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4의 게시물 표시

일주일이 남았다면 - 죽기 전에 후회하는 7가지(What really matters - 7 lessons for living from the stories of the dying)

이미지
인간에게 죽음은 경외의 대상이다. 어느 누구도 죽음을 경험해 본 적이 없다는 점이 인간에게는 영원한 미지의 대상이 된다. 죽었다가 살아났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간혹 존재하지만 그들은 죽었던 것이 아니라 잠시 눈을 감았다고 표현해야 할 것이다. 죽음을 경험한 사람은 자신의 경험을 알려주지 못한다. 인간은 최소한 누군가 경험을 해야 그 경험을 토대로 간접경험으로 지식을 쌓고 대처를 하고 슬기롭고 현명한 행동을 할 수 있는데 어느 누구도 죽음을 경험하지 못한다. Fear of death is the subject of human beings. I've seen anyone inability to experience death in humans are subject to the eternal unknown. Risen dead, and is sometimes present in people who claim that it is not dead, but they closed my eyes a moment that should be expressed. Experienced the death of a person not tell you his experience. Human experience must be at least someone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of second-hand experience and knowledge to build combat wise, you can be a wise move anyone does not experience death. 자신이 직접 죽음을 경험하지는 못해도 타인의 죽음을 경험한다. 죽음에 대해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삶을 살아가다 처음으로 타인의 죽음을 목격하거나 알게 될 때의 감정은 신비스럽다.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두려움을 느끼기도 하고, 어느 날 갑자기 이야기를 할 수 없게 되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죽음이란 피하고 싶고 될 수 있는 한 가까이 하

롤리타 - 님펫(Lolita - nimpet)

이미지
롤리타라는 제목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이미지가 떠 오른다. 그만큼 롤리타는 대명사가 되어버렸다. 롤리타가 어떤 이미지로 세상 사람들에게 소구되고 있고 활용하고 있는지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아도 저절로 알게된다. 워낙에 자극적이고 말초적인 이미지들이 나온 세상이 되어버려 예전만큼 롤리타라는 이미지는 강렬하게 다가오지는 않아도 여전히 롤리타는 우리들에게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이미지로 남을 것이다. The image is titled Lolita floating just naturally rises. Lolita has become so synonymous with. Lolita is appealing to everyone, and any images and do not need to take advantage of naturally want to know whether deliberately learned. Because of its stimulating and peripheral images are shown to the world the image of Lolita as before and discarded not come intensely Lolita is still a need for us to remain in the image will not disappear forever. 어린 여자를 좋아하는 것을 '롤리타 신드룸'이라고 한다. 단순히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간의 관계까지 접근하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남성들이 젊은 여자를 좋아하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남성의 본능이다. 남자는 생존하기 위해 자신의 씨를 안전하고 튼튼하게 키워줄 어린 여성을 선호한다고 한다. 롤리타가 세상에 나왔을 때는 그러한 학문적인 연구는 아직 없었을 것이다. 지금도 그러한 학문적인 연구가 있다고 해도 그다지 자연스럽고 좋게 보지 않는다. I like that little girl 'Lolita Syndrome is called. It is

난쟁이 피터 - 목적이 이끄는 삶(Dwarf Peter - The Purpose Driven Life)

이미지
'마시멜로 이야기'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것도 모잘라 평생 먹고 살아도 될 정도의 초베스트셀러를 저술한 호아킴 데 포사다는 이 후에도 '바보 빅터'까지 그가 저술한 책들은 전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가 지은 모든 책이 전부 다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이정도면 충분히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Marshmallows Story' is a record-breaking heat cut it all inhabit eat enough to be life-authored the second best-selling to Achim Posada number two after the 'idiot Victor that he wrote the book to all those who are sympathetic to call loved causing a. Everything he built all the books, but not many people had a choice of wheels enough that people know exactly what they want, you will have to. 현대인들은 갈수록 각박한 삶에서 무엇인가 현실을 잊고 미래를 볼 수 있는 희망을 꿈꾸기 원한다. 지금의 나는 모잘라고 부족하고 내세울 것도 없지만 미래의 나는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사랑을 받고 하는 일에서 인정을 받고자 하는 강렬한 마음이 현재를 지탱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고 비루한 인생을 버티는 힘이 되어주기도 한다. 감정이입을 하기 위해서는 현대판 우화들이 필요하다. Modern life are increasingly exigent forgot something real hope for the future Dreaming want to see. Now I say lack mojal future,

