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14의 게시물 표시

울보멘토 야생화의 경매이야기 - 배려와 섬김(Auctions story of crybaby mentor wildflowers - Care and served)

이미지
부동산 경매 시장에는 무척이나 다양한 투자자들이 존재한다. 수면 위로 노출된 투자자도 있고 수면 밑에서 조용히 이익만 취하는 투자자도 있다. 대부분 수면위로 노출되는 투자자들은 책을 펴내거나 인터넷에서 여러 글을 올려 유명해지는 경우다. 책이나 글에서 표현된 투자 방법과 수익이 사실인가의 여부는 논외로 치고 그렇게 유명해지면서 사람들의 주목을 받으며 인기를 얻게된다. Very much in the real estate auction market, there are various investors. Investors are exposed above the surface, and it takes only benefit investors quietly beneath the surface. If the book is pyeonae or multiple posts to be put up on the Internet the most famous investor is exposed above the surface. In fact, in a book or article expressed how investment income and whether the hit is the famous As a aside that receives the attention of the people to gain popularity. 수면 밑에 있는 투자자까지 거론하기는 힘들지만 노출된 투자자중에는 오래도록 그 자리에 머물며 투자를 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경매로 일정 수익을 본 후에 자신의 갈 길을 가는 경우도 있고 명성과 인기와 달리 경매로 돈을 벌지 못해 낙오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다 떠나 오랜 시간동안 꾸준히 경매를 업으로 삼아 여전히 투자하고 있다면 그 사람의 실력여부를 떠나 - 특수물건을 하든 말든 - 대단한 사람이라고 인정해야 한다. Some investors who are long the exposure is hard to stay in pla

인문학 편지 - 받아 읽었어요(Humanities letter - I have read receiving)

이미지
인문이란 인간에 대한 학문이다. 인간에 대한 모든 것을 말한다. 인간과 관련되어 있는 모든 것을 말한다. 단순히 특정한 무엇이 인문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인문에서 가장 쉽게 떠올리는 철학, 역사, 문학이 대표적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것들이 전부 인문이라 생각한다. 과학은 왜 인문이 아닌가. 과학 자체가 인간들이 발전시킨 것이 아닌가. 인간에게서 과학이 발전했다. 동물과 식물등에 대한 연구도 전부 이를 바탕으로 인간에게 이로운 쪽으로 발전시킨다. 도대체, 인간과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이 지구상에 있을까? The study of the humanities is human. Refers to all human beings. Means anything that is related to human. I think that is what is specific to the story as simply wrong Humanities. Easily recall the humanities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called representatively, but in addition to all the various things I think humanities. Why not a science, humanities. Is not science itself has evolved humans. Developed from the human sciences. The side benefit to human development is also based on this study for all animals and plants, etc.. What the hell, what on earth it is not related to humans? 예전에는 인문이라는 개념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자연스럽게 익히는 학문이 대부분 지금 우리가 인문이라고 부르는 학문이었으니 말이다. 현대에 들어서 인문이라고 할 때 가장 먼저

최고의 글쓰기 연습법, 베껴쓰기 - 필사(Yeonseupbeop best writing, copy writing - the mortal)

이미지
국내에 글쓰기를 가르치는 사람과 책쓰기를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중에 가장 오래되고 전문성으로 교육하는 사람중에 한 명이 '최고의 글쓰기 연습법, 베껴쓰기'의 저자 송숙희씨다. 관련되어 있는 책도 많다. 글쓰기에 대해 알려주는 책들도 있고 블로그 글쓰기를 알려주는 책, 직업에 따라 쓰는 요령을 알려주는 책, 글쓰기란 생각하기라는 것을 알려주는 책 등등. 글과 관련되어 있는 책들중에는 가장 많은 책을 저술한 저자다.  Songsukhui ssida author of a people 'yeonseupbeop best writing, copy writing' the people who teach and write books to teach writing to local people, which of them is the oldest and training expertise. There are many books that are related. Will also inform about writing books and writing book tells the blog, tell your tips and write books according to occupation, indicating that writing is a book to think so. The book, written by the author during the most relevant articles and books that are. 독서에 관한 책을 저술한 저자들은 많지만 이처럼 글쓰기와 관련된 책을 많이 쓴 저자는 송숙희씨가 가장 으뜸이다. 심지어 자신과 아들이 함께 블로그에 쓴 글을 책으로 펴내기도 할 정도이다. 글쓰기 코치에 책쓰기 코치로 많은 사람들을 저자로 데뷔시키기도 했다. 몇 년 전에 우연히 저자의 책을 서점에서 발견하고는 블로그와 카페에도 가입하여 꾸준히 보고 있는데 글쓰기와 관련되어 좋은 글을 항상 알려주는 점도 도움이 된다. The

