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송사무장의 실전경매(개정증보판) - 새롭다(Song of the Provost auction practic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 n)ew



 솔직히 책의 저자인 송사무장이 이 책을 선물하지 않았다면 읽지 않았을 것이다. 새롭게 개정판이 나왔다는 것은 알고 있었고 서점에서 얼핏 보고 말았다. 이미 개정 전 책을 갖고 있어 사실 개정판이 얼마나 새로운 내용이 실려 있을까에 대한 생각이 있었다. 흔히 개정판이라고 하여 나온 책들을 보면 그다지 대단한 내용이 실려있지는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이유다.
 To be honest, the author of the book Song purser would not have read this book did not present. I knew that a new edition came out and fell at first glance in the bookstore. Revisions have already pre-revised book, in fact you could think about was how much new content is published. That's why I knew that great content does not appear very often when the book came out revision.

확실히 기존 책보다는 조금 더 커지고 두꺼워 졌다는 느낌은 들었지만 어느 정도 새로운 분량이 추가되었는지는 모르지만 특별히 새로운 내용이 실려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은 상태에서 책을 읽게 되었는데 완전히 새로운 책을 읽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기억력이 정말로 대단히 좋은 편은 아니지만 신기하게도 어느 정도 책을 읽다보면 기억나는 편인데 이 책은 초반 100페이지 정도까지는 읽어 알고 있던 내용이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는 판단이 들 정도였다.
 You feel a little bit bigger and thicker than the existing book jyeotdaneun definitely heard the new quantity has been added, to some extent, but I felt that reading a book was read the book did not feel particularly new content will be carried entirely new. Really great memory, but If you read the book somewhat mysteriously, I remember one of the best things I knew read the judgment did not contain any extent, the early 100 pages this book was about.

기존 책은 어딘지 무림 비급같은 뉘앙스를 풍기기는 하지만 디자인이 좀 세련되지 못했는데 이번 개정판은 산뜻하게 디자인이 나왔다. 내용도 기존 책보다 대략 50페이지 정도가 더 실려 있어 그만큼 정성을 실었다는 느낌이 든다. 실례로 몇 몇 부분만 보강해서 내용을 더 실은 것이 아니라 책 내용 중간 중간마다 송사무장의 '공매의 기술'을 언급하기도 하고 그 후 이야기도 실려있어 말로만 개정증보판이 아니라 새롭게 책을 출간했다고 생각될 정도였다.
 The refreshing design The existing book punggigi nuances such an where RCS Moorim,, but this design is a little inelegant mothaetneunde revision came out. Feels about page 50, it carried more than a conventional book also had much room for qualitative For instance, only some parts auction technology stewards' Song fact every book contents middle, and reinforcement and also carried the story after that, be considered verbal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has published a new book, sometimes referred. , respectively.

또한, 지난 책보다 내용을 읽는데 지장없게 편집이 되어 있어 가독성이 높혔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유치권은 이제 역사의 뒷안길로 사라질 가능성이 크지만 이 책에서는 유치권에 대한 많은 판례와 실전사례가 실려있다. 유치권으로 어쩌구 저쩌구하는 책보다 훨씬 더 많은 내용이 실려있어 유치권 공부와 실전 사례에 대해 이 책만큼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풍부한 이야기가 실려 있는 책은 없을 듯 싶다.
 Thought a readability nophyeotda, is to read the contents of the book than last edit without hindrance. Are listed, even though the lien is now likely to disappear into the depth of the rear of the history of this large lien cases and practical examples in this book. I thought it was a book not carried much more than a book, blah, blah, blah lien liens studies and practical examples for this book as much detailed and rich story specifically listed.

 책을 읽으며여전히 새롭다는 것은 내 실력이 늘지 않았다는 뜻도 되지만 시간이 꽤 지나는데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다양한 사례와 판례는 지금 시점에도 유효하고 적용할 수 있다는 걸 말한다. 책을 읽다보니 분명히 읽었던 내용이 기억나는 것도 제법 많았다. 이미 읽었고 어지간해서는 1번 이상의 책을 읽지 않는 내가 2번이나 읽었으니 그만큼 더욱 내용이 머리속에 남아있을텐데도 신기한 것은 내용의 많은 부분이 새롭게 다가왔다는 것이다.
 Read the book, but it also means gaining my skills are still a new thing, even though quite a bit of time passed, and now, the point is valid and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xamples and precedents that are mentioned in this book, despite what you say. I remember clearly read, I read the book, are also quite common. Unusual thing I've read twice I already read do not read books more than once per not eojigan the much more content in my head'd left a large part of the contents of this we will make a new.

아직까지 읽지 않은 사람들은 예전 책보다 이 책을 읽으면 당연히 도움이 될 것이지만 이미 읽은 사람들도 이 책을 읽으면 또 다시 새로울 것이라 판단이 든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출간된 후에 읽은 상태라 내가 지금 이렇게 읽고 나서 서평을 올리는 것은 많이 늦은 감은 분명히 있지만 말이다.
 The costs judgment than those who do not yet read the book previously read this book, but of course that will help people who've already read this book you read again and again that is new. Raise now, after reading this book review I read, a lot of people already published much, although obviously the late wrapped.

유치권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부동산 경매의 실전사례들이 이책에는 담겨있다. 단순한 사례뿐만 아니라 그에 부합하는 이론적인 부분과 판례까지 나와 있어 실전사례를 알고 싶어하는 사람이나 실전사례에 해당하는 이론에 대해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여러모로 도움이 되는 책이다.
 But spent a large part to a lien, the book contains practical examples as well as a variety of real estate auctions. For those who wish to study for anyone who wants to know the practical examples, and practical examples that correspond to the theory, as well as a simple example is shown corresponding to the theoretical part and the precedents in many ways is a book that will help.

더구나, 친절하게 저자가 직접 상대방에게 보낸 내용증명이나 소장까지도 자세하게 나와 있어 혹, 부동산 경매를 하면서 관련 서류나 필요한 내용을 참고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보면서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다. 예전에도 이 점이 장점 중에 하나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개정판을 보니 더 자세하고 많은 사례와 서류내용이 공개되어 있는 것 같이 느껴진다.
 Moreover, the author sent directly to the person proving or even the small intestine is shown in more detail kindly those who wish to refer to the contents of the required documents, real estate auction, you watching can be applied. Even before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this point, I thought that this revision to feel like many more examples and documents that are open to the public.

다만, 이 책을 읽으면 나도 어서 빨리 부동산 경매를 하고 싶다는 조급함이나 조바심에 빠지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된다. 그만큼 읽으면서 아~~ 나도 해 보고 싶다는 마음이 동하게 된다. 이 책을 읽은 모든 사람이 그런 마음이 드는 것은 아닐지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 읽는다면 그렇게 되지 않을까 싶다. 
 Is concerned, however, that reading this book, I want to do real estate auctions come soon fall into impatience and impatience. The mind will move it as you read much ah ~ ~ I want to see. If you're reading this who are interested, though not such a mind is not perfect for everyone to read this book not think so.


저자의 다른책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