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이제 인생의 기회에 눈떠라 - 청춘이여(Now the chance of life tteora eyes - O youth)

책의 성격이 약간 모호하다. 에세이같기도 하고 자기계발같기도 하고 동기부여로 볼 수도 있는 책이다. 책을 통해 무엇을 얻을 것인지가 은근히 중요하다. 한정되어 있는 시간에 특정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은 다른 것을 포기해야 한다는 의미다. 독서라는 것이 특정 목적과 목표를 갖고 있어야 할 필요는 반드시 없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책을 읽는 시간은 꽤 소중하다. 독서라는 게 상당히 많은 집중을 필요로 한다. 다른 것을 포기해야 할 정도로.
The nature of the book is a little vague. It is also seen as a motivational essay spoiled and spoiled and self-development books. The suspense is what is important to get through the book. It should devote specific time to time in the sense that it is only to give up something else. You must have a specific purpose and goal of reading is not required, but it is a pretty important time for most people to read the book. It requires a great deal of concentration reading. So you have to give up something else.

다른 것을 포기하고 읽을만큼 나에게 무엇인가를 준다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인가를 얻으려고 하지 않은 독서에서 커다란 울림과 깨달음이 있다면 그것만큼 좋은 것도 없겠지만 그런 경우는 극히 희박하고 각자 책을 통해 무엇인가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읽는 경우가 대다수다. '이제 인생의 기회에 눈떠라'는 얼핏 볼 때는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부분에 대해 다소 막연하고 금방 들어오지 않을지 몰라도 나보다 먼저 살아간 인생 선배가 커피숍에서 잔잔한 미소를 머금고 이야기해주는 느낌의 책이다.
Giving something that is important to me as the others gave up and read. If you have a great sound and enlightenment are not going to get anything from reading the majority of the cases that are extremely unlikely to read if you want to get something with the purpose of the book is also good as it eopgetjiman each. Murray is a book of stories that feel the gentle smile at the coffee shop first deposit salahgan older than me, life is about to come soon aneulji part somewhat vague and not know what to get that first glance when you see 'now tteora eye on opportunities in life' is.

아마도, 가장 근사치에 가까운 책이 '아프니깐 청춘이다'이다. 특히, 이 땅을 살아가고 있는 청춘들에게 그 세대를 경험한 선배로써 자신의 진솔한 경험을 전달하려 노력한다. 그렇다고 자신이 엄청나게 성공한 선배로써 너희들은 이렇게 해야 한다는 주장과 훈계가 아니고 '나도 다 알고 있어'류의 대안없는 힐링도 아니다. 분명한 대안을 청춘들에게 던져주는 것은 아니지만 세상을 살아가는 청춘들에게 선배로써 필요한 이야기를 한다.
Perhaps, the book is a close approximation 'nikkan youth is sick. In particular, we try to convey their honest experience as an experience that generations of youth who live in the land to seniors. So the captain and his enormously successful discipline as a senior should not do this, you are not the 'I know everything' Ryu is also no alternative healing. It is a clear alternative to Youth throw to the story, but it needs to live in this world as the predecessors to the youth.

청춘들에게 이야기해주고 싶은 걸 인연, 도전, 창의, 분노, 늦춤으로 나눠 알려준다. 아마도, 청춘들에게 이러한 개념을 알아야 하고 사회를 나가서 만나고 부딪치는 것들을 어떻게 슬기롭게 헤쳐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구분같다. 젊음은 모든 것을 녹일 정도의 열정과 정열을 갖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사회에서는 딱히 활용도가 낮은 것이 사실이다. 일을 시켜도 마음놓고 맡길 수 있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이다.
Dont tell me you want to share a story haejugo edge, challenge, creativity, anger, slowing. Perhaps, these concepts need to know how to go out to the youth and the community have to navigate wisely seeing things like hitting separations for that. Yet the fact is that no apparent underutilized youth in society has the passion and enthusiasm about everything but dissolved. This is because you can leave the work place even if the situation is not the mind.

청춘들도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도 있고 자신의 능력을 마음것 펼치고 싶지만 세상은 알아주지도 않고 인정하려 들지도 않는다는 서운함도 있을 것이다. 일단, 시켜주면 잘 할 자신이 있는데 누구도 찾지 않는다는 자괴감은 항상 마음을 짓누른다. 윗 세대에서 바라보는 것과 자신이 자신을 바라보는 것과의 괴리감이 꽤 크게 존재하다보니 이를 극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Almost anything you want, and also their mind and want to expand their skills will also not want to admit that even did not even know seounham world. Once you have your own well which give so enduring that the press always did anyone find a heart. I look at myself as goerigam of his generation, as seen from the top is pretty much there is not easy to overcome.
많은 사람들이 10년의 법칙을 이야기하는데 저자는 3년의 법칙을 이야기한다. 어느 분야에서든 3년이라는 기간동안 노력하면 프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는 돈을 받느냐 수입이나 수익이 있느냐의 차이다. 프로는 돈을 벌어야 한다. 3년이라는 시간정도만 투자하면 얼마든지 프로가 될 수 있다. 프로가 된다는 것은 꼭 1등이 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프로는 돈을 벌어야 하는 것이다.
The story for many people talk about the rule of law 10 years the author of three years. In any field of endeavor for a period of three years if it can be pro.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ome and the income of professional and amateur batneunya money difference. The procedure is to make money. How anyone can be a pro if you only invested three years of time. Being professional does not need to be one just like this. The procedure is to make money.

