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행복하라 아이처럼 - 읽으면 좋아요(Be happy like a child - I love to read)

뜻하지 않게 여행에 대한 책을 최근에 몇 권 읽게 되었고 여행에 필수적으로 따라오는 사진이 곁들여진 글을 읽게 되었다. 다들 여행에서 느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라 각자 괜찮은 느낌을 받았다. 이번 책은 파키스탄의 수롱고 마을에 있는 초등학교를 지원하고 있는 저자가 이 책의 인세로 그 곳을 지원하기에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기를 원한다는 출판사의 요청에 기꺼이 수락을 했다. 그런 사연이 없어도 보내는 책은 다 받지만.
Was unexpectedly a few books recently read a book about the trip was read, followed by Jean served as essential travel photos Post. Will express the emotions everyone felt the trip was a good feeling each. Were willing to accept the request of the publisher wants to be known for more than its place in the inset of this book to support the authors who support the school in the town of Pakistani people and surong this book. Sending such a story without the book batjiman.

산을 등정하다 우연히 수롱고 마을의 사정을 알게 되었고 자신이 그 곳을 책임지고 전적으로 지원하기로 결정을 한다. 본인 스스로 모든 것을 다 책임지는 것은 아닐지라도 학교가 운영되는 데에 지장이 없도록 자신이 아껴 모은 돈뿐만 아니라 직접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칠 선생까지 섭외해서 아이들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 점은 이 책을 읽어야 할 마땅한 이유가 된다. 
The decision as to where he is responsible for fully supporting surong chance to climb the mountain and it was learned the circumstances of the village. If not that one, so that it is responsible for everything yourself not to interfere in the running for the school to teach the children in direct liaison to the school teacher, as well as his collection of saving money for the children to study this book is a good reason to read.

그 뿐이 아니라 수롱고 마을에 아버지가 없는 아이들이 있는데 편모슬하라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직접 그 엄마에게 찾아가서 일정 금액을 지원할테니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라고 한다. 선생님에게 출석체크를 정확하게 해서 빠지지 않고 학교를 다니면 지원은 계속 될 것이라고 이야기를 해서 그 집을 단순히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미래까지 보여주는 상황은 대단하다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Those that do not know the proper education of children flagellum knee because there is no father in the village, and just as surong find'll go directly to support a certain amount of their mother called the school to send their children. It is simply that the house does not fall precisely to help the teacher check it unless the school attended by the story itself costs will continue to be supported, but this is a great idea to show to future situations.

그리하여, 수롱고 마을에서 예전에는 한국이라는 나라를 알고 좋아하는 사람이 딱 2명이였다고 하는데 저자인 알렉스가 이러한 실행을 - 선행이라는 표현은 어딘지 맞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 - 통해 마을에 있는 모든 415명 정도의 동네사람들이 전부 한국을 좋아한다고 언급을 했다. 개인의 행동이 한국까지 확대되어 좋은 쪽으로 발전했으니 이런 것이 진짜로 국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개인의 행동과 마음이 모여 더 큰 곳으로 흘러들어가는.
Thus, for this was just two people who like to know the country of South Korea in the past, and the town surong this author Alex run-phrase preceding the feel does not fit somehow - in the village of about 415 people all over I like to mention that all the people in Korea town. Been extended to South Korea for the better development of individual action haeteuni'm thinking I have to really gukgyeok Is not this. That flows into a larger gathering place of personal behavior and the mind.

이런 인연은 히말라야 산행에서 가이드중에 다리를 다쳐 한 명이 산행을 포기해야 할 때 기꺼이 임료를 전액 지불할 때 가이드 중에 한 명이 그 가이드에게 자신의 신발을 벗어준 것이 계기가 되어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듣게 되어 수롱고 마을에 가게 되고 이런 행동을 하게 된 것을 전체적으로 볼 때면 한 명 한 명이 전부 자신의 입장에서 욕심을 갖기보다는 남을 배려하는 마음들이 모여 그 결과가 기쁜 일로 변하게 되었다.
One is given the opportunity to take off his shoes to the guide in the guide to hear the stories of those who pay the full amount when you hurt your leg during a hike in the Himalayan guide people to be willing to give up the trail imryo this relationship is When viewed as a whole and that the store is in town to surong this behavior one people have a sense of caring people together than others, all have a desire on the part of his day was glad that the results change.
그렇다고 책은 단순히 수롱고 마을과 알렉스 초등학교의 일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지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책임을 진다는 의미로 자신의 이름으로 초등학교를 운영하는데 결코 명예욕으로 한 행동이 아닌 진정성이 느껴졌다. 후반부에는 저자가 전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만나 사람들, 사물들, 자연, 상황들에 대한 사진과 함께 저자의 시선으로 본 설명이 있다.
That does not mean simply surong days of school and town and Alex book. Never felt this was a sincere act myeongyeyok to run the school, not simply to support not only the obligations of their own meaning to their name. Meet the author traveled around the world through the eyes of the author with the people, and pictures of the nature, circumstances of things, this is explained in the second half.

