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새로운 부자들 - 미국의(The new Elite - U.S.A)


미국에서 이웃집 백만장자가 나온지 어느 덧 10년이 넘었다. TV에서 보는 화려한 부자가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부자들에게 대한 이야기로 부자에 대한 선입견과 그들의 정확한 속사정을 알 수 있었다. 그 후로 경제는 성장했고 더 많은 부자들이 생겼다. 생긴 정도가 아니라 부자들의 부가 그 당시와는 비교가 되지 않게 자산이 늘었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가난한 나라는 더 가난해졌고 부자인 나라는 더 부자가 되었다.'
Neighbors millionaire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out 10 years exceeded any fleeting. Gorgeous rich as see on TV you can see around us is the story of the rich are rich and the preoccupation with the inside man could know their exact. Since then, the economy has grown and looks more rich people. The addition of rich-looking and not much at that time was not to be compared with assets increased. This phenomenon is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is a common worldwide phenomenon. "In poor countries the rich poorer countries haejyeotgo became richer."

이걸 구조적인 문제로 보고 사회를 개혁하자는 이야기도 있다. 그 부분까지는 미처 따지고 들 생각은 없고 - 관련 책을 읽기는 했지만 - 그 당시보다 부자들은 더 많아 졌는데 그들이 갖고 있는 부는 더욱 늘어났다. 이번 금융위기를 계기고 1%가 99%위에 있다는 생각마저 들게 되었다. 1%의 사람들은 단순히 부자가 아니다. 옛날 시대로 치면 왕이나 귀족이라 보면 되지 않을까 한다. 그 정도의 부자들을 따라하고 셀러브리티로 흉내내는데서 어쩌면 불행이 시작되었는지도 모른다. 따라해도 너무 큰 상대라서.
Report this structural problem suggesting there has been some talk reform society. After all that far, I realize that there is no part-related reading a book, but - at the time a lot more than the rich are more jyeotneunde part they have increased. And 1%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is over 99% even thought that was deulge. 1% of people simply are not rich. Old age Would not hit a king or a nobleman called look. Celebrities and the rich,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mimic may have been started somewhere maybe unhappy. Because it is too large relative along.

'새로운 부자들'을 몇 번 보기는 했는데 읽을 생각을 전혀 하지 않다가 '지금 시작하는 부자공부'책에서 이 책이 자주 언급이 되기에 궁금증이 생겼다. 도대체, 무엇이라고 할지도 궁금했고. '새로운 부자들'은 읽기 전에 '이웃집 백만장자'의 업그레이드 판이 되지 않을까 추측했다. 무려, 6천명이나 되는 부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했고 여기 나오는 부자들은 이웃집 백만장자보다 훨씬 더 많은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부자들이니 조금은 다른 이야기가 나올 것이라는 판단도 들었다.
The 'new rich' view is I think I read a few times is not at all a 'rich get started now studying "is often mentioned in the book is the book looks to be your answer. What the hell, might wonder what was. The 'new rich' is read before 'millionaire next door' Would not guess that the upgrade version. Wow, 6,000 people or rich people to come out here and interviewed the rich much more than the millionaire next door owns the asset rich are you guys out a little bit different story is told that judgment.

막상 읽어보니 차이점도 있고 공통점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이웃집 백만장자가 훨씬 더 부자에 대한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유의미한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생각이 든다. 한편으로 이 책을 저술한 사람들은 마케팅 차원에서 이들 부자들에 대한 공부를 했고 조사를 한 사람들이라 이웃집 백만장자를 집필한 대학 교수로써 조사를 한 토마스 스탠리와는 다소 다를 수 있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Okay, I read the difference is also common. But, still, the millionaire next door to even more specifically talking about the rich story idea that is costs significantly. The people who wrote this book in the marketing dimension for these rich people who research and study called millionaire next door to the one written by a university professor Thomas Stanley as a research and may vary slightly from the consideration that it should be.

