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운명을 바꾸는 기적의 책쓰기 - 준비(Change the fate of a miracle book write-ready)

2013년에 인기를 끌었던 책분야가 독서에 대한 알려주는 것이었다. 2014년에 인기를 끌고 있는 분야는 책쓰기이다. 독서에 대해 내가 쓴 '책으로 변한 내 인생'이 이번에 나오기도 했지만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독서라는 것을 지적 탐구나 무엇인가를 알게 되는 기쁨에 대해 소개하기보다는 어딘지 독서에 대한 기술을 알려주는 느낌이라 개인적으로 별로였다. 독서라는 것을 몇몇 부분만 발췌하거나 특정 부분만 읽는다는 것은 그 책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중에 아주 극히 일부만 체득하는 것이고 상당히 부정확한 정보를 그 책에서 얻는 것이라 봤다.
Indicating that the field was attracted to reading popular books in 2013. The areas that are popular in 2014 writes a book. Feel called to tell where the technology for reading rather than for the pleasure to know About the time that I read, but also out of the "my life has changed in the book 'I heard the reading I wrote something about intellectual inquiry and personal reading was by a. Viewed from the book will get a fairly imprecise information, but some of that reading is an excerpt or read only specific parts will acquire only part of the very very ever seen we can get from the book.

내 생각과는 달리 사람들은 그런 책을 선호했다. 독서는 하고 싶고 조금이라도 더 빠르고 많은 책을 읽고 싶다는 욕심을 채워주는 책들이라 독자들의 욕마을 채워준 것이 아닐까 한다. 여전히 나는 그런 식의 독서방법은 선호하지 않는다. 한 권의 책은 사람마다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얻는 부분도 다르고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도 다른데 1시간만에 읽는 것과 같은 독서방법은 얻는것도 많겠지만 잃는 것이 더 많을 것이라 여긴다.
Unlike that book, I think I prefer people. I want to read the book deulyira want to fill your greedy little faster to read a lot of books and readers' Maybe it chaewojun York town. I still do not like the way the reading method. Differently for each person accepted part of getting different thought differs in one important part of the book, but also many ways to get the same reading as reading in one time considered would be losing a lot more.

책쓰기도 마찬가지로 기술에 대해 알려주는 책들이 많다. 책쓰기와 글쓰기는 다른 영역이다. 나 스스로도 글도 쓰고 책도 썼지만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고 내 책을 읽고 칭찬하는 사람의 이야기와 리뷰에는 기뻐하다가도 지적하는 리뷰에는 기분이 울적해지고 다운되는 경우가 많다. 더욱 노력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지만 그것은 내가 계속해서 글을 쓰면서 노력하며 발전해야 할 부분이라 생각하고 있다.
Like writing a book also tells a lot about the technical books. Writing a book, writing and other areas. I myself often getting depressing feeling down in the review that someone wrote a book of intellectual delights times are good writing, but also a lot of praise still lacking in the story and read my book reviews. And I think it's more getdaneun strive presumably because of an article I'm writing and development efforts will continue to be.

내가 쓴 글을 칭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때면 계면쩍기도 하지만 신기하기도 하다. 내 스스로 내가 글을 잘 쓴다는 생각을 할리가 없으니 말이다. 그저 글을 쓴 것인데 논리적으로 글을 잘 풀어내고 필력이라고는 것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내가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는 없으니 신기할 뿐이다. 그렇다고 내가 글쓰기에 대한 강의를 할수는 없을 것이라 판단한다. 그 영역은 제대로 글쓰는 과정을 전문적으로 한 사람들의 영역이라 판단한다.
When I hear the stories of those who praise us tries prayer I wrote the interface but it is also amazing. Harley says that this will have no idea myself, I do not read writes. Hear a story that is just released geotinde wrote the article is well out logically pilryeok that I can wear only man can objectively look at me. We believe so I will not be the lectured on writing. The judge referred to the area of the region who specializes in the process of writing a proper article.

그에 비해 책쓰기는 약간 다르다고 생각된다. 이 책의 저자인 김태광씨도 언급을 했지만 책이라는 것이 문학작품이 아닌 다음에야 꼭 훌륭한 글빨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정보를 얼마나 잘 독자에게 전달하느냐가 핵심이다. 저자가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더 큰 목적이지 글빨이 화려해야 할 필요는 없다. 기본적으로 글을 잘 쓰면 훨씬 더 좋겠지만 그 부분이 제일 중요한 부분은 아니라는 것이다.
I think writing a book than it is a little bit different. Mr. gimtaegwang is also the author of this book is that the book is mentioned, but only after the necessary literature, not just as a great geulppal properly convey the information to the reader how well do the key. It tells the peopl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the author himself has not a greater purpose there is no need to be flashy geulppal this. Will not write a good article that basically I wish mor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책을 써야 하는 이유는 자신의 발전하고 성공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글을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리고 자신이 알리고자 하는 지식과 정보를 잘 전달하면 그것으로 족하기에 책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갖지 말고 책을 써야 성공한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에 대한 언급을 하는 책이 '운명을 바꾸는 기적의 책 쓰기'이다. 책쓰기는 단순히 책을 쓴다는 점뿐만 아니라 이후에 펼쳐질 무궁무진한 세계가 펼쳐진다고 한다.
Called for the development and success of his reasons for writing a book. I think the author is a well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you pass to abandon their obsession to inform that they should not read the book do not have a fear of success should write a book about it in the family. The 'write a book to change the fate of a miracle' to comment on this book skills needed to do this. The book is simply writing a book that not only writes well, and unfold to the world that unfolds and after endless.

