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기적의 인문학 독서법 - 책을 읽자(Miracle Humanities Reading - Let's read the book)


워낙 최근 몇 년동안 다작을 한 작가라 도서관에 가면 어김없이 꼭 최소한 한 권정도는 김병완이라는 사람의 책을 발견할 수 있다. 분야도 꽤 다양해서 이렇게 저렇게 다른 섹션에서 발견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도서관에서 3년동안 9,000권을 읽고 인생이 변했다는 것이 저자 자신의 핵심이라 많은 책에서 그 내용이 꼭 언급된다.
Because of its prolific in recent years, a writer must surely go to place at least one library is gimbyeongwan gwonjeongdo the books that can be found. This is quite a variety of sectors to be like that found in other sections of the cases. Three years from 9000 to the library to read books byeonhaetdaneun life is at the core of the author himself was just a lot of the content is mentioned in the book.

대부분의 책들이 자신이 읽은 책들을 근거로 주장을 펼치거나 내용을 알려주는 경우가 많아 상당히 많은 분야의 책이 있지만 공허한 분야의 책도 있다. 하지만, 책과 관련되어 있는 내용으로 넘어가면 확실히 저자 자신의 전공분야(??)라 그런지 책의 내용이 괜찮다. 흔히 말하는 내공이라는 것이 느껴진다.
Most of the books were based on his claim to have read the books contents expand and inform the kinds of books in many cases, but quite a lot of books in the field are empty. However,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related to their field of study authors certainly goes beyond (?), The contents of the book called grunge fine. That convergence is said to be felt.

워낙 많은 책과 책의 내용과 책중에서 일부를 발췌한 글을 읽어보면 책을 많이 읽었다는 티가 저절로 난다. 간혹, 이렇게 많은 책에서 발췌를 한다는 사실에 놀랍기도 하고 그토록 많은 책을 펴 내면서 - 아마도 한 달에 최소한 한 권은 펴 낸듯 하다 - 일일히 전부 책의 내용에서 발췌를 하려면 그것도 장난이 아니겠다라는 느낌이 든다.
Because of its many books and books and books of the content of the article by reading an excerpt read a lot of books fly tee by itself. In some cases, the fact that so many excerpts from the book, and so many books to spread a surprise. Throwing - perhaps one of the at least one month to straighten naendeut - a transcript of excerpts from all the contents of the book it is a feeling I will not joke this costs.

워낙 여러 책들이 있지만 이번에 읽은 '기적의 인문학 독서법'처럼 독서와 관련되어 있는 책과 관련되어서는 상당히 읽을만하다. 그 책이 그 책이라는 느낌이 드는 것은 솔직히 사실이지만 - 비슷한 분야의 비슷한 느낌의 책이 한 달에 한 권 나올정도이니 - 어느 책을 집어 들고 읽어도 평균은 한다는 점은 수 많은 독서의 결과라고 인정할 수 밖에 없을 듯 하다.
Because of its reading many books, but this time a miracle of Humanities Reading 'as related to reading and is quite readable book deserves to be related. The book is called the book is true, but honestly I feel like it-like feel similar fields in one of the book come about a month work-which picks up a book to read that the average is the result of a number of acceptable reading there seems to be forced.

이번 '기적의 인문학 독서법'은 그런 점에서 좀 더 김병완이라는 저자의 내공을 볼 수 있는 책이라 할 것 같다. 인문학에 대해 단순히 자신의 생각을 이러쿵 저러쿵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몇몇 저자와 인문책을 통해 그들의 주장과 생각과 사상을 통해 자신의 사고를 결부시켜 알려주는데 있어 가볍지도 않고 무겁지도 않은 정도로 안내서 역할을 하는 듯 보인다.
The 'miracle Humanities Reading' is such a point of convergence in more gimbyeongwan can see that the author is likely because the book. Simply for the Humanities blah yireokung own story, rather than thinking and humanities through the book some authors think their claims to their own thinking and ideas associated with the neunde tell it is not heavy enough to lightly nor seemed to serve as a guide seems.

