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안트러리더십 - 위임하라(EntreLeadership - Delegation)



데이브 램지는 재무설계분야에서 개인들을 상대로 본인이 혼자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다소 뜬금없다는 생각을 했었다. 막상 책을 읽어보니 본인 혼자서 고객들을 상대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은 기업의 형태로 수 많은 사람들을 고용하여 재무설계 회사를 만들어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런 만큼 이 책의 내용은 단순히 이상적인 리더십에 대해 이론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본인이 직접 기업을 운영하며 겪은 내용을 바탕으로 펴 낸 책이였다.
 Dave Ramsey was thinking that I alone against individuals in the areas of financial planning. In that sense, this book had the idea that rather suddenly. Okay, I read the book, rather than on your own against customers, now became aware of the fact that companies hire a lot of people can be in the form of a financial planning company, operating businesses and As such, the book, which stretched the content yourself suffered operating companies,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this book, but the story is just about ideal leadership theoretical respectively.

리더십이라는 것은 어느 곳에서나 필요로 하다. 부모가 되어서도 필요하고 직장에서 년차가 쌓일수록 필요하고 단체에서도 필요하고 여러 곳에서 리더십은 나도 필요하고 너도 필요하다. 내가 위로 갈수록 더더욱 리더십을 통해 사람들과 잘 교감하고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밑에서 윗 사람들의 리더십을 통해 내가 살수도 죽을 수도 있다.
 Need anywhere in the leadership. The leadership required in organizations need to be a parent and at work, need to accumulate year, and in many places, you and I need to be needed. I am more and more upward leadership rapport and communicate well with people is important. In addition, under the leadership of the heads I live, you could die.

내가 리더라는 지위를 얻게 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누군가의 리더가 되고 누군가의 부하가 되기도 한다. 까놓고 이야기해서 누군가 밑에 있을 때는 눈치를 잘 보면서 처신을 하면 되지만 누군가의 리더가 된다면 완전히 다른 상황에 놓인다. 자연스럽게 자기보다 위에 있는 리더를 보고 습득하는 것이 좋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처럼 보고 배울 수 있는 리더가 없을 수도 있다.
 Even if you do not, but I may get a position as a leader become a leader of someone to become someone's load. Suffice to say, when someone is under noticed well-behaved while, but if someone's leader, is set in a completely different situation. Than himself above the reader naturally to acquire, but the reader may not be as at the world we live in is not that you can see and learn.

이럴 때 이책은 도움이 될 것이라 보인다. 책은 단순하게 리더가 해야 할 행동이나 마음가짐등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책은 아니다. 초반 3분의 1정도는 꼭 리더십책이 아니라 자기 관리책에 가까운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들의 재무설계를 하면서 인생코칭도 하는 저자의 경력답게 다양한 자기 관리책이나 자기계발서적들에서 나온 내용들로 채워져 있어 그 자체로도 읽을 가치가 있게 만들었다.
 Seems when this happens, this book would be helpful. The book is not only the behavior or attitude to be a leader for a book that the story simply. Early one-third consists of a leadership book, but close to a self-care book. Information derived from self-development books, and a variety of self-care book is filled with the author's career like a people's financial planning, life coaching, it made ​​a worthwhile read in its own right.

주저리 주저리 비슷하면서도 같은 말을 반복하는 자기 계발서적보다 차라리 짧고 굵게 필요한 내용만 핵심적으로 이야기하는 게 더 좋다는 느낌이 들었다. 최근에 그런 류의 책을 거의 읽지 않다보니 그런 면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냥 이론적인 면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 자신이 실제 경험했던 내용을 결부해서 알려주고 있어 저자 개인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저절로 이론과 접목이 되어 자기계발서적들에서 저자 자신이 아닌 타인의 이야기를 끌여들어 하는 것과 차별성을 가진다.
 The felt is better to repeat the same words while similar jujeori jujeori the key to talk to, but what you need short, bold rather than self-development books. Not read that kind of book recently saw, I think this would be that if. Children, for that was the author's own real-world experience coupled and tells the story of anyone other than the author's own self-development books, listening to the story of the author and is combined with the theory itself, rather than just talking about the theoretical side, differentiation has.

리더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주기 위해 구성되어 있어 책을 통해 배우게 되기도 하는데 책에서 계속 유명한 자기계발 저자들을 친구라고 언급하여 약간 거슬리기는 하지만 - 괜한 질투인지도 - 그 사람들의 내용을 함께 설명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어 이중으로 이야기를 듣는 맛도 조금 있다.
Said a friend of the author of the famous book, self-improvement may be learned through a book about what to do in order to be a good leader, what it means to be a leader is to tell a little jarring, but useless jealousexplaining the awareness of the people with their own stories and to hear the story of the double is a little taste.