글쓰기 클리닉 - 글을 쓴다는 거(Writing Clinic - he writes an article)

이미지
글쓰기에 대해 어려워하는 사람이 많다. 운 좋게도 나는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은 없었다. 꾸준히 일기를 쓰고 있었고 리뷰를 쓰면서 글을 쓴다는 생각을 해 본적이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글을 쓰게 되었을 뿐이다. 그러다보니 글을 쓴다는 것이 아직까지는 머리 아픈 고통도 아니고 억지로 할 수 밖에 없는 의무행위도 아니다. 글을 쓰다보니 잘 쓰는지 여부를 떠나 썼고 - 겁대가리 없이 - 책까지 펴 냈을 뿐이다. Difficult for many people to writing. Luckily, I had the fear of writing. I was constantly thinking about it and write a diary writing a review you wrote the article not only be seen casually write an article. Then I also headache pain is not only not a mandatory action that can not yet be forced writes the Post. I stroked wrote an article well spend away whether-nd only stretched to book - without fear head. 나같은 경우는 운 좋은 케이스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의외로 사람들은 글을 쓰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어려워한다. 가장 큰 이유는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해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누군가 내 글을 읽고 평할 것이라는 생각도 어느 정도는 감안해서 스스로 더 잘 쓰고 싶다는 마음도 있어 그럴 것이다. 어린 아이가 처음 기억자를 써도 기뻐하고 놀라워하는 것처럼 글을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어려워말고 일단 쓰면 된다. If you are like me, surprisingly the case I do not know what to say lucky people have a fear of writing difficu

내일 - 오늘의 증거(Tomorrow - Today's evidence)

이미지
기욤 뮈소의 책을 다 읽었다. 기욤 뮈소가 우리나라에 소개된 후에 전작들까지 한꺼번에 쏟아질 때 예전 작품과 그 해에 출간된 작품까지 전부 읽었다. 실용서적만 열심히 읽다 소설을 읽자며 막 이런 저런 소설을 읽게 되었을 때 우연히 지인이 기욤 뮈소의 책을 읽고 있어 함께 읽었다. 그 지인이 신간이 나오면 항상 구입하기에 덕분에 항상 읽었다. 스피드한 진행과 헐리우드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 기욤 뮈소의 가장 큰 장점이었다. I read the book and Guillaume Thierry cattle. I read all the previous work and to the work published in the year when they were introduced in the country at once poured from the previous game after Guillaume mwiso. Let's read the novel, but practical reading books hard cow Guillaume Thierry said casually reading a book when your friends read this and that is the film's story and read along. Always read thanks to his friends always buy a new book comes out. The biggest advantage was Guillaume Thierry cows feel like watching a Hollywood movie and speed progress. 계속 읽다보니 어느 순간 좀 지겨워졌다. 처음에는 신선했던 사건의 전개와 극의 흐름이 어느덧 눈에 보이는 뻔한 패턴으로 다가왔다. 늘 사랑이야기에 소재와 배경이 약간 다른 것을 빼면 계속 같은 패턴으로 내용이 전개된다는 생각에 당분간 멀리하자고 생각을 했는데 그러고도 실제로 읽을 책은 다 읽었다. 새롭게 신간이 나오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바로읽기 - 반론(Pique tea capital of the 21st century, just reading - objection)

이미지
책을 읽는 것은 정보를 얻기 위한 측면도 있다. 정보라는 것은 모르는 것을 알게되는 것도 있고 알고 있는 것을 다시 돼새김질하는 것도 있다. 어떤 사람의 주장을 안 후에 그 반대의 주장을 듣는 것은 균형잡힌 시선을 위해 필요하다. 이 세상에는 창작물에서 나오는 절대악도 절대선도 있을 수 없다. 누구나 다 적당하게 선하고 악하다. 똑같이 어떤 사상이나 주장이 무조건 옳거나 틀릴 수는 없다. 받아들일 수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있을 것이다. The side to get information and read a book. Also be aware that information and do not know what that is also saegimjil gotta know that back. Need for balanced attention to hear the opposite of what people claim not later claim. There can be no absolute leader in the creation of this world is coming also Evil. All the good and evil appropriately. No idea what exactly could be wrong or right or claim is unconditional. Will also not possible to accept. 좀 곤란했다. 아직 읽지도 못하고 어떤 내용인지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피케티라는 저자의 '21세기 자본'에 대해 반론을 펼치는 '피케티 21세기 자본 바로 읽기'를 읽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 말이다. 반론을 펼치는 책을 읽으려면 최소한 피케티가 어떤 이야기를 했는지 알아야 하는데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책을 읽었으면 그나마 알지는 못해도 읽어 봤으니 다른 의견도 듣는 것이 혹시나 도움이 될 수 있으련만 그것도 아니다. Had some difficulty. Pique s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