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 인문학 입문(Start now Humanities - Introduction to Humanities)


인문학 열풍정도는 아니라도 인문학에 대한 관심은 새삼스럽지 않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에게 눈길을 받고 있다. 인문학이 어느날 갑자기 짠하고 나타난 새로운 발견이나 학문이나 발명이라도 되는것처럼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있다. 그렇다고 인문학이 무엇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 어느 하나 인문학과 연관이 없는 것은 없다.
Humanities Humanities craze not even degree of concern for so many people who are not seureopji anew under eye. Humanities is a new discovery that appears suddenly and the salty, even the invention, as those who study or are being talked about. Yes what humanity is capable of regulatory costs do not feel like it. Not one that is not associated with the humanities.

인문학이라는 것은 인간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학문이다. 또는 인간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이야기하는 학문이다. 또는 그저 인간 그 자체라서 학문이라고 이야기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 아닐까도 싶다. 무엇이 인문학이라고 특정을 짓는 것 자체가 이미 인문학에 대해 어긋한 출발은 아닌가하기도 한다. 동물도 인간하고 관련이 있다. 우주도 인간하고 관련이 있다. 그렇다면, 전부 인문학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Humanities is the study of human beings to talk about. Or a human story that is related to the study of. Or just as a human study itself because it is wrong Maybe even want to talk. What is it specific to the humanities, the humanities building itself is already a departure is not it also be a counterintuitive. Related to animals and humans. The universe and human related. If so, should not we all of humanity?

인문학이라고 하면 무엇인가 거창하고 고상한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돈을 버는 방법은 인간에 대한 것이 아닐까? 자신의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공부도 결국에는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니 이것도 인문학에 넣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무엇 하나 인문학과 관련이 없는 학문은 없다고 본다. 인간 그 자체가 이미 출발점이니 인간과 관련되어 있는 모든 것이 바로 인문학이라 본다.
Speaking of the humanities is thought that something tremendous and noble way to make money, but it is for the human Maybe?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skills, after all, to help the human being shall be put in the humanities Maybe this also? What is not associated with a study of the humanities not see. Are you already starting point for the human itself is related to the human right of all, it is called the humanities look.

인문학이라고 하여 특정한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것 자체가 창의력을 죽이는 결정이 된것은 아닐까싶다. 어릴때부터 입시교육에 길들여져 있는 문화가 인문학을 배우려는 자세에도 퍼져 있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렇게라도 인문학에 대해 알고 배우는 것은 분명히 좋은 것이지만 너무 한 쪽으로 치우쳐져 인간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 자체에 대해 배우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As the humanities learn something specific in itself, paying the creativity Maybe I want to kill the decisions. Admissions education from an early age accustomed to the culture of the humanities learn the position it might also want to spread it. Learning to know about the humanities, so obviously any good, but too biased to one side, rather than know about human humanity itself, it might be thought to learn about costs.

인문학을 배우는 이유는 현대인에게는 하나의 무기를 장착하고자 하는 것과 남들이 배우는데 내가 배우지 않으면 무엇인가 시대에 뒤떨어지고 동참하지 못하는 느낌이 싫어 배울 수도 있다. 이것도 인문학이라 하고 저것도 인문학이라 하며 우후죽순으로 인문학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오는 수많은 강의와 책과 교육이 산재해있다. 정신차리지 못할 정도로 많고 어떤 것을 택해 듣고 본다고 해도 결코 잘못된 선택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 본다.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것 그 자체로써 충분히 의미가 있다.
Why learn the humanities have a weapon equipped with modern as others are willing to learn if I learn something falling behind the times involved can learn not feel hate. This is also the humanities because the humanities because that is the title of a sweet mushroomed out of a number of humanities classes and be littered with books and education. Enough not to notice that many mental taken to hear what it sees is unlikely this would never see the wrong choice. Will learn something meaningful in itself as well.

