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억만장자의 고백 - 투자 철학(The soros lectures - Investment Philosophy)


갈수록 금융공학이 발달하며 투자가 갈수록 복잡해 지는 듯 하지만 아무리 발달하고 세밀화되어 수치의 틈새를 노린다고 해도 결국 중요한 것은 투자를 바라보는 관점과 철학이다. 투기와 투자라는 개념 자체도 모호하고 - 누군가에게는 투자, 누군가에게는 투기 - 투자 방법도 워낙 다양하다보니 중요한 것은 어떤 투자 철학을 갖고 현재 벌어지는 현상을 자신만의 관점으로 결정하느냐이다.
And increasing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engineering which seem increasingly complicated levels, no matter how the gap betwee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and it eventually aims to look at important investment perspective and philosophy. The concept itself is vague and speculative to investment - investment in somebody, somebody speculation - Because of its diverse investments saw how important it is to have any investment philosophy phenomenon currently taking place to determine whether the point of view of their own.

기계적으로 매수와 매도를 걸어 놓는 경우에도 모든 것은 전적으로 컴퓨터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순간마다 사람의 판단이 개입을 한다. 특히, 변곡점이라고 하는 순간에 컴퓨터는 미세한 차이를 전혀 알지 못하고 프로그램에 의해 엉뚱한 매수와 매도를 할 수 있다. 가끔, 프로그램 매매에 의해 생각지도 못한 손해를 본 뉴스가 나온다. 단순한 손해가 아니라 운영주체가 망할 정도의 손해가 나온다.
Buy and sell put and walked mechanically, even if it is not all that important at the moment to leave your computer entirely for each person involved, and the judgment. In particular, the inflection point at the moment as the computer does not know the subtle differences at all wrong by buying and selling the program can be. Sometimes, an unexpected loss by program trading and this news comes out. Operating loss is not just a damn about the subject is out of the damage.

현존하는 투자자중에 유명한 투자자는 엄청나게 많다. 그 이유는 그들이 돈을 번 액수가 후덜덜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는 오래도록 수익을 보는 사람도 있고 일시에 큰 수익을 본 사람들도 있다. 지속적으로 몇 십년 동안 수익을 보는 투자자는 그다지 많지 않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액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작은 액수와는 다른 방법이 필요할텐데 적응을 못하거나 똑같은 방법을 쓰기 때문이다.
Existing investors are incredibly well-known among many investors. No. The reason is that the amount of money they have is because hudeoldeol. Among those who long to see the return date and time is big money, and they are also seen. Continued for several decades so there are not many investors are looking at revenue. The main reason is that more than anything grows larger amount with a small amount would need to adapt to a different way of writing the same way, or because the right.

감히, 이런 말을 할 만큼의 투자 수익은 커녕 돈도 없지만 투자 철학과 관점은 똑같을지 몰라도 방법에 있어 액수가 커지면 한번만 삐끗해도 적은 돈으로 할 때와는 달리 걷잡을 수 없는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오래도록 성공한 투자자의 자리를 지키는 것은 어려운데 이 자리를 꾸준히(?) 지키고 있는 사람 중에 한 명이 조지 소르스다. 한 편으로 더 대단한게 느끼는 것은 누군가는 그를 가리켜 투기꾼이라 하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는 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Dare, to say this is far from enough money to investment philosophy and investment point of view, but do not know how to be the same once I sprained it grows small amount of money unlike when you can not get out of hand because of damage to the view. For this reason, a long time is difficult to ensure the successful investor's position to continue to this position (?) While the people who keep Suda George Sor. On the one hand it feels more powerful because it is speculators someone pointed him brought down even though he did not, and still will.

세상 관점에서 보면 투기꾼은 결국 망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망하기는 커녕 존경도 받고 그의 투자 철학을 배우려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가 돈을 버는 방법이 일반 사람들의 관점에서 볼 때 정당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인데 그가 투자한 대상들의 오류를 발견하고 자신의 판단을 믿고 투자한다는 점에서 그의 투자를 투기로 치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나같아도 그 큰 돈을 단순히 돈이 보인다고 투자할 것 같지는 않다.
In terms of world speculators will eventually need to network. Far from being manghagi But his investment philosophy is respect for people who try to learn a lot. How he is making money from the perspective of ordinary people just thought I was not the target of the investment geotinde he found an error to believe their own investment decisions for his investment in that you will not dismiss speculation. Or the same or a lot of money that you simply invest the money looks unlikely.

