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최고의 공부 - 읽고 쓰기(What the Best College Students Do - Literacy)


'공부'
많은 사람들이 과히 가까이 하고 싶지 않아 하는 단어다. 어릴 때부터 들어오던 '제발 공부해라'는 평생 뇌리에 남안 잔상효과로 공부라는 것에 대해 자연스럽게 몸이 알아서 거부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아니면, 공부라는 것은 똑똑한 놈들이나 하는 그들만의 리그이거나. 여하튼, 나랑은 전혀 상관이 없는 것이라 여기며 사는 사람들도 있다.
'Studying'
A lot of people do not want to close gwahi is a word. Lifted from an early age 'Make me study' on the southern bank of the afterimage effect noeri lifetime studying for the fact that the body naturally take care to deny that the effect seen is whether it. Or, the smart guys and to the study of their own league or. Anyway, would not matter to me at all, there are people who live yeogimyeo.

그런데, 똑똑한 놈들은 똑똑한 놈들대로 나처럼 머리가 안 좋은 놈들은 안 좋은 놈들대로 공부를 할 수 밖에 없다. 아니, 우리는 공부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 많은 것들이 결국에는 공부라는 것을 깨닫게 되거나 깨달아야 한다.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공부해야 하고 업무에 익숙해 지기 위해 공부해야 하고 보다 발전하기 위해 공부해야 하고 불행히도 남들에게 뒤쳐지지 않기 위해 공부해야 한다.
However, the smart guys are smart guys like me as the head of the bad guys as bad guys can not but study. No, we do not think at all that studying a lot of things come to realize that in the end, or should realize studied. Communities to adapt to the need to study and work to study and to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need to study in order to develop more and unfortunately others need to learn in order not to be left behind.

문제는 공부라고 하면 번뜩 드는 생각은 성적을 내야 하는 공부이다. 1위부터 꼴찌까지 몇 등까지는 합격이고 그 밑은 불합격이라는 절대 평가내지 상대 평가를 통해 서열을 세우는 공부에 익숙하고 그런 공부만이 공부라고 생각하는 관습내지 이미지로 공부에 대해 거부감이 크다는 것이다. 오죽하면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공부는 바바이라는 이야기가 있을까 말이다. 최근에는 조금 달라지고 있는 듯 하지만.
I think if you study the problem of the glittering grades to pay costs is studied. Until a few, including one from top to bottom, and pass under the radar relative to the absolute evaluation is rejected by the evaluation study establish the sequence studied only those who are familiar with the practice of studying to think about studying images is greater reluctance. Understandably, high school and at the same time, you learn that the story could Baba said. But in recent years seem to be a little different and.

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공부를 하기 위해 책을 읽은 것은 아니였지만 결과적으로 책을 읽는다는 것은 결국 공부를 한다는 의미가 된다. 어떤 분야의 책을 읽든 책을 저술한 작가의 생각을 읽는다는 것이 내가 알지 못했던 것을 알게 되거나 잘 못 알고 있던 것을 정정하게 되거나 알고 있던 것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이다.
The idea of ​​studying the book begins to read, but to study as a result, it was not read to read the book with the sense that, after all, is to study. Ildeun any book in the field of writing a book that one reads the thoughts of the writer learned that I did not know or were not very good to know that you know what to correct or re-check is a process.

'최고의 공부'에서 암기로 시험에 대비하는 '피상적 학습자' 보물찾기 하듯이 공부하는 '심층적 학습자'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 공부 하는 '전략적 학습자'로 구분을 한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나는 저 셋 중에 하나도 포함되지 않는 듯 한데 굳이 따져 볼 때 시험과는 상관없는 공부를 하는 편이니 심층적 학습자에 가까울 것 같다.
'Best study' to memorize the test in the case of a "superficial learners 'treasure hunt this study as' deep learners 'in order to get good grades to study" strategic learners' are separated by. However, I also think, however does not seem to me, though, including three during any definite bother testing has nothing to do with the side are in-depth studies that seem to be close to the learner.

