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문학 편지 - 받아 읽었어요(Humanities letter - I have read receiving)

인문이란 인간에 대한 학문이다. 인간에 대한 모든 것을 말한다. 인간과 관련되어 있는 모든 것을 말한다. 단순히 특정한 무엇이 인문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인문에서 가장 쉽게 떠올리는 철학, 역사, 문학이 대표적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것들이 전부 인문이라 생각한다. 과학은 왜 인문이 아닌가. 과학 자체가 인간들이 발전시킨 것이 아닌가. 인간에게서 과학이 발전했다. 동물과 식물등에 대한 연구도 전부 이를 바탕으로 인간에게 이로운 쪽으로 발전시킨다. 도대체, 인간과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이 지구상에 있을까?
The study of the humanities is human. Refers to all human beings. Means anything that is related to human. I think that is what is specific to the story as simply wrong Humanities. Easily recall the humanities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called representatively, but in addition to all the various things I think humanities. Why not a science, humanities. Is not science itself has evolved humans. Developed from the human sciences. The side benefit to human development is also based on this study for all animals and plants, etc.. What the hell, what on earth it is not related to humans?

예전에는 인문이라는 개념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자연스럽게 익히는 학문이 대부분 지금 우리가 인문이라고 부르는 학문이었으니 말이다. 현대에 들어서 인문이라고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역시나 인문 고전이다. 역사, 철학, 문학중에서 몇 백 년이나 몇 천 년을 지나도 소멸되지 않고 사람들의 기억속에 사라지지 않고 구전된 것들이나 책으로 남아 아직까지도 사람들이 책으로 읽을 수 있는 것들을 고전이라 부른다.
The closer you come to the old concept of the humanities. The study says most naturally learn we now call the humanities disciplines was dead. For a time in the modern humanities to say the first word that comes to mind figured Classical Humanities. Referred to as the classic ones that can read a book in the book still remains the oral things and people are not destroyed even after a few hundred years, thousands of years without being lost in the memories of people from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사람들이 고전을 높이 쳐주는 이유는 발표와 더불어 사람들에게 놀라운 영향을 미친 것들도 있지만 발표 당시에는 사람들의 주목을 전혀 받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사람들에게 회자되어 살아난 작품들이라 그렇다. 이런 고전들 중에 어떤 고전을 읽어야 할지 고민을 할 필요는 없다. 우리의 이런 고민을 알고 각종 단체와 학교와 기관에서 꼭 읽어야 할 고전을 서로 앞다투어 추천하고 있으니 그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Then crazy things to people with amazing effects, but did not release all the attention of the people at the time of release over time is increasingly talked about people surviving works of classical deulyira why people are jerking height. There is no need to worry whether to read the classics in any of these classics. We know this trouble of scrambling each other like so and you have to read the classics in schools and variou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ose.

워낙 많은 곳에서 추천을 하고 그 책들을 보고 있자면 현기증이 나기도 한다. 추천한 책들을 보면 익숙한 작품도 있고 처음 접하는 작품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 작품들에 대해 이름만 아는 경우가 대다수라는 것이다. 하지만, 인문 고전을 읽어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주장하거나 읽지 않으면 지식인으로 보지 않는 시선은 단호히 반대한다. 지식과 지혜는 꼭 고전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 생각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현재 이순간에도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고 본다.
The dizziness and eccentric in place is so much like the book and looking at them you sleep. In the book you recommended, and it also works new to familiar favorites. The majority of the case for those who name only important work. However, if the classical humanities argue the necessity that the eye does not see and read, or read is decidedly opposed to the intellectuals. Knowledge and wisdom is the idea that you can only get just as classic. We believe we are now living in the present moment you can get plenty.