인문학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문사철'을 하나씩 설명한다. 인문학을 알아야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한 후에 문학, 역사, 철학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려준 후 자신의 독서법인 3년 1,000권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한 후 저자가 분야별로 추천하는 책을 소개하는데 분야가 상당히 세분화되어 있어 책을 고르는데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본다.
Many people are talking about in the humanities' munsacheol "explained one by one. Humanities to explain why you need to know after the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tells why you need to read the book after his three-year Reading books in 1000, and then finish by describing the sector as recommended by the book author there is an introduction to the field is fairly fragmented discriminating book would be able to help you see it.

인문학에 대해 소개하거나 공부하라고 하는 책이나 글을 접하게 되면 이상하게 그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반대급부에 대해 떠올리고 생각을 하게 된다. 저자가 이야기한 점 말고 이렇게도 볼 수 있는데 왜 꼭 그렇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과 반박을 하고 싶다는 청개구리같은 반발심이 생긴다. 그렇다고 저자의 의견이나 주장에 동의를 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전적으로 지지하고 맞다는 입장이지만 말이다.
An introduction to studying the humanities or writing a book or tell a strange encounter when people are talking to him for a trade to be reminded to think. Do not point the author is talking, why do you have to do this, you should also see if they want to have any doubts about the frog and the like refute the backlash occurs. Yes the author's opinion and does not claim to not accept. Rather, it fully supports the position, but says it is right.

이를테면, 인문학을 공부한 모든 사람들이 성공(??)했다는 것에 동의를 표하기는 힘들고 책에 소개되고 언급된 인물들은 전부 뽑아도 20명이 되지 않는다. 또한, 그들은 하나같이 역사에 남는 인물들이다. 그런 인물들이 책을 많이 읽었다는 것은 맞지만 그것이 꼭 인문학책을 읽었다고 볼수만은 없다. 당시 시대를 볼 때 지금 우리가 이야기하는 인문학책만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고 말이다.
For example, all the people who study the humanities success (?) Marking is difficult to agree that the book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and all characters are not pulled 20 people. In addition, they are like one person is left in history. People who read a lot of books that is correct, but it is just the humanities not only read the book and see. When you view the time period that we're talking about now, but the book was the idea that humanity is carrying said.

인문학을 읽지 않으면 대단한 사람이 못된다는 것에도 동의를 하기 힘든것이 꼭 위대한 사람이 되어야하느냐는 전제부터 고민하고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싶다. 재미삼아 책을 읽으면 아무 도움도 안된다고 하는데 인생을 꼭 그렇게 심각하고 살아야하느냐는 점도 그렇다. 인문학이 아닌 책은 - 대표적으로 실용서적들 - 기술을 알려주는 책이고 인문학은 깊은 성찰을 통해 인간에게 깨달음을 주는 책이라는 이분법적인 생각 자체가 우습다는 생각도 든다.
If you read the Humanities poses a great person, it is hard to accept what is sure to be a great man from the premise that ye should not we want to start worrying. Any help would be reading a book for fun should not come to life so seriously and to live apart from whether the viscosity. This book is not a humanities-books typically practical-skills book tells the humanities and enlightenment to humans through deep reflection and thought that the book itself is a dichotomy idea wooseupdaneun costs.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을 볼 때 굳이 인문학을 읽으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책을 읽다 보면 저절로 문학, 역사, 철학중에 하나에는 보다 가깝게 다가가게 된다. 자연스럽게 접근하면 될 것을 억지로 한다고 될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과거에는 책이 유일한 것이였을지 몰라도 지금은 얼마든지 TV 드라마, 다큐, 영화등을 통해서도 인문학에서 이야기하는 바로 그 인간에 대한 것을 알려준다. 
And, from personal experience when trying to read the humanities do not bother to read the book look even spontaneously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one has to more closely approach the shop. Be the natural approach does not think it will be that force. The only thing that could have been a book without knowing the past, so much as the TV drama, documentaries, and movies from the humanities through the very human story to tell about.

