바로 '공정'이다. 모든지 공정하게 나눠주는 것이다. 한 명이라도 소외받지 않도록 노력한다. 이게 바로 위정자들이 해야 할 일이라고 이야기한다. 현재 자본주의 나라들 - 꼭 자본주의 나라라고 할 수는 없지만 - 이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이익이 일부에게 독점되는 것이다. 중산층이라 불리우는 계층이 두터워야 하는데 전 세계적으로 중산층이 무너지고 있다. 이들을 살려야 하는데 현재로써는 특별하고도 별다른 방법이 없다.
The biggest role of chiefs is 'fair'. Process will give away about everything. Alienation from one effort. That the magistrates, they need to talk. Capitalist countries is an issue that really can be called capitalist countries, but profits that are exclusive to some. Supposed to be thicker layer called middle class, the middle class in the world is crumbling. Them special and for now there is no way no salvage.
누구는 성장을 이야기하고 있고, 누구는 분배를 이야기하고 있다. 어떤 것이 먼저인지는 주장하는 사람들이 하는 바를 들으면 솔직히 그들의 말이 맞다. 결국 두 가지를 잘 절충해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아직까지 솔로몬의 지혜가 나오지 않았다. '최후의 제국'에서는 공정을 이야기하는 듯 하다. 마이클 샌더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 다음에 우리나라에 나온 책이 공정에 대한 책이다. 그 책을 읽고 정의도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정확하게 논의가 되지 않았는데 공정은 좀 이르지 않을까라는 서평을 남겼었다.
Whose growth stor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tory. Crow bar to hear something first, whether the people who claim that their words right. The two things to be a good compromise in this area yet did hear the wisdom of Solomon. 'End-of-empire' seems to talk about the process. Professor Michael Sanders' definition What is the next book came out in Korea is a book about this process. Defined yet read the book did not accurately discussed in our country until the process was left would be a little early for a book review.
'정의'는 상대적이지만 '공정'은 그나마 보편타당한 것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누가 봐도 공정한 판단과 잣대는 사실 없다. '공정'도 상대적이다. 누군가에는 지극히 공정한 것이 누군가에는 불공정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절대 다수의 공정으로 판단하고 실행을 해야 하는데 현재 다수의 공정이 아니라 힘있는 자들의 공정이 현재 공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Defined' relatively 'process, but dont seems to be universally valid. Unbiased judge who look and the fact that the standards do not. 'Process' is relative. Someone who is extremely fair because someone is an unfair Dont judge and process the vast majority of the execution to the process of the party in power, rather than the current number of processes the current process, as accepted in the problem.
자본주의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60~70년대 자본주의만 하더라도 대다수의 나라들에서 중산층이 두터웠다. 현재 신자유주의와 결합한 자본주의로 인해 극단적으로 치닫은 지금의 자본주의가 잘못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 사상을 통한 자본주의에 대해 반성하고 이에 대한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신자유주의 사상에 대해 신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전 세계적인 대세를 거스리기는 힘들 것이다.
Capitalism itself is not the problem, the majority of the country in the 1960s and 1970s capitalism alone the middle class is thicker was. Now closed position to the extreme current neo-liberalism and capitalism combined capitalism is wrong. Through the neo-liberal ideology of capitalism in the world for reflection and alternatives have been proposed. Yet our country and has been dominated by people who have beliefs about the neo-liberal ideology, but a worldwide trend Guthrie gineun will be difficult.
'최후의 제국'은 전체적으로 자본주의의 역사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신자유주의를 통한 자본주의의 폐단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 인간답게 살지 못하는 피폐된 삶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에 대한 지원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현재 가장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아메리카 드림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미국 성공지상주의다. 억울하면 성공하라 그렇지 못한 것은 당신들의 책임이다라고 생각하는 많은 성공한 지도자들이 있다.
'Last empire' shows currently happening through neoliberalism, rather than to talk about the history and the nature of capitalism as a whole to the evils of capitalism. Shows a humanized human can not live impoverished lives. Managing the support for them can be to the success of the U.S. Currently, the most capitalist development in the name of the American Dream supremacy. Success is the responsibility of you who do not think that there are many successful leaders. Eokulhamyeon
이들이 엄청난 고생과 고난을 겪고 현재 성공한 위치에 올랐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다만, 이들이 교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성공이 전적으로 자신의 능력으로 이뤄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누군가의 도움과 희생과 운도 작용한 결과라는 것이다. 이를 절대로 인정하지도 않고 오로지 자신만의 능력만으로 여긴다. 여기서 바로 문제의 출발점이 있는 것이 아닐까싶기도 하다.
Undergoing tremendous suffering and hardship they went on to the current successful position that can not be denied. However, think they pride that success was achieved entirely by his own power he does not think. Someone's help and sacrifice and luck is a result of the action. It is recognized not only their own skills alone are considered. Also want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blem here in ahnilkka.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가 결합되어 더 살기 좋고 누구나 다 지금보다 더 부유한 삶을 추구했지만 그 결과는 현재 좋지 못하다. '최후의 제국'이 아니라 '제국의 최후'가 되지 않도록 광고처럼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라고 깨닫고 다시 한 번 근본적인 성찰을 통해 함께 살기위한 - 잘은 빼더라도 - 모두의 함께로 발전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A combination of neoliberalism and capitalism more livable everyone now more than a wealthy life pursuit, but the result is not good now. Once again the fundamental reflection, living together for well though out - all with ' Last Empire' 'end-of-empire', but do not like the ads' What's wrong with you? "Realizing would be developed into .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