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롤리타 - 님펫(Lolita - nimpet)

롤리타라는 제목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이미지가 떠 오른다. 그만큼 롤리타는 대명사가 되어버렸다. 롤리타가 어떤 이미지로 세상 사람들에게 소구되고 있고 활용하고 있는지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아도 저절로 알게된다. 워낙에 자극적이고 말초적인 이미지들이 나온 세상이 되어버려 예전만큼 롤리타라는 이미지는 강렬하게 다가오지는 않아도 여전히 롤리타는 우리들에게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이미지로 남을 것이다.
The image is titled Lolita floating just naturally rises. Lolita has become so synonymous with. Lolita is appealing to everyone, and any images and do not need to take advantage of naturally want to know whether deliberately learned. Because of its stimulating and peripheral images are shown to the world the image of Lolita as before and discarded not come intensely Lolita is still a need for us to remain in the image will not disappear forever.

어린 여자를 좋아하는 것을 '롤리타 신드룸'이라고 한다. 단순히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간의 관계까지 접근하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남성들이 젊은 여자를 좋아하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남성의 본능이다. 남자는 생존하기 위해 자신의 씨를 안전하고 튼튼하게 키워줄 어린 여성을 선호한다고 한다. 롤리타가 세상에 나왔을 때는 그러한 학문적인 연구는 아직 없었을 것이다. 지금도 그러한 학문적인 연구가 있다고 해도 그다지 자연스럽고 좋게 보지 않는다.
I like that little girl 'Lolita Syndrome is called. It is not simply a heterosexual relationship like that to approach a young woman talking to a man who is all ages and countries like the male instinct. A man of his seed to survive you safe and strong young women prefer to be raised. When Lolita came into the world of academic research that would not have yet. Even though it still has that academic research does not look very natural and good.

롤리타에 나온 여성은 단순히 젊은 여성을 넘어 어린 여성이다. 우리나라 나이로 따지면 중학생 정도의 아이일 것이다. 60대 남성이 20대의 여성을 만나는 것은 꼬깝게 보고 자연스럽게 보지 않는데 40대가 10대를 만난다고 하면 이건 무조건 천일 공노할 나쁜놈이 되어버린다. 그 이유는 20대는 자신의 의지를 갖고 남성을 접근하거나 남성과의 관계를 결정할 수 있지만 10대의 여성은 아직까지는 자신의 의지가 아닌 강요와 강압에 의한 폭력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Lolita is simply a young woman to come across young women are women. In terms of Korean middle school age children will be enough. 20 single men and 60 women reported seeing twisted effortlessly kkapge anneunde 40s and 10 to see if it's unconditional mannandago gongno one thousand days away, you are the bad guy. The reason for this is the will of the 20s have their own access to men o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but teenagers are not yet impose their will by force and coercion,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this size.

실 생활에서는 그런 경우를 단 한번도 본 적이 없지만 가공의 상상력으로 보여주는 여러 사진이나 소설이나 영화등을 포함한 곳에서는 10대의 여성이 자발적으로 나이 든 남성과 관계를 맺는다. 자연스럽게 감정이 생기고 함께 시간을 보낸다. 나이라는 차이를 제외하면 일반 연인과 별 차이점이 없는 모습을 그려준다. 이런 영향으로 아직까지 뇌성숙(??)을 이루지 못한 남성들은 현실과 가공의 현실을 착각한다. 더구나, 자신이 얼마든지 마음먹은대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어린 아이들에게 표출해서 절대자로써 행동하게 된다.
In that case, the only real life is not never seen several photos showing the process of the imagination or a novel or a movie, including one where 10 men and women aged spontaneously bears relationship. Spends time with naturally occurring emotions. Except for the difference and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lover and not the general appearance draws. Yet this influence brain maturation (?) FAIL men are mistaken for reality and the reality of the process. Also, he ate as much as you like for children to express confidence that you will act as the Absolute.

어린 여성들에 대한 이미지를 심어준 최초의 작품이 바로 '롤리타'이다. 책을 읽어보면 현대에 못된 남성들이 갖고 있는 이미지는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지 알게된다. 오로지, 단 하나 성적인 점에만 초점을 맞추고 이성을 바라보는 시선을 갖게 온갖 미디어가 만들었다. 이런, 이미지에 남성들은 열린(??)마음으로 받아들였다. 아무리, 손사래를 치고 아니라고 부정해도 젊은 여성이 더 눈에 들어간다는 것이 솔직한 감정이다. 거기에 어린 여성을 훔쳐보는 시선은 남성의 본능이다. 이성으로 억누르고 도덕적인 감정으로 외면할 뿐.
Simeojun image for young women is the first work is 'Lolita' is. Reading the book has a modern image of the evil men who know how to make distortion. Only, single point focus only on sexual reason to have to look at all the media attention made​​. This image of men are open (?) Mind accepted. However, not deny it hit sonsarae young woman enters the eye, it is more honest emotion. There are spying on a young woman's instinct of the male gaze. Feelings of moral reason to suppress not only the outside.