책 내용중에 자존감이 오히려 공부를 방해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생각과는 좀 다른 관점이다. 시험 성적등을 자존감과 연결시키기 때문이라 설명하며 오히려 자기 연민이 공부를 더 잘 하게 만들어 준다고 한다. 그런데, 이게 자존감이 맞나하는 생각이 든다. 자존감은 스스로 자신에 대한 애고라고 할 수도 있는데 무엇인가와 결부하는 것이 자존감일까하는 판단이 든다. 책에서 자존감을 성적(??)결부하는 것이 문제라고 하지만 그러면 그걸 자존감이라 표현보다는 다른 표현이 옳은 것이 아닐까 싶다.
For a book to study during the self-esteem rather disturbing information that comes out. Thought and is a little different perspective. Test scores was due to the connection, and self-esteem and self-pity, but rather describes the study is said to make you better. However, it is thought that if he lift self-esteem. Patronage on the self-esteem may be called their own, which is what self-esteem is associated with a judgment whether it lift. Sexual self-esteem in the book (??) That relate to the problem, but then it described as self-esteem than whether it is the right thing like other expressions.

공부에 대한 꽤 많은 책과 다큐를 봤다. 동양의 공부 방법과 서양의 공부 방법에 대해서도 나름대로 읽고 보면서 생각을 했고 공부라는 것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로 읽고 보게 되었다. 이런, 모든 것들은 공부로 성공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라 볼 수 있다. 공부를 해서 예전과는 다른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알려준다고 할 수 있다.
For the study looked at quite a few books and documentaries. The Education of Eastern and Western methods of studying and thinking about the own study while reading about the many things that have been read and see. Well, all of which place to study successful people talk about can be seen. By studying the past, and the stories of the people who live different lives that I can tell you.

'최고의 공부'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공부방법에 공부에 대해 설명을 하고 알려주지만 대체적으로 공부라는 것을 통해 자신의 인생을 개척하고 변화시키고 도전해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공부는 현재가 아닌 미래를 위해 하는 것이다. 현재에 안주하면 공부를 할 이유가 없다. 
'Best study' likewise describes various methods of studying and studying, but in general studies reveal that the changes in his life through pioneering and challenging and the story of the successful people. For the future rather than the present study is to If the present study, there is no reason to settle.

현재가 만족스러우면 궁금한 것도 없고 새로운 것을 추구해야 할 이유도 없고 더이상 알아야 할 이유가 없다. 자신이 부족한 것을 아는 자만 끊임없이 공부할 수 밖에 없다. 자신이 어떤 분야에 있어도 부족한 것을 깨달은 자만이 계속 공부라는 것을 하게 되고 남들보다 앞 서 가게 될 수 있다. 꼭 남들보다 앞서 가기 위해 공부하는 것은 분명히 아니다. 궁금한 것을 알기 위해 공부하다 보니 저절로 남들보다 앞서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뿐이다.
When you're satisfied, not to present any questions, no reason to pursue something new, there is no reason to know anymore. They only know that lack study can not help constantly. Lacking in some areas, even if they realized that the only two studies that continue to stand in front of the store than the others and can be Just to go ahead of others is certainly studying. Study looked to see what questions others ahead of itself will find yourself only.

아마도, 진정한 공부는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단순히 남들보다 좋은 점수를 얻어 좋은 성적으로 좋은 출발점을 삼기 위해 하는 공부나 남을 이기기 위해 하는 공부에서는 즐거움을 만끽하기도 힘들고 얻는다 해도 좋은 성적을 얻은 즐거움이지 모르는 것을 알게 된 것에 대한 즐거움은 아닐 것이라 판단한다. 지금까지 좋은 성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는 시험 공부를 제대로 한 적이 없어 그 부분은 정확하고 자신있게 말 할 수 없지만.
Perhaps, the real study whether it is to be here. Just get a good score than others with good grades and a good starting point for complaining that in order to win others to study, or study hard and get even enjoy the pleasure gained good grades even joy. Learned about what you do not know will not believe the fun. Until now, to get good results with good grades to study for a test that part was never properly accurate, but can not say with confidence.