인문학에 대해 알려주고 길을 인도하는 책들과 강의도 많이 나왔다. 이런 저런 인문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온 책들이 많지만 대부분 특정 분야를 알려주는 책들인데 반해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은 인문과 관련되어 있는 분야를 거의 다 다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게 쉽지 않은 것이 저자 혼자서 인문과 관련되어 있는 분야를 전부 소화해서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결코 녹록치 않아서이다. 
Humanities and asks to lead the way out a lot of books and lectures. Humanities and the title of this and other books that came out sweet and inform you of certain areas, most books manjiman whereas 'start now humanities' in the humanities and related fields can be seen that covers almost everything. This is not easy, it is the author himself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everything related to digestion and intimidating people, so that means that it is.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나와 특정 분야에 대해 알려주는 사람은 많지만 수 많은 분야를 하나로 통합해서 한번에 알려주는 사람은 솔직히 없다고 본다.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그 정도의 능력자는 결코 인간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렇다 해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얼마든지 모든 분야에 통달할 수는 없어도 최소한 가이드 역할정도는 할 수 있는 능력자는 분명히 존재할 것인데 아직까지 그런 시도를 제대로 한 책이 없었는데 이 책은 첫 시도였지 않았나 한다.
Specific areas for specific areas of professional tells me Though there are many many people into one field at a time to tell the people honestly not see. That no one can. Human psychic is never that much can not be said. Even so, it is not impossible. Much as possible in all areas of mastery could do without at least guide the psychic role apparently still exist that attempt to properly geotinde book This book is the first attempt was that this did not have a brokered.

그런 이유로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은 쉽지 않은 책이고 좀 딱딱하고 지루할 수 있는 책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판매가 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실제로 이런 책이 두 달도 안되어 43세를 찍었다는 것은 이런 부분에 대한 사람들의 목마름을 제대로 젖셔준 효과로 보인다. 인문학이 무엇인지도 모르겠는데 전체를 알려주는 책의 부재가 바로 이 책을 베스트셀러로 만든 원동력으로 보인다.
That's why the 'humanities start now "is a little hard, not easy to get bored in the book, and despite the enormous responsibility has been a best seller in the sale. In fact, this book is 43 years old and took two months afterwards that this part of the people's thirst for milk syeojun effect seems to be well. I do not know what the humanities awareness in the absence of the entire book immediately inform the driver of the book seems made ​​bestseller.

심리학, 회화, 신화, 역사, 철학, 글로벌 이슈에 대해 다루고 있다. 말 그대로 입문으로써 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책이다. 각 분야에 있어 기초적인 큰 그림을 그려주는 책이지만 만만치 않다. 각 분야에 있어 각 시대를 따라 나타난 인물과 그들이 발표한 작품들에 대해 소개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한 눈에 그려주는 역할을 한다.
Psychology, painting, mythology, history, philosophy, and for dealing with global issues. Introduction by literally acts as the guide book. The field of each of the basic big picture is not a book, but challenging. Depending on the age of each field, and each published work appeared in person and introduce them to the role of naturally draws the eye to.

한 분야의 책이여도 쉽지 않은 작업물이였을텐데 이렇게 많은 분야에 대해 소개를 하고 있으니 엄청나게 많은 공을 들였을 책같았다. 더구나, 분명히 자신에게 익숙하지 않은 분야도 있었을 것이라 판단이 든다. 그럼에도 이렇게 다양한 분야를 소개하고 입문서를 펴 냈다는 사실 자체가 훌륭한 일이라 보인다. 덕분에 여러 분야의 내용을 한 책에서 전부 읽을 수 있었고 말이다.
O's book is one area the water was not an easy task with so many areas that would be the introduction of the book seemed so enormous deulyeoteul ball. Also, apparently you are not familiar with their field to determine the costs would have been too. Nevertheless, the introduction of so many different areas, and a great introduction to straighten one knows that called itself seems true. Thanks to the different areas of information could be read all in one book said.