꼭, 모든 남성이 그럴 것이라는 판단도 잘못되어 있다. 그저, 귀엽게 볼 뿐이다. '롤리타'의 남성은 단순히 어린 여성을 좋아하는 것으로 끝난다고 할 수 없다. 근본적으로 이상한 감정을 지닌 삐뚫어진 남성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할 듯 하다. 롤리타라는 어린 여성을 좋아한 것만이 아니라 소설에서 그가 만난 모든 여성들은 롤리타를 포함하여 평범하고 보통의 여자들은 단 한명도 없다.
By all means, I will judge all men is wrong. Just, just lovely view. 'Lolita' is simply a young woman with a man like that can not be done. Fundamentally with strange feelings twisted ttuleojin men seem to be correct, it would look. A young woman named Lolita, not just like all the women he met in the novel, including Lolita, plain and usually not a single one of the girls.

주 메인이 롤리타이고 2명의 여자들이 추가로 더 나와 험버트와 함께 살때 어떤 여성도 익히 알려진 여성의 이미지는 없다. 험버트가 자신의 딸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를 이용하여 결혼하는 여성이 있고 함께 살면서 총이 눈 앞에 있는데도 눈하나 깜짝하지 않고 장난하는 여성이 있다. 근본적으로 험버트라는 남성이 제대로 된 정신을 갖고 있는 인물을 절대로 아니라고 본다. 
Lolita and the main two girls share two more additional Humbert me when I was with the image of a woman is not well-known women. Humbert is knowing that his daughter likes to use them married and living with a woman, even though the snow in front of the gun does not surprise one woman has got to be kidding. Humbert is a fundamentally decent man, never mind not think people have.
'롤리타'라는 제목은 책을 읽기전에 여러 상상을 하게 만들어 주고 책의 내용이 자극적일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게 만들어준다. 책이 나왔을 당시에는 어떠했는지 모르겠지만 - 단순히 어린 여성을 좋아한다는 것만으로도 논란이 엄청 되었겠지만 - 지금 클릭 한 번이면 온갖 자극적인 것들이 넘쳐나는 지금 이 시대에는 책에서 어떠한 말초적인 묘사도 느끼지 못했다. 약간의 은유와 아주 작은 묘사가 나오지만 그 정도는 '롤리타'가 지금까지 살아남은 세계적인 문학작품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통속소설이 아닌 문학작품으로 취급받는(??) 분명한 점을 읽어보면 알게 된다.
'Lolita' before reading the title of the book makes many imagine them to the contents of the book have preconceived notions that makes irritating. I do not know what you have at the time the book came out - just enough to make a young woman like that was very controversial - but a click away now overflowing with all kinds of exciting things are now in the era of the book did not feel any peripheral depiction. Metaphor and a small description of some naohjiman that much 'Lolita' has survived until now in terms of the global literary work when the work of literary non-fiction Kitsch being treated (?) Clearly learns by reading.

원래부터 어린 여성에 대한 약간의 판타지를 갖고 있던 험버트는 롤리타를 보자마자 빠지게 된다. 그에게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자신을 협박한 롤리타의 엄마와 결혼을 한다. 조심하려하는데 교통사고라는 천운이 따른다. 롤리타와 단 둘이 이 세상에 남겨진다. 그것도 부녀지간이라는 묘한 관계로. 어디에 가더라도 아무런 꺼릴것이 없게 되었다. 롤리타는 결코 수동적으로 아빠라 불리는 남성에게 끌려다니거나 강압과 강요에 의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 주체적으로 자신이 오히려 리드를 한다. 애달프게 만든다. 두 사람의 관계와 나이차를 제외하면 남녀간의 연애와 비슷하다.
From the original little fantasy about a young woman who had a Lolita and Humbert sight worse. Not to deviate from him and threatened his marriage to the mother of Lolita. Rosy-pink is a careful attempt to comply with a traffic accident. Into this world, leave alone with Lolita. It is also strange relationships that span a father and daughter. Although it is not no where was reluctant. Dad never called Lolita passively'm attracted to men by force or coercion and no action. Rather, they lead to a subjectively. Peuge make aed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xcept for the age difference is similar to th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험버트라는 남성의 시선으로 내용이 전개되고 롤리타에 대한 묘사는 너무 자세하고 애절하다. 이토록, 자세하게 이성에 대한 묘사를 하는 연애소설은 읽어본 적이 없다고 할 정도로 사랑이 담긴 세세하고 작은 것도 놓치지 않는 묘사에 감탄을 하게 된다. 롤리타에 대한 외부의 모습을 숨소리마저 놓치지 않고 묘사하거나 그의 행동이나 모습을 보면서 사랑스러워 미치는 묘사는 얼마나 절절하게 롤리타를 사랑하고 있는지 진심이 분명히 느껴진다. 롤리타가 험버트의 의부딸이자 이제 겨우 한국나이로 만 10세가 넘었다는 점을 잊고 읽는다면 이토록 이성에 대한 사랑넘치는 묘사는 일찍히 읽어본 적이 없다고 할 정도이다.
A man Humbert and Lolita's eye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description is too detailed and bittersweet. Yitorok,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ason you have never read a romance novel is filled with enough love and a little thing ever and do not miss to admire the description. Breathing outside the Lolita look, or even describe his actions and not miss while watching the lovely Lolita Effect jeoljeol describe how truly make love and feel this clearly. Humbert and Lolita is the daughter of his stepfather and age, 10,010 years old barely surpassed South Korea to forget is that if you read the description is full of love for the opposite sex yitorok early enough that you have never read Hebrews.