그리고, 인문학을 공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보다는 생각을 하느냐가 훨씬 더 중요한 핵심이다. 책을 아무리 많이 읽어도 변화가 없는 사람들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느데 그 부분도 결국에는 생각을 하느냐가 귀결된다. 개인적으로 계속 읽다보니 저절로 생각이라는 것을 하게되었기 때문에 강요할 부분은 아닌듯하다. 1년 동안 신문을 읽어도 변화가 없다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책을 많이 읽지 않아도 대단한 성찰을 보이는 사람들도 보면 많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다.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humanities, but whether that idea is far more important than the game. No matter how many books people read it that there is no change to that part of the story naohneu idea whether the results in the end. I keep reading that I personally saw itself forced to be part of it, not because it seems to be. One year is no change in the newspaper to read it the same. Read a lot of books people have shown a great reflection on the people who see that a lot of thought.

그러나, 책을 읽는다는 것은 개인이 혼자서는 생각할 수 없고 알 수 없는 것을 책을 통해 생각할 꺼리를 던져준다는 것에 있을 듯 하다. 혼자서는 미처 생각해보지도 못한 것이나, 알지도 못하는 것을 책을 통해 알게 된다. 또는 혼자서 고민하는 것들을 이미 다른 누군가 그 과정을 거친 사람의 글을 통해 도움을 받게 되는 것인데 이런 점이 꼭 인문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지 않고 책을 통해서만 가능하지도 않다고 본다.
However, it is an individual reads the book can not be considered alone to an unknown Giving books as the thought may seem to be reluctant to throw. Lets think about yourself is not even see, but know I do not even know what the book is over. Or someone who already has other things to worry yourself in the process undergone to help people get through the writings of the geotinde this point can only be sure that the humanities do andago does not look only through the book.

책을 읽는 편에 속한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내 입자에서 당연히 책이 가장 도움이 많이 되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가장 적극적으로 알려주는 매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인문학이라고 불리는 것들이 그만큼 시간을 이겨낸 작품들과 사상이 많아 지금 누군가 만든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맞다. 물론, 지금의 나는 무엇인가를 아는게 기쁘고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서 읽는 측면도 뺄 수 없지만 그보다는 독서라는 것 자체를 즐기는 차원이라 할 수 있다.
That side of himself reading a book in my opinion is the particles a lot of help from the course book and the eyes looking at the world that actively inform the media that can not be denied. Things are called the humanities surviving works much time and thought it made ​​a lot more than that now anyone can pass it right. Of course, now I am happy and what do you know something that can be removed to get to know a side view of reading itself, but rather to enjoy the reading dimension can be called.

추가로 독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리뷰라는 것을 통해 생각을 하면서 보다 발전된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로 보인다. 스스로 이런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낯간지럼지만.
Swelling in addition to, rather than reading the reviews I think that the people are becoming more advanced, while it is clear that there seems to be. That this story is familiar tickle yourself, though.

'기적의 인문학 독서법'은 최근의 인문학 열풍에 사람들이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안내서역할을 하는 책이다. 문사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읽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역할 말이다. 사실 그보다는 직접 헤매고 혼란스러워하고 진도가 나가지 않아도 인문학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 아니라 직접 '문사철'책을 읽는것이 훨씬 도움이 되겠지만.
'Miracle Humanities Reading' the latest craze people how to study the humanities (?) And should serve as a guide book tells. How do I read munsacheol accept that tells the said. Rather, the fact that progress is confused and go directly to a loss for the humanities have not directly inform the book 'munsacheol' is much helpful, but reading a book.



저자의 다른책(사진클릭)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