조지 소르스가 가장 유명해진 영국의 파운드화에 대한 공격은 오랜 관찰을 통해 현상과 본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자신의 판단이 옳다고 믿고 투자했다는 점에서는 대표적인 투기꾼이 된 사례일지 몰라도 모든 사람이 꿈꾸는 투자였을 수 있다. 자신의 판단이 옳은지 틀린지를 확인하는 작업을 돈으로 베팅했기에 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진정한 투자일지도 모른다.
George Sor Suga most famous attack against the British pound, the observation of a long development and identify the natu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vestment that his judgment was right to believe that this is a typical case of speculators may be knowing everyone was a dream investment be. His judgment is correct or incorrect to identify the job because he bet the money to invest in real investment rather than those who may have been.

주식 투자를 겨우 하는 입장에서 옵션투자와 같은 분야는 내 능력 밖이라 생각하여 관심정도만 두고 있어도 조지 소르스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어 그의 책을 지금까지 몇 권 읽었는데 일대기에 대한 책이나 그가 직접 쓴 책은 결코 쉽지 않았다. 심지어, 그의 아들마저도 자신의 아버지가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스스로 모를 것이라고 이야기하를 할 정도니 말이다. 그만큼 쉽지 않다.
Only in a position to invest in the stock options in areas such as investment and I think the interest is beyond me, even if only about putting George Sor's got an interest in his books so far, I read several books about books and biographies that he wrote the book directly is never easy. Even his son, what are you talking about, even if his father is talking to yourself, you do not know about that you said. So it is not easy.

무엇보다 그의 철학을 이해하는 것이 그다지 쉽지 않다. 덕분에 포퍼라는 철학자를 알게되고 열린 사회등에 대한 용어를 알았다는 만족(??)정도에서 멈출 수 밖에 없었는데 이번 책 '억만장자의 고백'은 대학에서 한 강연을 글로 엮어 그런지 워낙 주식투자쪽의 번역을 자연스럽게 해주는 이건 역자의 능력인지 몰라도 지금까지 읽었던 조지 소르스의 책중에 가장 이해하기 쉬웠다.
Understand what his philosophy is much more difficult. Philosopher to know that thanks to the Open Society Popper and found satisfactory for the term (?) Did not have much choice but to stop at this book 'Confessions of a billionaire' is a lecture at the University of woven grunge Because of its global equity side of the translation Translator's ability to naturally recognize that without knowing it until now one of the most read books of George Sor's easy to understand.

책은 총 여섯 파트로 나눠져 있고 부록은 사족이라 볼 수 있는데 첫 번째 강연인 인간 불확실성의 원리를 넘어 두 번째 강연이 금융시장을 제대로 읽고 이해한다면 나머지 지면은 더이상 읽지 않아도 된다. 실제적으로 조지 소르스의 모든 철학과 투자 관점은 두 번째 강연인 금융시장를 통해 다 나온다. 이미, 몇 번의 책을 읽고 가끔 신문지상에 나온 조지소르스의 인터뷰를 읽어 머리속에 조금이라도 그의 철학등이 있는 상태에서 보태져서 그런지 몰라도 조지 소르스의 투자 철학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The book is divided into a total of six parts can be seen in Appendix because the sucker in the first lecture of the principles of human uncertainty in financial markets over the second lecture, if properly read and understand the need to read the rest of the floor is no longer. Practically all of George's philosophy of Mysore is the second lecture in terms of financial investment sijangreul it comes through. Already read a few books out on the ground, sometimes a newspaper interview with George Sor's read head and a little bit of his philosophy, knowing that while George Sor Botanica's so grungy investment philosophy was apparent.