롤리타도 결코 정상적인 인물은 아니다. 왜 아니겠는가마는. 분명히 자신과 30살 정도의 차이가 나는 남성이 자신을 좋아하는 감정을 넘어 사랑한다는 점을 분명히 인지하고 애써 외면하지도 않는다. 그 감정을 받아들이는 것도 모잘라 이용하고 놀리고 갖고 논다는 느낌마저 든다. 흔히 생각하는 어른 남성이 아이 여자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명히 롤리타가 험버트를 조정하고 감정을 주물럭 주물럭 만지면서 자신에게 더욱 미치도록 만든다고 본다. 그런 이유로 비록, 험버트가 속으로 부르는 애칭이지만 '님펫'이라고 한다.
Lolita is in them is not a normal person. Obama why not. Obviously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30-year-old is feeling like I am a man beyond himself clearly aware of and strive for love nor does the outside. Accept those feelings have to tease it and play using all cut costs even feel. Women often think that an adult male child, rather than adjusting to coordinate and clear feelings Humbert and Lolita is jumulreok jumulreok mandeundago touching yourself look even more crazy. For that reason, though, but Humbert is a nickname to call into 'nimpet called.

'님펫'은 롤리타를 부르는 말로써 작은 요정을 말하기도 하지만 책에서는 작은 악마라는 뜻으로 쓰인다. 롤리타가 진정으로 험버트에게는 악마이다. 자신의 모든 것을 다 주어도 상관이 없을 세상 유일의 사랑이자 질투의 대상이고 세상이다. 끊임없이 롤리타를 혼자만의 것으로 만들려고 노력하지만 롤리타에게 험버트는 그저 스쳐가는 남자였을 것이다. 아빠로써의 의미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어쩌면 남성을 알게 해 준 인물로써의 의미가 더 클지도 모른다. 
'Nimpet' Lolita singing the words to say as a little fairy book but also a little devil: Thank you very much. Humbert and Lolita who truly is the devil. May give their everything to do with not only the love of the world and the world and is the subject of jealousy. Lolita constantly trying to make you be alone, but Humbert and Lolita is just a guy was going to be tipped. Rather, as a dad, but maybe men are meant to know the meaning of a given person as may be greater.

1부는 롤리타와 험버트가 역경(??)을 딛고 사랑을 이뤘다면 - 전적으로 험버트의 관점에서 - 2부는 파국을 맞이한다. 모든 관점은 롤리타를 바라보는 험버트의 관점이다. 험버트는 롤리타를 가지려고 했고 갖지 못했지만 그가 행복하기를 바랬다. 그를 불행하게 만든 인간에게는 철저하게 복수를 하는데, 평생 지켜보며 복수했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싶다. 분명히 스스로 사회적인 지탄을 받을 것이라 알고 있지만 자신의 사랑을 멈추지 못하고 더욱 더욱 빠져든다. 금지된 사랑의 달콤함이라는 늪에 빠져 나오려고 하지도 않고 점점 빠져가는 자신을 끝까지 인정하고 나올 생각조차도 하지 않는다.
Lolita and Humbert adversity one part (?) Scored for overcoming love the - entirely from the perspective of Humbert - welcome to the second part catastrophe. Humbert and Lolita to look at all aspects of the perspective. Things are going to Lolita and Humbert did not have wished him to be happy. Unfortunately he had thoroughly made ​​revenge a human lifetime, like watching multiple Maybe it should have been. Would be clearly aware of their own social condemned to stop, but not his love indulge more and more. The sweetness of forbidden love that does not try to get out of the swamp to go out more and come out of his thought, even to the end, and I do not recognize.