책에 나온 부자들은 거대한 부를 갖고 있는 사람들부터 우리가 부자라고 하는 정도의 부자까지 섞여 있다. 이들에 대한 공통점을 알려주는 내용이고 이들이 어떤 것을 좋아하고 어떻게 살아가는지, 어떤 것에 보다 관심을 보이고 지출을 하는지에 대해 알려주는데 이 부분이 바로 이 책의 저자들이 마케팅 차원에서 부자들에게 대해 연구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부자들에게 무엇인가를 팔 사람들을 대상으로 프리젠테이션을 하기 위한 용도로.
The rich are a huge part of the book comes from people who have said that we are rich, rich enough to be mixed. The Telling You for the common good, and how to live and what they do, which is what you're spending more for showing interest in this part of neunde immediately notify the author of this book for their marketing research level that the rich are This is a point which tells. Rich people who have something to sell for the purpose of presentation.

부자들도 다양하다. 이제 막 부자가 된 사람들부터 부자가 된지 어느덧 20년 이상이 된 사람들까지. 또한, 젊은 나이에 부자가 된 사람들과 오래도록 노력을 해서 중년이후에 부자가 된 사람들도 있고 부자로 된 시점부터 이미 부자로 살게 된 자식이나 손자가 있고 부자가 되는 과정을 지켜 본 자녀들이 있다. 보유하고 있는 부의 규모에 따라 그들의 씀씀이도 달라진다는 것을 책에서는 알려준다. 
The rich are different. Have just rich people from more than 20 years of rich people doenji to slip. In addition, the young age of rich and middle-aged people and for a long time after the efforts of the rich and wealthy people to live from the time a child or grandchild already rich richer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children are watched. Holds a wealth also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ir Concern that the book tells.

이제 막 부자가 된 사람들은 아무대로 쉽게 돈을 쓰지 않는다. 여전히 돈이 없어 고생한 경험이 얼마되지 않았기에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이 늘 마음 한편으로 조심스럽기에 돈을 써도 기회편익을 고려하게 된다. 아직까지는 자신이 부자라는 생각도 갖지 않는다. 자신이 부자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기에 알리려 하지 않고 사람들의 시선을 피하려고 하고 의식을 하며 살게 된다.
Have just rich people spend money is not as easy as anything. Still no money has not been much troubled to experience what happens when I do not know the mind is always changing their minds on the other hand, be careful to consider the money you could use the opportunity to benefit. So far, he has no idea that rich. The rich do not even think they do not notify itgie trying to avoid the gaze of the people living at the ceremony.

이에 반해 부자가 된지 오래된 사람들은 씀씀이가 헤픈 것은 아니지만 사고 싶은 것은 사고 먹고 싶은 것은 먹는다. 혹시,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고민같은 것은 하지 않는다. 이제, 자신이 부자라는 것에 익숙하고 자연스럽다. 굳이 숨기려 하지도 않는다. 한 마디로 남들이 부자라고 지칭하는 것에 대해 굳이 손사례를 치지 않는다. 대 놓고 내가 부자라고 이야기는 하지 않을지라도.
On the other hand, had long ago rich people want to buy, but not slut Concern is thought to want to eat it and eat it. Ever, worry about what may be no such thing. Now, they feel comfortable and natural for the rich. Does not even bother to hide. Referred to as a word for what others are rich examples of hand injury does not bother. Colloquially, although not the story I'm rich.

물론, 갑자기 거대한 부를 얻게 된 사람들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극히 드물지만 미국에서는 자신이 운영한 기업체를 M&A를 통해 보다 큰 기업에 판다든지 기업공개를 통해 상장을 하는 방법으로 어느날 갑자기 부자가 된 사람들이 있다. 이들같은 경우에는 워낙 믿겨지지 않게 셀 수 없는 부가 생기다보니 특별히 구입에 대한 고민이나 부담이 없다. 마찬가지로 무조건 과소비를 하는 것이 아니다.
Of course, people have suddenly gained enormous wealth. In the unlikely event that our country is run by the United States, their businesses through M & A than for big companies to sell any listed public company through the way in which people who are suddenly rich. Because of its hard to believe if they have not specifically looked countless accrue additional burden of trouble and not for purchase. Similarly to the over-consumption is not unconditionally.