프로 선수들은 돈을 받으면서 활동하기에 프로다. 그 중에는 정점에 서 있는 사람도 있지만 1등이라 아니라도 프로라면 돈을 벌 수 있다. 돈을 벌 수 있으면 된다. 누구나 다 1등으로 노리지만 모든 사람이 전부 1등이 될 수는 없다. 그래도 프로는 먹고 살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 정도면 된다. 프로로써 돈을 벌 수 있는 능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자신의 앞 길을 헤쳐나갈 수 있다. 그것이 중요하다. 1등이 1억을 벌면 꼭 1등이 아니라도 5,000만 원만 벌어도 되는 것 아니겠는가?
The professional activities while receiving money to pro athletes. Among the people standing at the apex, but it can make money even if the procedure is called as such: 1. And if you can make money. 1 nori, etc., but everybody can not be like this all the people all the 1. But it has the ability to eat and live Pro. And that's enough. If only you can make money as professional skills can go a long way in front of any number of way. It is important. Beolmyeon like this one would come to 100 million degrees, but no one would like to be beoleodo 50M smoothly?

좋은 기업에 취직한 선배들이 40~50대가 되어 맨땅에 헤딩하는 심정으로 일을 구하고 창업을 한다.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아무리 능력이 좋아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기업에서는 꺼리기 때문이다. 어차피 맨 땅에 헤딩을 해야 한다면 한 살이라도 젊은 20~30대에 하는 것이 훨씬 좋다. 최소한 기업 입장에서는 맨 땅에 헤딩한다는 패기라도 좋게 볼 수 있는데 지금의 젊은이들은 이런 맨 땅에 헤딩하려 노력하기 보다는 단순히 규격화된 취직을 하려고만 한다는 아쉬움을 토로한다.
The start-up cost is 40 to 50 days to seek a job in the heart of heading to Ground seniors are good companies. This is because they can not help it. This is because no matter how good the abilities wise old mind in a letter two euros. Anyway, it's much better for a young 20 to 30 years old, and even if you have a head on top of the ground. Good head on top of the ground at any ambition that we see in the corporate minimum position and expressed his regret that only try to get a job rather than trying to simply standardized headings in this young man's land now are.

청춘의 패기와 도전이 사라진 사회는 문제가 있다. 청춘의 특권은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실패할 두려움 같은 것은 신경쓰지 않고 도전을 하는 것이 청춘이 갖고 있는 유일한 특권이라 할 수 있는데 점점 사회의 활력이 사라지면서 청춘의 특권이 없어진다면 그 사회는 미래가 없다. 다행히 아직까지는 패기와 도전정신으로 문을 두드리는 청춘들이 있기에 미래가 암울하지 않지만 갈수록 안전을 지향하는 청춘들이 많아지는 것을 볼 때 우려스럽다.
The problem is the challenge of youth and ambition gone society. Privilege of youth to anyone what will. If you no longer have the privilege of youth, such as fear of failure is the only thing that has privileged youth is that there can be a challenge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getting the vitality of society that society has no future disappears. Fortunately'm concerned when a knock at the door ambition and challenge youth because they do not yet see a bleak future for youth that are more oriented toward safety.

'이제 인생의 기회에 눈떠라'고 하지만 그보다는 인생의 기회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누구도 대신 인생을 살아주지도 않고 힘들고 어렵다고 함께 공감해주지도 않는다. 더구나, 함께 공감한다고 변하는 것은 없다. 오로지 자신이 모든 것을 헤쳐나가야 하는 인생이다. 어차피, 살아가야하는 인생이라면 청춘답게 씩씩하게 몸으로 부딪치면 좋을 듯 하다. 최소한, 실패해도 다시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 청춘이라고 난 생각한다. 아무리 못하고 못해도 책임져야 할 가족은 없지 않는가?
"Now tteora eye on opportunities in life 'but he will try to find a chance in life than that. Also does not give anyone instead of living life hard and difficult to sympathize with going for it. Also, do not agree with what they changed. The only life you have to get through all that myself. It seemed like a good hit if you hit the body energetic life anyway, you have to live youth. Given that it is at least capable of again even if failed, youth opportunity, I think. Does not matter eopji without having to be responsible for your family?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