나름대로 이런 책 저런 책을 보면서 꽤 다양한 분야를 섭렵하고 있지만 역시나 철학은 여전히 가까이 하기에는 너무 먼 당신으로써 남아 있다. 언젠가는 읽어야지 하면서 본격적으로 읽지는 않고 다양한 루트를 통해 조금씩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정도인데 이번 책을 통해 보다 많은 영역을 읽게 되었다.
Look at its own books this book quite like that, but figured mastered various fields of philosophy, is still far too close as you left. Ileoyaji in earnest to read it one day without a little knowledge through a variety of routes around the area, but more through this book was to read.

심리학은 워낙 관련 분야를 많이 읽었고 재미도 있어 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 반복한다는 느낌이 들었고 회화는 올 해에 도전할 분야라고 생각하고 있어 - 그림을 보기 전에 먼저 책으로 읽으려고 하는 정도 - 덕분에 즐겁게 읽을 수 있었고 신화는 이미 몇몇 시리즈를 통해 접하고 있어 다시 읽지만 여전히 새로웠고 역사는 전체적인 그림을 조금씩 연대순으로 보여주고 있어 읽었다.
I have read a lot of psychology related field is so fun that I know the feeling of information heard over and over again this year to challenge the field of painting I'm thinking - see the picture before you try to read a book about - fun to read, thanks to some myths could already read through the series again, but it still faces a new, and a little history is in chronological order to show the whole picture of a read.

문제는 철학부터였다. 정말로, 간만에 하얀 것은 종이고 검은 것은 글자라는 느낌으로 읽게 되었다. 분명히 책에서 소개된 철학자들과 그들의 사상은 그 어느 하나 처음 접한 것은 하나도 없다. 내 기억이 맞다면 학교 시절에 도덕인지 윤리인지를 통해 배웠던 내용들이였다. 그것말고도 조금씩 듣고 알고 있는 인물들과 그들의 사상이였는데 어찌된 것이 어렵다는 느낌보다는 너무 많은 것을 한번에 알려주려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Problems ranged from philosophy. Indeed, it is ganmane white and black letters is the sense of the paper was read. Clearly presented in the book is that philosophers and their ideas first exposed to none of either. If I remember correctly recognize the moral ethics of school days over what information they had learned. Besides listening to little people know it and it is difficult to feel their thoughts yiyeotneunde's everybody wanted to tell you, rather than one at a time, it is too much Maybe that thought.

입문자들에게 쉽게 접근하기 위한 책이라면 될 수 있는 한 용어를 좀 더 쉽게 풀어써서 알려줬어야 하는데 너무 그들의 용어를 그대로 쓰면서도 그 뜻을 알려주지 않으니 처음 접하는 사람으로써는 용어 자체에 대한 의미도 확실하게 모르는 상태에서 내용이 계속 진행되니 책읽는게 힘들게 느껴지지 않을까 쉽다. 오히려, 더 힘들다고 하는 현대의 철학쪽으로 넘어와서 언와 구조주의를 설명하는 인물들 - 가령 소쉬르와 라캉, 데리다의 이야기가 더 쉽게 읽혔다 - 의 이야기가 잘 읽힌 것은 내가 좀 더 알고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저자가 '지식의 저주'에 걸린 것이 아닐까 싶다. 왜냐하면 이 책은 전혀 생판 모르는 사람을 위한 입문서니 말이다. 물론, 모든 분야를 퍼펙트하게 알고 알려준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하겠지만.
A book for beginners who would be easily accessible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solve using the term should have to tell their terms so as it will tell you that aneuni sseumyeonseodo who are new to the term itself, as surely without knowing the meaning of continue reading this content doeni Would you not feel easy to hard. Rather, beyond even harder to come up with the philosophy of modern structuralism to explain eonwa figures - for example, Saussure and Lacan, Derrida was read the story easier - I read the story it does not mean that I know more authors' the curse of knowledge "Maybe I want to be caught. Because this book is a guide for people who do not know at all complete stranger says Sunny. Of course, you know all the areas that informs perfect, but there is a fundamental limit.