그럼에도 인문 고전을 읽으려 하는 것은 오랜 시간동안 살아남은 사상과 작품이라는 가치성에 있다. 인간의 본성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고전을 통해 깨닫게 된다. 꼭 고전을 통해 알 필요는 없지만 수 백, 수 천 년전에 쓴 글을 읽는데도 지금과 전혀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기시감을 깨닫는다. 이런 점에서 인문 고전을 통해 끊임없이 반복되는 인간의 멍청함과 위대함을 알게된다. 
It survived for a long time to gachiseong of thought and work to try to read a classic yet Humanities. Is realized through a classic that does not change over time, human nature. Just need to know from the classic deja vu, but realize now do not feel the difference at all and also be able to read write-back, a thousand years ago the Post. Will know the greatness of human stupidity and being constantly repeated through the classical humanities at this point.

세상살이가 바쁜 현대인들을 위해 수 많은 인문고전중에 몇 몇 작품을 소개하는 인문 고전 소개서가 많이 출판되었다. 직접, 인문 고전 원전을 읽지 않고 이런 책들이 더 인기를 끈다는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이렇게라도 읽으면서 도움이 된다면 그것도 괜찮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 편지'는 인문 소개서의 역할을 하는 책이다. 책의 표지에 하버드대학교, 스탠퍼드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추천한 인문고전중에서 저자가 몇 권을 선정해서 소개하는 책이다.
The introduction has published many classical humanities to introduce some classic works in many humanities for the busy modern sesangsalyi. If it helps, while nuclear power is not reading the classical humanities leads this popular books read even more points, but this ahswipgineun directly, it'll be fine. In that sense, the book introduction to the role of Humanities' Humanities letter "is. On the cover of the book is the book that introduced by selecting a few of the authors are from Harvard University, Stanford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featured classic humanities.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동서양 인문학 고전 33편을 소개한다. 정확히 어떤 이유로 이들 작품을 선정했는지에 대한 이유는 나오지 않지만 역사, 철학, 문학, 시등 총 4파트로 나눠 소개하는데 각 꼭지마다 특정 저자가 저술한 딱 한 편만 소개하는 경우도 있고 특정 저자의 작품 두 개를 하는 경우도 있고 특정주제를 갖고 두 명의 저자의 작품을 소개하기도 한다. 각 저자의 작품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저자와 작품을 함께 소개하며 그들(저자와 작품)의 사상과 인류역사에 영향을 끼친 점을 설파한다.
About 33 pieces of classical Eastern and Western humanities and you speak correctly. Even if written by a particular author introduces each faucet prevailed for some reason you just come out why you have chosen to do their work properly divided into four parts including an introduction on the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and the works of a particular author in some cases, the dog may have a particular theme and also introduces the work of the two authors. It is important not to introduce preached that works with the author and influenced the thought of them (author and work) of each author works in human history.

인문고전을 소개하는 책들에서는 항상 빠지지 않는 인물들이 있다. 맞다. 우리가 생각하는 바로 그 사람들이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우구스티누스, 공자, 맹자등등. 아쉬운 점은 최근 인문고전을 소개하는 책들과 강연들은 참 많은데 대부분 서양 문사철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동양 고전은 극히 드물다. 동양에서는 거의 대부분 중국이고 조금 확대될 때 백가쟁명무렵으로 좁혀진다. 인도만 해도 엄청나게 방대한 사상들이 있고 이슬람만 해도 깊은 철학들이 있을텐데 거의 소개되지 않는다. 현재는 서양이 세계를 지배하는 시대라 그런 듯 하다. 인문소개에서도 현 시대의 양육강식이 드러나고 있다고 하면 오버일까?
People do not fall in the books are always introducing classical humanities. Right. It is just that people think we are. Socrates, Plato, Augustine, Confucius, Mencius and so on. The wonder is that the focus point is on the western munsacheol books and lectures to introduce recent classical humanities are indeed most Lotta. Orient Classic is extremely rare. In the East, almost all the time when China is narrowed to baekgajaengmyeong is to expand a little. India alone are incredibly vast and ever alone, deep in their Islamic philosophy'd hardly introduced. It seems that the era of Western domination of the world today. Is it over when that's revealed in the Introduction to Humanities contemporary parenting gangsik this?