재귀성 이론으로 유명한 조지 소르스인데 솔직히 여전히 재귀성 이론에 대해 그저 틈새를 발견한다는 정도의 이해만 갖고 있었는데 이번 책을 통해 보다 더 많은 부분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인간은 불안정하고 불확실하다. 여기서부터 투자할 수 있는 지점이 나온다. 지극히 정상적이지 못한 부분이 발견될 때 정상과 비정상의 차이는 분명히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과정이 생길 때 베팅(??)하면 된다.
George Sor's famous theory of reflexive but honestly still just a theory of reflexive find a niche that has a degree of understanding, but this was much more than through books could hear a description of the part. Man is unstable and uncertain. From here comes a point where you can invest. Could not be found perfectly normal par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and the abnormal return back to normal is obviously the betting process, there may (?) When the.

인간은 인지 기능과 조작 기능이 있다. 자연스러운 인지 기능은 상관이 없지만 인간이 하는 조작 기능에 의해 재귀적인 현상이 나와 오류가 발생한다. 강물이 흐르는 것을 보는 것은 인지기능이다. 누군가 강물을 막아 물이 적게 흐른다면 보이는 부분이 인지할 때는 자연스러울지 몰라도 누군가 조작을 했다는 사실을 안다면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Human cognitive functions and operations functions. Although there is no natural human cognitive operations that the correlation function is given by a recursive phenomena error. Cognitive function to see that the river is flowing. Less river water flows to prevent someone face when looking jayeonseureo cry without knowing what part of the operation, the fact that someone knows what it is natural that not consider that adequate.

자연스러운 흐름을 누군가 억지로 조작할 때가 있다. 조작한 현상은 누군가 볼 때 자연스럽게 느껴지지만 누군가 볼 때는 자연스럽지 못하게 느껴진다. 평소에는 차이를 느끼기 힘들지만 비가 갑자기 많이 오거나 하면 누군가 조작한 부분에서는 문제가 생긴다. 인간들 중에는 자신의 이익이나 타인의 이익을 위해 조작을 한다. 조작이 자연스러울 때는 상관이 없지만 그렇지 못할 때 - 새롭게 자연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 그 차이를 평소에 관찰하다 비슷한 시점에 미리 포지션을 정하고 기다리다 이익을 얻는 투자는 솔직히 대박내지 쪽박이 날 수 있기에 늘 더 많이 얻는 것보다 더 적게 잃는 것이 중요하다. 손해를 봐도 적게 보면 단 한번의 이익으로 다 만회한다. 이런 방법이 조지 소르스의 투자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잘 못 알고 있는 것일수도 있다.
Natural flow sometimes manipulate anyone. Manipulate natural phenomena when someone feels unnatural, but let someone feels when viewing. Usually difficult to feel the difference of a sudden a lot of rain or a part of the anyone in operation problems. Among men the benefit of their operations or for the benefit of the others. When you do this operation, but it is not natural when seureoul - may be part of a new nature - the difference is similar to the usual point of observation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waiting to benefit from pre-investment itgie honestly can always hit me more to jjokbak less than getting a lot of it is important to lose. Look look less damage to the interests of a single retrieve. In this way, the George Sor's method can be called an investment. It may be well aware of right.

책은 네 번째 강연까지만 제대로 정독을 해서 읽으며 자기 것으로 만든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단순히 조지 소르스의 철학을 알게된다는 측면을 넘어 투자에 대한 생각을 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얻는 방법으로도 도움이 될 것이다. 결국 인간은 인식 기능과 조작 기능의 차이로 인해 변곡점이 분명히 생기는데 이 부분에 집중한 투자는 쉽지 않지만 생각을 돈으로 실천한다는 부분에서 흥미롭다. 100페이지 정도까지는 건성이라도 다시 한 번 읽어봐야 겠다.
Until the fourth lecture book and reads his perusal as well if you create will be very helpful. Just know that the philosophy of George Sor's investments over the side looking at the world and thinking about how to get attention will also be helpful. After all human beings are awa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ue to the difference in function is part of the inflection point is clearly focused on saenggineunde investment money is easy, but I think that part of the practice interesting. Until about 100 pages of dry'll even read them again.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