대부분 돈을 추구한 사람들은 아니다. 돈을 더 많이 벌기 위해 노력한 사람은 없다. 하지만, 이 들중에 단 한명도 돈이 필요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그저 돈만을 추구하고 돈이 이세상의 모든 것이라며 돈을 밝히지 않았다는 뜻이다. 우리가 이미지로 알고 있는 구두쇠가 아니다. 또한, 이들은 점점 자신의 부를 기부한다. 예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규모의 기부가 특정 단체에 지급될 때 모든 문제가 일시에 사라지기도 할 정도의 기부가 이뤄지기도 한다.
Most people are not seeking money. Efforts to make more money, no one. But money is a single one among the people, there is no need to say no. Money to pursue a just world, all of the money to reveal geotyiramyeo That means that money. We know that the image is not a miser. In addition, they donate their wealth gradually. Does not compare with the old scale when the contribution is paid to certain groups of all problems disappear temporarily yirwoji donation is enough to pray.

책에서 구체적이고 확실한 언급은 없지만 부자가 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사업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대기업에 들어가서 노력끝에 임원을 넘어 이사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다. 투자 부분은 사업을 하면서도 대기업에 다니면서도 가능한 부분이지만. 단, 열심히 돈을 모으고 아끼고 한다고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아끼고 돈을 모으는 저축이 기본인 것은 확실하지만 그것으로 부자가 될 수는 없는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이다.
Although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in the book and sure way to become rich doing business will be the most obvious. Next, try to get into the large end of the Executive Director will be over. The investment will last. Large part of the business, while investing for the part, but danimyeonseodo. However, to collect and cherish that hard money is not being rich. Basic cherish raise money savings, but it's sure to be rich will live in the free world.

책에서 자주 언급하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경험에 대한 것이다. 그것은 가족끼리 여행을 가고 자녀의 교육에 대한 부분이다. 부자라고 돈이 많기만 하면 그것이 무슨 소용인가? 돈을 어떻게 쓸 것인지와 자신의 인생이 얼마나 더 풍요로운지가 중요한데 1년에 몇 번의 여행을 통해 함께 경험을 쌓고 자녀들의 교육을 엄격하게 시킨다. 굳이 부자들의 학교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일반 학교에 보내 규율을 배우게 하고 타인과의 관계에 대해 배우게 한다. 공부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뭐, 굳이 공부를 잘 하지 않아도 되기에 그런지도 모르겠다.
Ever seen in a book often cited for one will immediately experience. It is to go on a family trip for a part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When I'm rich, but there is much money, what good is it? How the money is his life and how it will be used more prosperous land a few important trips a year to gain experience with the strict training of the children. It is not rich people bother sending school to learn the discipline of regular school ... lear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Part of the study does not mention. Well, I do not need to study to be a bother not even know grunge.

'새로운 부자들'은 생각보다는 부자에 대해 새로운 것을 알려주거나 거대한 부를 소유하고 있는 부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부자들의 소비와 쇼핑에 대해서는 여타의 책보다는 다소 많이 책에서 언급한다는 사실이 조금은 다른데 흥청망청쓰지 않고 쓸 것을 쓴다는 점이 다르다. 다만, 돈 걱정없이. 새로운 부자들이 계속 탄생하고 있고 더 많아졌고 -중산층이 늘어난 속도에 비해 - 더 거대한 부를 형성한 부자들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내가 속해있지 않다는 아쉬움이 있다.
The 'new rich', rather than think or say something new about the rich owns a huge part of the lifestyle of the rich does not tell us. Shopping for the consumption of the rich, and a lot of other books mentioned in the book rather than the fact that it is written without Walpurgis Night writes differs little differences. However,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money. Birth of a new and more rich people keep a lot of jyeotgo - increased speed compared to the middle class - the part is formed by a huge increase in that rich people andaneun I regret not belong there.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부자에 대해 제가 쓴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