'인문학 편지'는 그런 점에서 의외로 참신하다. 누구나 다 알고 있으면서도 조금은 뻔하지만 여전히 어려운 인물들이 다수 제외되었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빠진 인문고전 소개서를 본 기억이 없는데 '인문학 편지'는 과감히 제외를 했다. 서양의 뿌리를 들어가면 그리스 로마 신화와 두 인물을 제외하고는 설명할 수 없을텐데 말이다. 그리스 로마신화는 논외로 쳐도 확실한 인물과 작품을 소개하는데 바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이다. 
In that sense, it is surprising novelty 'Humanities letter "is. Everyone knows yet, but I knew it was difficult to exclude a number of people are still a little bit. Was the 'humanities letter' is a bold, except for Socrates and Plato, I do not remember missing Humanities classic introduction. Enters the roots of the West would not be able to explain the Greek and Roman mythology, except the two people said. Is an introduction to a certain person and work wrought by Greek and Roman mythology is just aside of Homer 'Iliad' and 'Odyssey'.

그리스 로마신화는 지금의 서양을 발전시킨 크리스트교와 함께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상측면에서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일지 몰라도 문학쪽에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가 전부라 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인문 고전으로 윤동주 시인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포함한 것은 상당히 신선했다. 박지원을 포함한 것도 그렇고 말이다. 인문 고전을 소개하는 대부분의 책들이 서양쪽에 치중되어 있고 동양은 기껏해야 공자, 맹자 선에서 마무리하는 것을 볼때 말이다.
The Greek and Roman mythology, all will be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Western Christianity that now. Socrates and Plato thought in terms of knowing can log 'Odyssey' of Homer 'Iliad' and the whole side is called literature. It was quite fresh, including the "heavens and the wind and the stars and the City 'of yundongju poet as well as classical humanities. By also including Park Ji-won said. Most of the books are focused western side to introduce classical humanities and said I see that finish line in Mencius Confucius at best, East is.

워낙 인문쪽으로 문외한이라 그런지 몰라도 책에서 소개하는 인물과 작품들중에서 처음 접하는 인물과 작품이 꽤 있었다. 마르틴 부버, 잉게 숄, 에른스트 슈마허, 윌트 휘트먼, 라인홀드 니부어, 프리드리히 휠덜린등은 처음 접하는 인물들이었다. 이들이 인류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인류에게 어떤 측면으로든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기 때문에 책에서 소개했을 것이라 보는데 이 책에서 처음 접했으니 어쩌면 이 책을 통해 인문고전의 퍼즐 조각 중에 빠진 몇몇 조각을 채워졌는지도 모른다. 이들의 책을 읽지는 못했어도 역사측면에서 연대기로 볼 때 채워졌으니 말이다.
Toward the humanities is so called outsiders do not know the person and work pretty grungy newcomers were among the people and the work presented in the book. Was the first person in contact with Martin bubeo, ingge shawl, Ernst Schumacher, Wilt Whitman, hold your line swollen, Friedrich deolrin wheel etc.. Seeing they are introduced in the book because it would have exerted a powerful influence any aspect whatsoever to occupy an important place in human history, mankind has never been exposed in this book haeteuni maybe fill some missing piece of the puzzle pieces in the classical humanities through the book that the do not know. Says ... is populated when viewed in terms of a chronological history of these, even if you did not read the book.

다행히도 책의 내용은 쓸데없이 어려운 내용으로 써져있지 않다. 최근에 인문고전을 소개하는 대부분의 책들이 일반 독자들이 읽기 편하게 쉽게 써져 있는것처럼 '인문학편지'도 너무 어렵지도 쉽지도 않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이다. 열심히 읽다보니 책의 내용이 서평이라 해도 무방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각 꼭지마다 책 한권 내지 두 권을 소개하면서 그 책의 내용을 소개하고 인류에게 미친 영향력을 설명하고 있어 심혈을 기울인 서평으로 부담없이 읽어도 되겠다.
Fortunately, it is not as difficult sseojyeo needlessly Contents of the book. Most of the books that introduce classic Humanities recently as general readers sseojyeo easy readability is not even easy to read too hard information 'Humanities letter' also. I got this idea of ​​hard reading the contents of the book can safely called a review. About the book as one to two each faucet introduces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describes the influence mankind's crazy doegetda also read a review, feel free to scrupulous.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