한편으로는 그만큼 내가 가장 부족한 분야가 철학이라는 뜻이 되는데 철학이라는 것 자체가 인간 본연에 대한 탐구라는 의미에서 볼 때 굳이 그렇게 어렵게 용어를 알아가면서 인간과 나에 대한 탐구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괜히 어려운 용어를 써가면서 이야기하는 것은 본인 스스로가 잘 알지 못하거나 잘난체하려는 의도로 보일 수 있다. 얼마든지 대체 가능한 단어와 풀어쓸 수 있을텐데 말이다. 철학을 모르는 사람의 푸념이다.
Meanwhile, much of the philosophy that I mean that the poorest areas of philosophy, which itself is the quest for human nature in the sense of the term difficult to know when gamyeonseo that bother people and I wonder about the need to explore the idea of this costs. Gamyeonseo vain talk is difficult to write a term that I did not know yourself, or intended to be seen pretentious. Alternative words and write much as you'd release said. Those who do not know the philosophy of the complaint.

마지막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도 조금은 아쉽다. 굳이 다루지 않았던 것이 보다 좋지 않았을까 싶다. 분명히 나는 하이데거로 시작한 프리드먼의 자유주의를 반대하고 케인즈에 가깝고 복지에 대해 넓히자는 주의지만 책에서는 저자 자신이 결론을 내린 상태에서 글을 써 내려간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저자 자신의 주장과 사상이 있는 것은 당연하지만 입문서로써의 책이라면 보다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할 듯 하다. 또한, 아직까지 결론이 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 또는 반론이 있는 부분 - 조금은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아쉽다.
Finally, a little inconvenient about global issues. Did not want to deal with it better than dare go after. Obviously I started with Heidegger, Keynes and Friedman's liberal opposition neolhija close attention, but for the welfare of his book, the author concluded that went down to write, while strongly feel heard. And ideas in the author's claim that his course, but the book as a primer, then it is more reasonable to describe the objective seems to be. In addition, there are no conclusions yet about the part not - or objections in part - the story is a little inconvenient assertive.

이 책이 나오자마자 얼마있지 않아 2편이 나왔다. 처음부터 2편까지 기획을 한 것으로 보인다. 1편은 굳이 이야기하자면 서양 편향적인 기술이다. 동양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세계화와 이기기 위해서는 서양을 아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제 점점 서양도 동양을 알기 위해 노력하고 점차 중심축이 동양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동양 철학, 회화, 역사, 신화등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는 것은 아직 읽지 못했지만 2편에서 소개하려고 한 것이 아닐까 한다. 2편이 아니라면 어쩔 수 없고.
Soon this book as soon as I came out two shifts. Planning from the beginning seems to Part 2. Speaking of one side is deliberately biased Western technology. Globalization and the East of us who live in the West it is important to know in order to win, but now more and more the West is trying to understand the Orient gradually proceeds to the central axis of the East Asian philosophy at this point, painting, history, mythology, and no mention about did not read it yet, this is in two pieces, it is probably the one to introduce. 2 side can not help not.

인문에서 중요한 것중에 하나가 바로 문학이다. 문학은 모든 것이 함축되어 있는 분야다. 문학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려면 너무 방대하고 어디서부터 소개를 해야 할지가 아찔할 정도라 제외한 것이 아닐까도 한다. 이렇게 보면 인문이라고 하는 분야가 얼마나 넓고 넓은지 알 수 있다. 그런데도 인문에 대해 감히 알고 있다는 이야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
Just one important ever seen in humanities literature. Literature, it is implicit in all the areas. To comment on the literature and from where I should introduce too large and whether it will become dizzingly Maybe too much, except the place. This broad look at how wide the field of Humanities and whether it can be seen. But for the Humanities and knows that dare not speak it is not unreasonable.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은 인문이 무엇인지 모르겠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을 위한 재미있는 입문서이다. 보다 깊은 것을 알고 싶으면 각 분야중에 보다 흥미가 가는 것을 선택해서 책에 소개되고 언급하고 있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책을 읽으면 더 깊은 재미를 느끼게 되지 않을까 한다.
'Now start the humanities' is really sure what the humanities must start from where you do not know what a primer for anyone who is interesting. During each field you want to know more than a deep interest in choosing to go to the book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to the book you read involves a deeper Would not that be fun to feel.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