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다음 인간 - 우울한 미래(The following human-gloomy future)

미래에 대해 예측하고 예상하는 책들이 많이 있다. 내년에 대해 언급하는 책도 있고 10년 후를 예측하는 책도 훨씬 더 후를 예측하는 책들도 있다. 이 책들은 대체적으로 향후 우리 사회와 인류가 어떻게 변할지를 알려주며 책을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미래를 미리 준비하라는 관점을 알려준다. 이 책은 특이하게도 대부분의 미래를 예측하고 전망하는 책들이 연구소와 미래학자들이 발표하는 것에 비해 이 책은 정신과 교수가 집필을 했다.
The books are expected to predict the future a lot. Books that talk about next year, and there are books and more books to estimate the prediction after 10 years. Informs the perspective to prepare in advance for future help people reading tells the future of our society and mankind as a whole is how byeonhalji books. Labs are compared to published books and futurist predictions and forecasts for the future, most of the writing was a professor of psychiatry this book This book is unusual enough.

그런 이유로 미래 사회가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 경제적인 사회적인 측면보다는 인간적인 측면에 보다 집중을 했다. 인간들이 어떤 식으로 살아가고 생각하는지를 정신적으로 분석하는 측면이 강하다. 문제는 너무 우울한 미래를 그렸다. 디스토피아라고 전망하는 바로 그 미래를 지속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보니 읽는 내내 우울하고 찜찜한 감정이 지워지지 않았다. 우리가 살아갈 미래가 이토록 우울하다면 살아갈 맛이 전혀 없을 것이라는 판단도 든다.
That's why I will do for the future of society, rather than the economic and social aspects in human byeonhalji side than the concentration. Strong mental aspect to analyze how I live humans in any way. Painted a very gloomy future problems. I just have to continue to describe the dystopian future prospects that are not cleared to read all the jjimjjimhan feeling depressed. Also determined that there is no taste at all to live if we live the future costs yitorok depression.

인간들은 자기만 생각하고 자기만 아끼고 타인에 대해서는 관심도 없고 만나려고 하지도 않는다. 희망도 없고 아무런 기대도 없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그것도 철저하게. 희망적인 이야기는 거의 없다. 미래가 이리 된다면 과연 인간들이 꼭 살아가야 할 의지를 가져야 할 이유가 있을까에 대한 의심마저든다. 게다가 죽음마저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죽어도 관심없고 누가 죽는다고 찾아가지도 않는다. 심지어 부모가 죽어도 그저 죽었다는 생각만 잠시 할 뿐이다.
Humans do not only think of his own and cares for others without trying to meet interest. Drawn look of hope and no people live a life without any expectations. It thoroughly. Few hopeful story. Could the reason for doubt, even if the future will come to have the means to live a truly human. Moreover, there is no sense even death. Do not care who die go die map. Even just a moment, but I think you just dying parents died.

개인적으로는 마음에 들지 않는것도 않는 것이지만 도저히 인간이 그런 식으로 변모할 것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어느 정도 과장되고 부풀린 측면이 있겠지만 인간은 절대로 혼자 살 수 없다. 은둔인간과 같은 삶을 살아가며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도 않고 자신에게 집중하는 인간들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한국의 인구만 해도 거의 5,000만 명이 되는데 당연히 별의별 인간들이 존재하니 사회에서 0.1%의 인간만 있어도 무려 5만 명이나 되니 충분히 주목할 만한 인원이지만 절대 다수를 이룩할 수는 없을 것이라 본다.
Do not think that way, but hardly the man would be transformed into anything you do not like personally. This aspect is somewhat exaggerated, but raised no human can live absolutely alone. Live your life like a hermit and not give damage to other people will also concentrate on his men to clear. We may, only 0.1% of the human society and a whopping 50,000 people doeni remarkable enough, but a number of personnel would not be able to achieve the population are almost 50 million people in South Korea alone, of course, takes all kinds to human beings never do exist.

이런 소수의 사람들이 전체 다수를 이루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책이 '다음 인간'이라고 할 수 있다. 어찌보면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을 동시에 보게 되어있다. 어떤 점을 취합하고 자신의 주장을 펼칠 것인지는 책을 펴 내는데 있어 중요한데 대체적으로 부정보다는 긍정이 보다 잘 먹힌다. 부정은 상당히 쎄게 해야만 먹히는데 그렇게 볼 때 이 책 '다음 인간'은 과도하게 부정적으로 인간에 대해 다루고 있다.
This book argues that a number of the few people to fulfill all these can be called 'the next man. In a way it's great you can be. At the same time to see if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human. Collect some points and got to figure turn to expand their claims Whether a book is going to work better than negative generally positive critical. This book, the following human 'is about dealing with negative people to see that you have an excessively negative is quite ssege eaten.

