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인페르노 2 - 인구(Inferno - population)


1편을 볼 때 색다르거나 흥미진지하게 빠져드는 맛은 적었다. 2편이 좀 더 책에 빠져 들 수 있게 만들어준다. 여전히 밋밋하고 본격적인 추리소설에 비하면 약하다 할 수 있지만 댄 브라운의 강점은 바로 좋게 표현하면 인문을 결합했다는 것이다. 책의 배경이 피렌체라 피렌체에 대한 소개와 그 곳에서 유명한 각종 작품과 인물들에 대한 소개가 자연스럽게 소설에 녹아들어 읽으면서 미술소개 책이 아님에도 풍부한 상식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When you see one side seriously unusual or interesting flavors are less addictive. Out in two shifts can be further makes the book. Still flat and weak in comparison to a full-fledged detective story, but Dan Brown is a very good representation of the strengths that will combine the humanities. The background of the book An Introduction to Florence Florence and the place where the famous figures in various works and an introduction to naturally introduces a novel blend art book and not reading it that the rich will get common sense.

재미있거나 특이하게도 여타의 책들이 이 소설에 나온 것은 가공이라고 밝히는데 반해 '인페르노'는 이 책에 나온 내용들이 모두 진짜라고 한다. 예술, 문학작품, 과학, 역사가 진짜라고 하니 더욱 설득력을 갖고 있지만 기본적인 내용의 구성자체가 가공이라 딱히 피부에 와 닿지는 않는다. 모든 것이 다 소설이라는 생각으로 읽게 된다.
Funny or unusual in other books that came out this novel reveal that while the process is called 'Inferno' is listed in the contents of this book are all referred to the real. Art, literature, science, history, I really do have more persuasive, but the basic contents of the configuration process itself does not touch the skin and no apparent means. The idea of all is to read the novel.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는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현실이지만 아직까지 인간은 잘 헤쳐나가고 있다. 과거에는 흑사병과 같은 큰 질병이나 지진, 화산과 같은 재앙으로 일정 이상의 인구가 늘어나지 않았지만 문명의 발달로 인간의 죽음은 과거와 같이 흔해지지(??) 않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인류의 증가속도는 엄청늘어나게 되었다.
Exponentially growing population that has so far not experienced the reality of mankind, but men are still going to get through well. In the past, plague or disease, such as large earthquakes, volcanic disasters, such as the population increased, but above a certain level in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n the past, such as the death of a human not commonplace (?) Was not. For this reason, the human race was an increased rate of increase is huge.

지구를 살리고 인류가 인구폭발로 망하지 않으려면 인위적으로 인구조절을 해야겠다는 과학자와 이를 막으려는 랭던을 위시한 편의 싸움이 벌어지는 내용인데 2편부터는 내편과 네편이 없이 모두 함께 같은 편이 되어 인류를 재앙으로 몰고 갈 흑사병의 인위적인 전파와 창궐을 막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그린다.
Make use of the earth as mankind has brought down the population explosion population control ought to want to artificially prevent the scientists and this fight is going Langdon wisihan convenience it about two pieces together without starting my side and your side is the same side of humanity driven disaster the Black Death epidemic to go in order to prevent the artificial propagation and the process of trying to draw.

중간 중간 독자들이 착각과 오해를 하기 위한 여러가지 장치를 마련하는데 기발하거나 허를 찌르는 장치는 아니다. 내가 오독을 한 것인지는 몰라도 -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다시 앞으로 가 읽기는 귀찮아서 - 분명히 2명의 의심나는 인물을 혼돈하기 위한 장치에서 주어가 분명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렇다면 뒷부분의 내용전개가 말이 안된다고 생각되는데 읽고 이해하는데 큰 지장은 없어 넘어갔다.
Middle middle readers illusions and misleading to provide a variety of ingenious devices or devices are not taken aback. I do not know geotinjineun misread that one - the next question is read in order to eliminate a troublesome back - apparently people confuse the two devices for doubt is clear that given a thought in the back of the writing, so I'm not making any sense, which is to read and understand has not gone beyond big trouble.

책을 읽으면서 내용이 재미있고 흥미로워서 다음 내용이 궁금해서 읽기보다는 책의 배경이 되는 피렌체와 소개되는 여러 장소들과 그 곳의 작품들에 더 눈이 가고 상상이 되면서 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직접 현장에 가서 눈으로 보면 어떤 느낌일까하는 감정이 책을 읽으며 더 컸다. 그렇게 보면, 그런 것만으로도 책을 읽은 보람은 있었다고 할까?
Read the contents of the book fascinating, funny and curious then read the contents of the Florence and the background of the book, rather than being introduced in several places in the work place and the more noticeable as the report is going to want to imagine the thought. Eyes of the field to go directly whether the emotions you feel while reading this book was greater. And in that regard, I just had to do is read a book is worth?

인류를 재앙으로 몰고 올 장치를 찾는데 있어 못 찾게 하는 일련의 장치들을 하나씩 해결하고 서로간의 반목이 나오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장소가 소개되고 작품들을 알려주는 과정에서 하나씩 접근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인데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인기와 사랑을 받을지는 몰라도 유럽 추리소설쪽이 훨씬 짜임새있고 재미있다.
Plague mankind find driving come I can not find the device one by one to solve a series of devices comes mutual antagonism has been introduced in the process works in a variety of places in the process of informing the process of approaching the green one novel's world love to get more popular and knowing which side of Europe is much mystery and interesting texture.

뒤로 갈수록 약간씩 힘이 떨어지는 느낌도 들었지만 무엇보다 결말 부분에 특별한 반전도 없고 결과를 풀어내는 과정이 흥미롭지는 않았다. 더구나, 수습하는 과정이 설득력이 다소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다. 기껏, 쫘아악 펼쳐놓고서는 주워담지 못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아님, 최근에 읽은 소설들에 비해 너무 말랑말랑하다보니 그런 인상을 받았는지도 모르겠다.
Getting back feel slightly less power than what is heard no end portion of the special invert to release the results did not give interesting process. Moreover, the process of convergence is somewhat less convincing was the feeling. At best, the pick up jjwa notgoseo spread AAH had not felt supported. Or, novels read recently saw it too fluffy not even know that you have received such an impression.

킬링타임용으로 가볍게 읽을만 한데 2권으로 나눠져 있어 꽤 긴 킬링타임용으로 읽어야 할 듯 하다.
Killing time for light reading, but divided into two but it should be read for quite a long time seems to be killing.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