밥상머리 교육으로 입시대첩 - 학부모(Bapsangmeori education admissions daecheop-parent)

이미지
전 국민이 고3 수험생이 수능시험을 치는 날이면 모든 기능이 순간적으로 마비되고 조심한다. TV 방송과 신문에서는 수능 시험에 대한 이야기로 도배되고 많은 사람들이 수능시험덕분에 늦게 출근하는 등 엄청난 사회적인 에너지가 소비되는 날이다. 교육이 백년대계라는 표현처럼 하기 힘든 것은 우리나라의 8282처럼 교육 분야에도 적용되기 때문인 듯 하다. 몇 년을 지나지 않아 새로운 교육 정책이 발표되고 시행된다. 정권이 바뀌거나 교육부 수장이 바뀐다는 이유로 변경된다. Whole nation, and three candidates are hitting the SAT exam, all functions are momentarily paralyzed me, and be careful. TV broadcasts and newspaper stories about the SAT test SAT test to bombard the help of many people, including late for work the day of the great social energy consumption. Daxi two hundred years education is difficult, as the expression of our country due 8282 to be applied, as it seems to be education. In less than a few years of implementing the new education policy is announced. Head of the Ministry of regime change or change of the reasons the changes. 무엇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 못되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랬고 현재도 그렇듯이 고3이 수능을 통해 대학을 가능 시스템은 변하지 않았다. 향후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학을 가는 시스템이 만들어질지 몰라도 아직까지 이보다 좋은 제도를 만들지도

부자들의 생각법 - 참고할 책(How rich people think - reference book)

이미지
'부자들의 생각법'은 부자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라 생각했는데 행동경제학에 대해 소개하는 책이라는 것을 알고서는 제목으로 낚는 책이라는 판단을 했다. 이미, 행동경제학에 대한 책은 워낙 많이 읽은터라 굳이 꼭 읽어야 할 필요를 갖지 못했다. 가끔, 행동경제학과 관련되어 있는 책을 나에게 소개하면서 자신은 너무 잘 읽었다는 책은 이미 익히 알고 있는 내용이라 그다지 끌리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I think the law of the rich" is a book that tells you about the rich think the book was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economics that knowing that judgment is that the title of the book was catching. Already, behavioral economics is so much reading a book about the need to have atmospheres did not bother to read please. Sometimes, the action in the book related to economics and introducing me to read the book itself is very well familiar with the contents already referred to were often not attracted much. 행동경제학 책들에서 나오는 내용은 거의 대부분의 책들이 비슷하다. 각 용어에 나오는 사례들은 연구자들이 연구한 내용과 실험을 한 내용이 있어 그를 바탕으로 소개하다보니 몇 몇 책만 읽어도 언급되는 사례가 대동소이하다는 것을 알게된다. 이러다보니, 더이상 새로울 것이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는 느낌마저 든다. 행동경제학은 투자분야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 똑똑한 인간이 말도 안되는 결정을 내리는 이유를 밝히기 위

학교에서 배웠지만 잘 몰랐던 미술 - 감상하는 법

이미지
여러가지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고 작품들을 감상하는데 아직까지 문외한인 분야중에 하나 미술이다. 미술은 눈으로 보는 것이다. 보고 느끼면 그것으로 족하다고 보는데 솔직히 봐도 아무런 감흥이 없거나 평론가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인정하기 싫었다. 내가 느끼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그림은 어쩌구..저쩌구..하는데 전혀 동의가 되지 않았다. Read a variety of works in a wide range of books yet to listen to one of outsider art is in the field. Will see the eyes of art. Seeing it honestly feel that reported seeing no family or no inspiration to admit that the critics hated the story. I think I feel the answer is ... blah blah blah ... but this figure did not agree at all to. 도대체, 저 그림에서 왜 그런 감정을 느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런데, 지나고 보니 그런 그림들은 대부분 현대미술작품들이다. 현재 이전의 작품들은 특별한 설명없어도 느껴지는 것이 거의 대동소이하지 않을까 했다. 미술에 대해 알게모르게 우리 주변에서 의식하지 못한 상황에서 다양하게 접하게 된다. What the hell, I figure, why did not understand how to feel emotions. However, such figures are looked passes are most contemporary art. Without previous works have described the current feel special Do not you think it was almost accompanied soy. Learn about art without knowing cons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