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13의 게시물 표시

기브 앤 테이크 - 주는 것이 남는 것(give and take - Will be left to give)

이미지
"그렇게 퍼 줘서 남는 게 있어요?" 장사가 잘 되는 대박집 음식 장사를 보면 이렇게 마구 주는 업소들이 있다. 일단, 맛을 떠나 푸짐하게 한 상 차려준다는 인상이 강하다. 이럴 때 약간 맛이 없다고 해도 배불리 먹는 포만감에 만족을 느낀다. 실제로 맛의 차이는 정말로 형편없지 않다면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단지 푸짐하게 주는 것만으로도 손님들에게는 다시 오고 싶은 업소로 느껴진다. "There's something so memorable for being spread?" Food business is a good business look big hit home so there are businesses that harness. One, leaving the taste varied to give the award to raise up strong. Even if you do not want to do this a little taste of the filling on a full stomach feel satisfied. In fact, the difference in taste is really bad because it does not make a big difference if eopji only be varied by simply giving guests feel as businesses want to come back to. 장사가 잘 안되는 가게들을 보면 대체로 참으로 인색하고 야박한 경우가 많다. 뭘 달라고 해도 생색내고 서비스마저 손님들이 부담을 느끼게 만든다. 정작, 본인들이 왜 장사가 안 되는지 이유를 따지지도 않고 손님 없는 것을 한탄하는 경우를 본다. 어떤 대박집은 엄청 싸게 팔면서도 양을 푸짐하게 준다. 적게 팔아서는 이익이 남지 않지만 하루에 엄청나게 많이 팔기 때문에 이익을 볼 수 있다고 한다. See all shops should not a good b

립잇업 - 가정원칙(Rip it up - As if)

이미지
"어떤 성격을 원하다면 이미 그런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처럼 행동하라" 윌리엄 제임스, 철학자, 1884년 "If any one character that already has the character and act like a man" William James, philosopher, 1884 '립잇업'은 바로 이 문구로부터 시작한다. 이 문구는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이자 전부이자 모든 것이다. 실제로 저 문구만 제대로 기억하고 실천한다면 이 책은 더이상 읽을 필요가 없다. 그렇게 본다면 참으로 대단한 책이다. 단지, 저 문구 하나를 증명하고 알려주기 위해 300페이지나 되는 분량을 채워나갔다는 사실이 말이다. 'Lip iteop' begins with the phrase immediately. This phrase running through this book, and all the heart and all there is to it. In fact, that phrase and practice, but if you remember correctly there is no need to read the book anymore. Bondamyeon that is indeed a great book. But it proves me one phrase to indicate that the quantity filled 300 pages and the fact that went said. 많은 동기부여 책들이 한결같이 하는 이야기는 '생각대로 된다' 이다.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간절히 원하면 이뤄진다. 이런 내용이 가득하다. 흔히 말해서 믿음은 보이지 않는 것의 실상이라는 표현처럼 이런 것들은 믿음의 영역이라 어떤 말을 해도 이미 믿음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내 편이 아니면 적일 뿐이다. Many motivatio

김광진의 지키는 투자 - 상대가치투자(Keep investing in gimgwangjin - Relative Value Investment)

이미지
더 이상 말이 필요없을 정도로 더 클래식의 '마법의 성'은 거의 온 국민이 알고 있는 노래이다. 그 외에도 괜찮은 노래가 참 많다. 그런 더 클래식의 김광진은 어느날 대중의 눈 앞에서 사라졌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기억에서 사라졌을 때 금융쪽에서 그 이름이 다시 나오기 시작했다. You do not need to say anymore so no classic 'Magic Castle' is a song that is almost all the people you know. In addition, many good songs indeed. Then one day, more classic gimgwangjin vanished before the eyes of the public. Almost everyone is gone from the financial side, remember that name again began to. 틈틈히 이름을 들으면서 특이하다고 생각했는데 동부자산운용사에서 '더 클래식'이라는 명칭으로 펀드가 출시되었고 몇 년 후에는 이 펀드들이 높은 수익률을 올리면서 다시 조명을 받기까지 했고 오디션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더 클래식의 노래들이 불려지며 다시 또 이름이 나오게 되었다.  I thought the name was listening teumteumhi specific asset management in the eastern 'The Classic' under the name of the fund was launched a few years later, a high return on the fund raising and audition to receive a back-lit two more classic songs naohmyeonseo has come out again and is termed the name. 사실, 금융계에서 이름이 나오는