분명히, 롤리타는 문제적 작품이다. 롤리타의 나이로 인해 벌어지는 사회적인 관념이다. 나이를 제외한다면 한 남자가 한 여자를 애절하게 사랑하는 이야기다. 문학작품이라는 표피를 쓰게 된 것은 단순히 통속적인 이야기에 치중한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묘사와 내면의 변화를 자세하게 보여주고 심경을 공감할 수 있게 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걸 근거로 아동 성적 학대와 결부시켜 합리화하는 놈들은 나오지 말았으면 한다. 험버트가 분명히 이상한 놈이라는 것은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남성이라는 동물의 속성과 진화론적인 본능은 인정하다고 해도.
Obviously, Lolita is a problematic work. Due to the age of Lolita is going social stereotypes. Aside from age, a man who loves a woman with sad story. The epidermis to write literature that is simply a vulgar story, rather than focus on inner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the mind to relate changes in detail can be shown that wrote it. However, based on this coupled with the rationalization that child sexual abuse does not want the guys. Weird Humbert is clearly not we have to admit that? Men's properties and evolutionary instinct that animals that are even recognition.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

  10배도 아닌 100배 오르는 주식이 있을까. 분명히 있다. 근데 보통 사람들은 10배 정도 이야기를 많이 한다. 100배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보질 못했다. 10배도 일반인이 달성하기 거의 불가능한 수익률이다. 대부분 2~3배만 수익이 나도 즐거워서 함박 웃음을 짓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0배도 아닌 100배는 다소 불가능하게 여겨진다. 또한 100배는 뭔가 터무니 없고 실현 가능성조차도 없는 수익률처럼 느껴진다. 제목에 100배가 들어가니 가능하다는 뜻이다. 10배는 1년 내에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극히 드물지만 아주 가끔 가능하다. 이건 경우는 일반적인 기업은 아니다. 기업 실적보다는 테마가 더 중요하다. 당시에 맞는 테마를 타는 데 기업이 어느 정도 실적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당장 실적이 좋지 못해도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있어야 한다. 당장은 마이너스가 되더라도 향후 몇 년 내에 지금보다 실적이 최소 몇 배는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줘야한다. 그럴 때 짧은 시간에 2~3배 주가가 상승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도 대체적으로 몇 년 안에 10배가 된다는 뜻이다. 절대로 100배는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주가가 100배가 되려면 단기간으로 불가능하다. 주식을 하는 사람마다 단기와 장기 개념은 다를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1년만 넘어가도 장기일 수 있다. 그 정도로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게 드물다는 뜻이 된다. 내 경우에는 10년 정도 보유한 기업은 있었다. <100배 주식 불변의 법칙>은 100배가 될 기업을 소개한다. 기업을 소개하는 게 아닌 투자를 알려준다. 제목에 혹해서 책을 읽게 되는데 알려주는 방법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무조건 장기투자다. 아까 5년이라는 시간을 말했지만 책에서는 말하는 기간은 그보다...

돈의 권력

  돈에 대해서는 참으로 할 말이 많다. 누구나 할 말이 많다. 직접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돈으로도 할 말이 많다. 누구나 돈을 필요로 한다. 다들 돈이 많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어느 누구도 적은 돈이 좋다는 사람은 없다. 예외 없는 법칙은 없으니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할테다. 그래도 물어보면 돈이 있으면 좋다고 하지 않을까. 그만큼 돈이라는 건 요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다수 사람에게는 기승전 돈이지 않을까한다. 어떤 걸 선택해도 그게 돈이 되느냐가 핵심이다. 직업도 마찬가지다. 큰 돈이 되면 직업이 어떤 것이든지 별로 개의치 않는 세상이다. 오히려 대단하다고 생각을 할 정도다. 돈은 최근에 생긴 제도처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주 오래 되었다. 아주 예전에는 물물교환으로 했다고 하지만 그건 아주 짧았다. 어떤 형태로든 돈이라는 걸 통해 사람들은 경제활동을 했다. 과연 그 돈은 무엇인지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 <돈의 권력>이다. 돈은 분명히 권력이다. 그걸 부정할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끔 엄청난 돈의 유혹을 물리치는 사람을 박수치며 칭찬하는 이유다. 현대 사회에서 그 어떤 것보다 강력학 권력을 갖고 있는 게 돈이다. 여러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도 돈에는 망설이게 된다. 나는 돈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도 액수의 차이일 뿐이다. 액수가 올라가면 저절로 흔들린다. 액수가 작아서 양심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돈은 단순히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서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돈이 어떤 식으로 돌아가는 지 책에서는 알려준다. 책을 읽을 때 흥미로운데 막상 이걸 글로 쓰려면 막막할 때가 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