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생학교 시간 - 디지털 세대(The School of life - how to thrive the digital age)


책의 제목은 책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지닌다. 책 제목과 내용이 전혀 상관이 없다는 게 상상이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인생학교 시간은 나에게는 그런 책이다. 아무리 읽고 또 읽어도 이 책의 제목이 왜 시간으로 정해진 것인지 궁금하다. 책 제목을 지은 사람이 어떤 관점에서 시간이라는 제목을 선정했는지 모르겠다.
The title of the book that represents the jininda symbolism. Book title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tent that you can not imagine life school time, which is such a book for me. No matter even read the title of this book to read again why I wonder whether the time specified. Who built the titles of books in terms of what I do not have time, select the title.

시간이라고 하여 책을 읽었는데 읽으면서 전혀 시간이라는 단어를 인지하지 못했고 읽다가 문뜩 내가 무슨 책을 읽고 있는지 제목을 다시 들여다 보니 역시나 시간이라는 제목을 갖고 있는 책을 읽고 있는데 읽고 있는 내용에는 전혀 시간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내가 워낙 이해력이 딸리고 반응이 느려 그런지는 몰라도 말이다.
It was time I read the book as you read the words in no time at all did not know what I'm reading a book while reading that recurred again heading into the title Also you have the time to read the book but the idea of ​​reading the contents at all times difficult to accept. I slowed reaction wonak understanding is, though without knowing ttalrigo said.

이 책은 디지털 세대라는 표현이 좀 더 맞을 듯 하다. 디지털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디지털은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같은 시간을 공유하고 만들어 준다는 식으로 억지춘향식으로 갖다 부칠수는 있지만 그건 너무 밀어 부친 것 같고 디지털이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This book is a digital representation of the three seems to fit a little more. We live in the digital age is the book to talk about. Digital shorten the time to share the same time offering to make give way, in terms of deterrence Haruka get to keep it, but it seems to be too much to push his father sikyeotneun digital paper that tells us how the book is changing.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디지털 중에서도 인터넷으로 한정해서 봐도 무방하다. 디지털에는 전기가 연결되는 모든 제품이라고 볼 수도 있다. TV, 냉장고, 라디오등을 거쳐 컴퓨터,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우리 일상생활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어 버렸다. 몇 몇 디지털 제품은 없어도 사는데 분명히 지장은 없다.
Among the digital story accurately on the Internet and I see only will be accepted. Digital is an electrical connection that can be viewed any products. TV, refrigerator, radio, etc. through your computer, smart phone, as well as in our daily lives have become necessities ttelraeya inseparable. Buy digital products, even if some of the trouble is definitely.

이를테면, TV, 라디오, 스마트폰등은 없어도 살아가는 데 문제는 없다. 불편함은 존재한다. 없으면 안 될 것 같지만 막상 없어도 살아 갈 수 있는 게 사람이다. 안 보면 되고 안 들으면 된다. 살아가는 데 큰 지장은 없다. 허나, 우리는 사회적인 동물이다. 사회에서서 함께 공동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보고 들어야만 한다. 피하고 싶어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For example, TV, radio, smart phones, etc. The problem is not to live without. There is discomfort. Okay, but if that is not something that can go live without the person. When not hear and is not. There is a big hindrance to live. But, we are social animals. Standing in society in order to co-exist with a degree have to listen to report. Even if I want to avoid the inevitable reality.

디지털, 그 중에서도 인터넷과 같은 매체는 우리 삶을 변화시켰다. 이제 인터넷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여전히 없어도 사는데 하등의 지장없는 사람들도 존재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에게 인터넷은 이제 삶의 일부가 되었고 습관이 되었다. 무의식적으로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을 검색한다. 또는 스마트폰을 들어 잉여의 시간을 다양하게 보내는 것이 하루의 일과다.
Digital, among them media such as the Internet has changed our lives. Now I can not imagine life without the Internet has a lot of people. Still do not interfere in some way people live without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but now the Internet has become a part of life and habits. Unconsciously to turn on the computer and browse the Internet. Or smartphone for a wide variety of surplus to spend hours over one day.

예전에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나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에 어떤 식으로 시간을 보냈는지에 대해 이제는 기억조차도 없다. 그런데, 진짜로 어떻게 보냈지?라는 의문이 든다.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먼 미래의 일처럼 느껴지지만 스마트폰만 해도 필수품이 된지 우리나라에서 5년도 되지 않았다. 이제 스마트폰 없는 생활은 상상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이 다수다.
Internet in the past two days and could smartphone could in any way in the days spent time not even remember now for sure. However, what really sent you? Lift the doubt. Do not remember one so far in the future, but it feels like a smartphone, but became a necessity in our country has not been five years. Now can not imagine life without a smartphone that is a large number of people.

지금 현재 이 글을 읽고 있는 사람들도 컴퓨터나 스마트 폰으로 읽고 있다. 그 존재들이 없다면 내 글을 읽을 수도 없고 나도 글을 올릴 수도 없을 수 있고 내 글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물이 얼만큼 남아 있느냐에 대한 판단과 마찬가지라 본다.
Right now, the people who read this article also read by a computer or smart phone is. If you read my article that beings nor can I not posting and the presence of my writing may not be apparent.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coexist how much water is left in a situation where a judgment about whether the place looks like.

또는 자신이 상황을 어떤 식으로 이용하느냐, 이용 당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누구는 이용해서 돈을 벌기도 하고 누구는 이용당해서 돈을 내기도 한다. 하지만, 누구는 스트레스 받으며 이용하려 하고 누구는 스트레스 풀며 이용당할 수도 있다.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Their situation in any way, or use them, the use seems to depend on party. Anyone who is using it to make money by betting money Five people are too. However, anyone who is trying to use the stress receives the stress pulmyeo can be exploited. Iook at some point may vary depending on any number.

갈수록 개인의 힘이 커지고 있다고 한다. 예전과 달리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불특정 다수에게 알릴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이 있다. 누구나 다 자신의 의견을 마음껏 개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만큼 자유로운 세상이 되었고 소수의 의견도 알 수 있고 감추려해도 드러나는 세상이 되었다. 그런데, 정말로????
Ever increasing power of the individual, he said. Unlike previous all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for their comments to be notified of space and time is Everyone put forward their opinions have been able to fully. Free world and so few can know the opinion of the world was revealed to hide it. But, really????

누군가에게는 축복이 누군가에는 재앙이라는 표현처럼 디지털은 가면 갈수록 우리를 새로운 세상으로 인도할 것이다. 그렇다고 과거가 사라지거나 부정할 수는 없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이 아직까지 생명력을 갖고 많은 사람들에게 울림을 주는 이유는 바로 그 지점에 맞닿아 있다고 본다. 디지털이 우리의 전부는 아니다.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일 뿐이다.
Someone blessing for someone like a disaster the digital representation of the dazzling new world will lead us. Geureotdago past disappear or can not be denied. Henry David Thoreau's "Walden" is still ringing in many people to have a health reason to give that abuts a look at that point. This is not all of our digital. Is just one of the tools for use.



인생학교 씨리즈(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