꽤 다방면의 분야와 미래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국에서 생길 일들이 기계적으로 발전하고 과학적으로 발달하여 더 살기 좋은 사회가 되지만 북한과 통일되어 북한 사람들과 남한 사람들과의 반목에 대해서 나오고 지금도 힘든 일은 전부 외국인들이 하고 있는데 갈수록 더욱 그런 점이 심해져서 이에 따른 갈등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한다. 아예 외국인들을 쫓아내자는 정당이 생겨 더 큰 갈등이 생길 것이라고 하는데 유럽같은 곳에서도 이런 정당들이 있으니 꼭 미래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The story about the future of the field and quite versatile. Hence these things happen in Korea developed a mechanical and scientific development of more livable communities, but are unified with the North and South who came out to the antagonism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work hard for all foreigners are still there and that gets more points so deep it would intensify further conflict. It can not be said to cause more conflict at all naeja has blossomed out of foreign parties in places such as Europe, so this just means that future.

몇 번 리뷰에 언급한 적이 있는데 가끔 그런 책이 있다. 책을 잘 읽었고 책이 나쁜 것도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리뷰를 쓰려고 하면 이상하게도 써야 할 말이 거의 생각나지 않을 때가 있다. 이 책이 그렇다. 책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계속해서 너무 우울한 미래를 그리고 있어 마음에 들지 않는다와 저런 세상이 펼쳐 지면 살고 싶지 않겠다는 것이다. 당연히 절대로 그러한 세상이 오지 않을 것이라 확신을 하고 있다.
Sometimes there are books that have been mentioned a few times in the review. The right time to read a good book even though the book is bad, and you try to write a review ahnindedo strangely odd to spend almost no sound thinking. Then this book. I read a favorite book and I will continue to have a very gloomy future will unfold the ground that they would not want to live like that and not like this world. Course and absolutely convinced that the world will not come.

내가 느끼는 감정이 그래서 그런지 책에서는 실제로 자살이 하나의 선택같기도 하고 부부사이라고 해도 과연 부부사이인가에 대한 가족관계도 마찬가지다. 굳이 인간과 인간이 만나야 할 이유도 없고 어울려야 할 필요도 없는데 인간은 싫든 좋든 무리속에서 생활할 수 밖에 없다. 혼자 살아간다면 무슨 재미로 살 것인가 말이다. 가끔 혼자 있는 곳은 솔솔한 재미를 선사하지만 시종일관 혼자 있는 것은 외로움이라는 무서운 놈이 인간을 미치게 만든다고 본다.
This book, I feel so grungy between the couple say that suicide is actually spoiled for choice, and indeed one of the family relationship between the couple is the same is true. Why bother to meet human and humans do not have to mesh together Like humans do not have no choice but to live in it or herd. What fun to live alone will go live says. Brings a fun place to be alone sometimes solsolhan watch it alone, but you want to create consistently have a man that he is terrible loneliness.

엄청난 유토피아가 아닌 디스토피아를 그려내서 저자도 어딘지 미안했는지 에필로그에 상당히 긴 부연설명을 한다. 보통의 에필로그에 비해 3~4배는 되는 분량으로 자신이 책 속에서 펼쳐냈던 세상에 대해 그렇게 되지 않기를 간절히 기원하다. 솔직히 그럴바에는 왜 이렇게까지 우울하게 그려냈는지에 대한 반문을 하고 싶지만 제발 그렇게 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이유로 했다고 하니 뭐 할 말은 없다.
Utopia Dystopia is a huge draw, not take quite long and elaborate description in the epilogue where the author also sorry that you have. The epilogue of the ordinary compared to three to four times the amount that is about to unfold in his book naetdeon the world that you do not wish so badly. Honestly, I'd say I do bar and questioned about why perpetrated drawn depressed do not want to do this, please do not hope anything to say to two euros.

끝으로 저자가 남긴 말로 리뷰를 끝낸다.
'다른 사람들의 불행은 곧 나의 행복이라는 생각이 자아 중심적 사고라면, 다른 사람이 행복해야 나도 행복하다는 생각이 자기 중심적 사고라고 요약할 수 있다. 오로지 현재만 잘살면 된다는 작은 자아 중심적 사고가 아니라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자기 중심적 사고다. 미래의 한국 사회가 작은 자아가 아닌 큰 자기를 성취하기 위해 진심으로 고민하는 웅숭깊은 사람으로 가득하길 희망해 본다.'
Finally, the author ends the reviews left by words. 
"If the misery of other people will soon think of my happy self-centered thinking can be summarized as the idea that I should be happy someone is happy self-centered thinking. The self-centered thinking for a better future that will only live well, but now only a little self-centered thinking. We hope to be filled with deep ungsung who truly distressed to achieve greater self-non-self small social Korea's future. "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