이 책의 제목인 안트러 리더십은 Entrepreneur이라는 위험을 감수하는 사람이라는 뜻에 Leadership을 접목한 것이다. 단순하게 개인이 리더가 되어 생기는 여러 일들을 어떤 식으로 처신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걸 뛰어넘어 기업을 운영하는 것까지 설명을 해 준다. 한 기업의 리더가 되는 사람들이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읽어도 좋지만 새롭게 창업을 준비하고 이제 막 창업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살아 있는 도움이 된다.
 The Thrush leadership the title of this book should not incorporate means someone who is willing to take the risk of Entrepreneur Leadership. Beyond that, to the operating companies, as well as to talk about whether the individual reader simply to behave in any way caused by several things, gives a description. Live help for people to read, but their leadership of a company to become a leader people just starting to prepare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데이브 램지가 직접 재무설계를 하면서 사업이 혼자 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서 점점 회사를 키워야 하고 사람들을 채용하고 그들을 관리해야 하고 외부 업체와 작업을 해야 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지금과 같이 탄탄하고 안전된 회사를 이룩하기 까지의 과정이 각 이론에 맞게 소개되고 있어 단순히 그렇구나를 넘어 그런 과정을 거쳐 이러한 이론이 나왔고 회사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Dave Ramsey financial planning beyond the level of a business can do alone, more and more companies to develop and employ people, and to manage them through a variety of experiences while working with outside vendors, and the company has been strong and safe.it is learned simply through it over I see that this theory came out to help the company to achieve process has been introduced according to each theory.

이 책은 단순하게 리더십에 대해 소개하고 회사를 운영하며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사례를 소개할 뿐 만 아니라 안트러리더십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도 하고 있는 걸 책으로 엮었다. 처음에는 자신의 회사 사람들에게 교육을 하기 위해 시작했던 프로그램을 많은 사람들이 필요로 하고 소개도 하고 추천하면서 점점 외부사람이 유입되어 이제는 미국에서는 유명한 프로그램인가 보다. 일주일코스로 휴양지에서 하는 프로그램도 있다는 걸 보니 말이다.
 This book, as well as to introduce the various cases simply operating company leadership experience and education through a program called Leadership Mesh books yeokeotda. Own company first started the program to education to the people, while a lot of people need to introduce and recommend getting external inflows are now famous in the United States, the program must be applied. Week program in a resort course that looked.

리더십을 위한 프로그램도 있어 그를 바탕으로 책을 펴 낸 점은 좋았으나 너무 많은 부분을 다루고 있어 그 점은 좀 힘들었다. 리더십이라는 제목처럼 리더십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다루고 약간 부가적인 부분을 다루었으면 좋은데 너무 많은 부분을 다루다 보니 읽으면서 힘들다는 느낌이 들었다. 분명히 직접 기업을 운영하고 창업을 하게 되면 꼭 알아야 할 부분들로 채워져 있지만 너무 버라이어티하다보니 산만하다는 느낌도 들었다.
 Book which stretched him for leadership program dealing with the good, but too much and it was difficult at that point. Dealing with intensive leadership as leadership titled only dealt with a few additional parts, if good treat too much, I felt hard as you read. The variety so obviously filled with a part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ng companies you need to know, but I feel that the distractions heard

우리나라는 정에 약하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러다보니 기업에서는 오히려 문제가 여럿 생기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는 확실할 때는 확실해야 한다고 한다. 대부분 인턴제를 두어 90일 정도 채용을 하면서 여러 테스트를 거치고 직원으로 정식 채용을 하지만 아니다라고 판단이 될 때는 과감히 해고를 하는데 막연히 해고를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납득할 수 있게 최대한 존중하며 하면서도 기회를 몇 번 주지만 그 이상의 기회는 없다는 걸 모든 사원들이 알 수 있게 공평하게 하고 이익을 분배하는 것도 누구나 납득할 수 있게 한단다. 또한, 이익을 분배하는 것보다 확실한 월급이 더 중요하기에 그 점에 초점을 맞춘다고 한다.
 Our country is defined in the weak story. Should be sure that when you do that, but rather to the problem may also lead to several companies in this book to be sure. Most tested several staff put inteonje 90 days while adopting formal adoption, but that is not to judgment, then step forward and fired, laid off indefinitely, rather than a few times, but the opportunity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other side, but the utmost respect and more opportunity is something that all employees know and equitable distribution of the gains that I'm able to understand anyone.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profits than the obvious salary more important at that point to focus.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좋은 이야기와 리더십을 위한 좋은 말들이 많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책에서 말한 바로는 위에서 일을 해야 한다는 뜻으로 위임을 하라는 말이 가장 평소에 생각한 것과 비슷하다. 리더의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이 속한 팀을 밑고 그들에게 명확하게 할 일을 위임하고 그들이 해야만 하는 같은 비전과 목표를 갖고 간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본다. 바로 그점이 바로 자신의 팀과 기업을 일으켜 세우는 원동력이자 모든 것이다. 개인이 아무리 잘나도 모든 것을 할 수 없고 모든 것을 알 수 없다. 그러기에 위임은 내 생각에 가장 중요한 리더십의 핵심이라 본다.
 I say in the book by several good story and a good horse for leadership but to the companies personally think is most important to tell you means that you need to work on the delegation is similar to the usual thought.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lead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delegation to clarify them mitgo, and his team going to have the same vision and goals that they have to. That companies build up his team and the driving force. Individuals, no matter how well I can do everything and you can not know everything. Most important, in my opinion, the delegation geureogie is the core of leadership.

최강의 팀을 탄생시킨 안트러리더십은 상당히 두꺼운 부피를 자랑하고 내용도 꽤 방대하다. 리더로써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는 사람들이나 미리 준비하기 위한 사람들을 위해 좋기도 하지만 새롭게 창업을 하거나 기업을 운영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읽으면 소소하면서도 세밀한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마찬가지로 좋지 않을까 싶다.
Thrush was not born the strongest team leadership and has a fairly thick volume, the content is also quite large. Advance or people who do not know what to do as a leader, but also good for the people to prepare for, or starting a new business owner, while struggling to people you read, Soso and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a number of very good as think.
관련 책들(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