그러한 사람들의 성공사례와 책을 써서 인생이 변화한 사람들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바로 저자인 김태광임은 말할 것도 없다. 10년 동안 130권이 넘는 책을 펴 냈다고 한다.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고 한다. 공저도 포함한 숫자인데 1년에 10권을 넘게 책을 썼으니 책을 기계적으로 썼다고 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짧은 기간에 너무 많은 책을 펴 낸 저자의 책은 한 권을 읽으면 비슷한 분야의 책을 읽을 때 비슷한 구성과 실사례로 채워져 있어 아쉬운데 이 책은 책쓰기에 대한 방법과 책을 쓰라는 이야기라서 이미 읽었던 책과 그나마 공통구성은 덜했다.
It consists of stories of people who change lives by writing the success story of these people and books. Not to mention the very author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s of femininity gimtaegwang. Spread over 130 and figured this book for 10 years. It was listed in the Guinness Book of Records. It also wrote a book with mechanical've written more than 10 books a year, including co-authored a number inde too. I filled a similar one when you read a book, read a book in a similar field configuration and the actual practices of the authors turn to embellish so many books in a short period of personal ethic to the wonder is how to write a book and the book is a story book dont have a less common configuration, and because the book is already read.

책의 부피와 내용에 비해서는 책의 가격이 다소 비싸다는 인상은 지울 수 없는데 그래도 책을 읽다가 아주 만족을 했다. 그것은 이 책에서 직업별로 책을 쓰기위한 컨셉을 정하는 방법과 참고해야 할 책을 선정했는데 그 중에 내 책이 한 권이 포함되어 어쩔수없이 팔이 안으로 굽었다. 느낌상 참고하라는 책을 전부 읽고 권하지는 않았다고 보이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로 갑자기 아주 만족스러운 책이 되어버렸다.
Were very satisfied while reading the book, though I do not erase the price of the book is a bit expensive compared to the volume and raise the content of the book. It was a book to be consulted for each profession and how to establish the concept of writing a book in this book that I had chosen the book includes a heel in the right arm is forced. Faded is asked to note the feeling the book but still did not personally recommend reading all of a sudden the book is very satisfying.

현재 저자는 책쓰기 코칭을 하고 있다. 저자에게 책쓰기 고칭을 받은 후에 책을 출판사와 연결되어 인세까지 한 저자들이 어떤 식으로 인생이 변했는지 부분도 책은 함께 언급되어 있고 본인의 책쓰기 과정에 대한 광고도 함께 책에는 곁들어졌다. 무려 130권이 넘는 책을 썼으니 비록 공저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책을 쓴다는 것에 대한 노하우는 엄청나게 많은 것이라 짐작된다. 다양한 출판사를 만나 대화를 한 것 자체도 저절로 노하우가 될테니 말이다. 하긴, 나도 대략 10군데 정도의 출판사와는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고 출판도 했으니 그것이 다 노하우가 된 듯은 하다.
Currently, the book author writing coaching. After receiving the book goching write to the author and publisher a book that you have connected to the service life of royalty, and the authors have also been mentioned in any way with the book and was also an advertisement for the book writing process of the book with my gyeotdeuleo. 've Written nearly 130 books over the books, even though the idea is that the deduction will contain tons of knowledge about the book you wrote. 'Cause you know that I met a variety of publishers said the dialogue itself spontaneously. Indeed, it seems that it is all that I know is about 10 places with the publisher directly've met and talked haeteuni publishing.

개인적으로 이 책은 참고도서로 읽었다. 내 스타일 자체가 무엇을 하기 위해서 열정적으로 집중해서 짧은 시간동안 노력하는 것보다는 미리 미리 꽤 오랜시간을 두고 서서히 준비하며 하나씩 하나씩 머리에 넣으면서 머리에서 고이고 쌓여 넘치는 과정을 통해 일을 하는 스타일이라서. 책 자체는 처음 알게된 이야기보다는 - 사례는 처음 읽은 것들도 있었다 - 알고 있는 것을 좀더 체계적으로 알게 되었다는 것에 만족한다.
Personally, I read this book as a reference book. Yiraseo style over the course of a day full of piled up to do in a short time, rather than trying to focus passionately put quite a long time in advance, and one by one, slowly preparing to head goyigo rolling in style on the hair itself. Things were beginning reading practices - and happy to know that you know that more systematic than the first book, the story itself is learned.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