사진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 블로그 같은 곳에 글을 올리기 위해서 사진을 찍기는 한다. 글만 있으면 심심하니 사진을 찍고 글을 읽는데 도움이 되라고 연관된 사진을 찍어 올린 것이지 대단한 정성이니 보정이나 관점을 찍는 것이 아니다. 사진을 잘 찍으면 좋겠지만 성격상 굳이 사진을 더 잘 찍자고 노력하는 편이 아니다. 글이 주목적이라 생각하기에 사진은 찍기만 해서 그 중에 건지는 사진이 있으면 좋하다는 정도이다.
Do not know anything about the photos. It is like taking a picture to your blog where you post. When taking pictures geotyiji geulman simsimhani read the article posted a photo associated with this help take to become a great devotion compensation and am not taking a point of view. When you take a picture well I wish I dare not shift to nature and try and take some better photos. This article is about the main purpose to think that the picture is good if you are only taking pictures of them know it.

어떤 사진이 잘 찍는 사진이냐에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체적으로 유명한 포토그래프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이야기는 사진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피사체를 바라보는 사진사만의 시선과 관점과 애정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아무리 좋은 사진기라도 작가만의 세계관이 투영되지 않은 사진은 영혼이 없다고 해야할까? 사진만 집중적으로 보지는 않다보니 잘 몰랐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사진을 보면서 유명한 포토그래프 작가들이 그런 이야기를 왜 하는지 알게 되었다.
Every person is different, but a lot of the stories that we only look at the subject of the photographer and affectionate gaze and perspective camera is important, but it is important to take good photos in any photo stories unanimously Are generally they are famous picture graph. Should not the soul of this picture is not only the artist's worldview projection is even a good camera? I just do not look photo-intensive look at the pictures did not know why I found such a famous picture graphs story writers I read this book.

책이라 단순히 사진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진과 글이 함께 어울려져 있어 사진이 돋보이기도 하지만 사진으로 인해 글이 더욱 울림으로 다가올 때도 있고 사진만으로도 무엇인가 느껴지기도 했다. 사진을 잘 찍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사진이 무엇인가를 말하고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느낌을 책에 나온 자신은 전달한다. 물론, 전적으로 사진만 있었다면 그 정도까지는 아니였을지도 모른다. 글이 있었기에 감정선이 이어지면서 사진까지 연결된 것이 아닐까 한다.
Eoulryeojyeo book because it is not simply that article with photos and pictures, not only pictures but also looks better when you come to this article because of the picture and the sound more photos prayed just feel something. Passes from the book feeling that shoots well but the pictures are not sure that you can come to some sense of what the picture is saying something himself. Of course, entirely up to him, but had enough pictures may not even yeoteulji. As this article is iteotgie gamjeongseon followed it ever be connected to the photo.

책의 전반부가 알렉스 초등학교를 알려주고 제반사항을 보여준다면 후반부는 여러 사람들과 동물(??)뿐만 아니라 배경 사진을 통한 자신만의 시선을 보여주는 것이 더 감동적이고 울림이 있었다. 한 여름 뜨거운 햇빛을 맞으며 책을 읽어 전달되는 감동보다 살랑살랑 부는 바람에 따스한 햇빛과 함께 읽는다면 더 큰 감동과 울림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 든다. 
Alex tells the elementary prerequisite'll show me the first half of the book is sound and were impressed with the attention to show your own background pictures with many more people and animals (??) as well as the second half. With warm sunshine and if you read the section salrangsalrang than impressed to read the book delivered fits the hot wind of summer sunshine costs did not guess that sound is impressive and more.

많은 글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엄청나게 화려한 배경 사진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 책은 참 좋다~!!
Neither this nor that many posts in this incredibly colorful background pictures. However, the book is really good ~!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