와일드 - 자아찾기(wild - Find self)

이미지
'이 이야기는 실화를 바탕으로 아직도 그 진실은 사라지지 않았다' 대충 이런 식으로 영화가 시작되면 사람들은 더 집중을 하고 영화를 보는내내 '이게 정말이야?'하면서 보고 있는 화면이 상상이 아닌 바로 내 주변에서 벌어진 사건이라는 것에 긴장하고 시선을 돌리지 못한다.  "This story is based on a true story, the truth still has not gone away" when the movie starts roughly in this way more people over to watch a movie and focus 'is this really?' While watching the screen, not just my imagination events that took place around the eyes to relax and do not turn. '와일드'는 바로 그런 종류의 책이다. 책은 진실이고 직접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된 책이다. 그것도 자신의 내밀한 부분을 하나도 숨김없이 전부 밝힌 책이다. 남들에게 자신을 알릴 때 자기보호본능에 의해 어느 정도는 거를 것은 거르고 알려주기 마련인데 이 책에서 저자인 셰릴 스트레이드는 남김없이 전부 보여준다. 자신의 생활과 생각과 행동을. 'Wild' is a book that kind of right. Direct experience in the book is true and one is a book based on what is configured. Any part of it without hiding their confidential all said book. Others to inform their own self-protection when going by instinct, to some extent, to inform the filtering i

100% 가치투자 - 지루한(Value investing - Boring)

이미지
이 세상에 가치가 없는 것이 있을까? 모든 사물은 나름의 가치가 있다. 무가치한 것들은 없다고 보는 편이 맞다. 가치가 있는 것과 가치가 없는 것을 비교할 때 가치가 없는 것들에 사람들은 관심을 갖지 않는다. 세상에 해악을 끼치거나 선의를 베풀거나 그저 존재 자체만 있는 것들이 있겠지만 인정하지 않더라도 가치는 있다. I wonder what this world is not worth? All things are worthy of its own. Naught see things that are right side. Value when compared to the one that is not worth the value of things people do not do not care. Harm or harm to the world or just bring forth good faith in the existence of things, but even if you do not recognize, but it is worth. 그런데, 가치투자라는 말이 있다. 가치에 투자를 한다는 것이다. 가치는 편파적인 의미를 지닌다. 똑같은 사물을 갖고 누구에는 가치를 지니고 누구에게는 가치가 없다. 가치를 느끼는 사람들은 필요로 할 것이고 가치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가치투자는 어렵게 느껴진다.  However, the word is worth the investment. Value investing is that. Prejudicial value has meaning. To have the same things to anyone who has a value not worth. People need to feel the value will be people who do not feel the value will not be needed. In this regard, the harder feel worthwh

어떻게 살 것인가 - 나는요(I will live - I'm)

이미지
어떻게 살 것인가? I will live? 누군가 나에게 어떻게 살고 있느냐고 묻는다면 무척 행복하게 살고 있다고 이야기는 못하겠지만 불행하지도 않게 살고 있다고 이야기할 것 같다.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삶을 즐기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만족이라는 의미는 관념적이고 감정적이고 주관적이다. 누가 나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를 바라볼 때 느끼는 감정이다.  If someone asks me how to live very happy lives itneunyago story that does not even live in misery, but that does seem to be a story. Generally enjoying the satisfying life that can talk. The notion of meaning and emotional satisfaction is subjective. Who told me that when you're looking at me, but I feel is emotion. 그렇다면, 내가 삶을 만족하고 있느냐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할 때 고개를 끄덕이지는 못한다. 아이러니한 대답이다.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삶을 즐기고 있다고 하면서 만족하느냐는 스스로의 질문에는 고개를 갸웃하니 말이다. 사정은 이렇다. 금전적으로 여유롭지 못하다. 여유롭기는 커녕 그 반대로 많은 부분에 있어 쪼달리고 있다. 단, 그 부분이외에는 아무런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삶을 현재 살고 있다. If so, I'm satisfied with the life and ask yourself is whether you also do not nod when. The irony is the answer. That in general, while enjoying the satisfying life do you enjoy the puzzled question, do you own said.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