무척이나 다양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는데 꼭 '최고의 공부'에서 만이 아니라 공부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들에서 공통적으로 내가 느끼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읽고 쓴다는 것이다. 글이 생기기 전에는 구전으로 전달이 되었고 글이 생긴 후에는 몇 몇 사람들에게만 전달이 되었고 본격적으로 책이 대중화 된 이후부터 사람들은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읽어야만 한다.
And many examples of very different people, which means to introduce 'best study' not only in the study to talk about the things that I feel are common to. It will just read and writes. Post this to happen before the delivery of oral and writing this occurred only after the delivery of some people and popularized the book in earnest since people will have to read in order to study.

읽는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에 생각이라는 과정을 거쳐야만 공부라는 것이 완성이 된다. 생각하기 위해 막연히 골똘히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은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쓰는 것이다. 읽는 것이 먼저 읽고 쓰는 것이 나중의 과정이지만 쓰는 것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닐찌라도 읽는 것은 공부라는 것에 있어 분명하고도 확실한 출발점이다.
In reading that's not enough, but I think after that go through the process that the study is completed. Vaguely to think hard to focus intently on one thing. Therefore, the best way to individuals is to write the right. To read the latter first, to read and write process, but it is not necessary to write to read jjira also studied as a starting point, it is clear and obvious.

책 내용에서도 공부라는 것에 대해 여러 이야기를 하지만 소개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해 하나같이 읽는 것에 대한 설명을 한다. 걔중에는 쓰기까지 간 사람도 있고 읽는 것에만 소개되는 사례도 있지만 읽는 것은 결국 모든 것의 출발점이다. 읽어서 아는 것이 없다면 쓴다는 것은 나올 수 없다. 들어가는 것이 없는데 나올 수 없는 것이다.
For books in the study, but for the fact that many stories about all the people being introduced as a description of what is read. During the write-up between him and the person reading the introduction, but read the cases, but in the end is the starting point of everything. If you come to know that reading can not writes. Ve that will not be going out.

창의성이란 아무 것도 없는 무의 상태에서 갑자기 번개처럼 나오는 것이 아니다. 전혀 상관없는 것들이 합쳐지고 뒤섞이고 재배열되는 것과 같은 횡종연합, 이합집산등을 통해 창의력이라는 창의력(??)이 생겨나는 것이다. 획일적인 교육에서는 나올 수 없는 것이다. 아무런 연관성 없어 보이는 것들이 오히려 고민하는 문제의 해결이 되는 경우도 많다. 
What is creativity in a state of nothing nothing is coming out suddenly like lightning. Things that do not matter at all put together and rearranged as mixed hoengjong Union, the creativity creativity through yihapjipsan (??) Is the arising. Education is not to be found in uniform. Seemingly no relevance to worry solve problems rather than ones that are there are many cases.

결국 최고의 공부라는 것은 궁금하고 모르는 것을 계속해서 탐구하고 알려고 노력하는 일련의 과정이 아닌가한다. 오죽 한가지에만 집중해서 계속 공부해 나가는 사람은 그 분야에서 우뚝서고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이고 쓸데없이 나처럼 이것 저것 찝적대는 사람은 그저 좀 공부를 하는 사람으로 남는 것이 아닐까도 싶은데 쌓이고 쌓이다보면 하나로 귀결되어 도움이 될 것이라 믿으며 오늘도 책을 읽고 글을 쓴다.
After all wondering what you do not know what the best study continues to explore the course of a series of efforts to know is not it. Understandably, continue studying and going to focus on one kind of person to stand tall in the field of people respected the great man would be unnecessarily hostile jjip people like me that this is just a little studying whether it be left to people who want it when piled up in one pile, resulting believe would be helpful to read the book writes today.




공부에 대한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