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파우스트 2 - 괴테(Faust 2 - Goethe)

분명히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다. 파우스트는 작품 해설에 의하면 - 아직 작품 해설을 읽지는 않았다 -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을 하는 작품이라고 한다. 파우스트를 읽으면서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인지에 대해서 전혀 아무런 감흥도 오지 않았다. 파우스트라는 작품이 어제, 오늘 갑자기 뜬 베스트셀러도 아니고 몇 백년이라는 시간을 단련되고 검증받은 작품이다. 
I will definitely have a problem. According to commentary on the work of Faust - did not yet read the commentary work - the work of a human being is called to ask questions about. Human beings by virtue of having read all the questions about what did not inspire any. The work by virtue of Yesterday, Today bestseller suddenly floated a few hundred years, nor proven that the time to train and work.

파우스트는 수 많은 사람들이 읽고 - 그것도 전 세계적으로 - 대체적으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을 것이다. 작품해설에 나온 이야기는 분명히 사람들이 느끼고 읽은 것에서 얻은 공통적인 이야기를 한 것이라 보면 내가 읽은 파우스트는 전혀 그러하지 않게 느껴졌으니 이것은 분명히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일것이다.
By virtue of the number of people reading - it's all over the world - people in general, there will be a common story. Commentary on the work of people apparently feel the story is read out from what one would obtain a common look what I've read the story of Faust is've never felt geureohaji This is obviously not a problem for me would be.

파우스트를 1권과 2권으로 나눠져 있는 책으로 읽다보니 한 권씩 리뷰를 쓰게 되어 다소 구분되어 쓰게 된다는 점은 있다. 지금은 2권의 리뷰를 쓰게 되는 시간이다. 대체적으로 대하장편 드라마와 같은 경우에는 주인공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맞지만 미니시리즈보다는 주인공이 나오는 장면이 많지 않다. 워낙, 긴 호흡으로 드라마가 이어지다보니 주인공뿐만 아니라 주변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등장을 한다.
Faust divided into one and two turns reading a book to write in a slightly separated gwonssik write reviews that will be. 2 Now is the time to write a review. In general, if the hero saga full-length drama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it is correct, but the hero rather than the mini-series there are not many scenes. Because of its long breath, as well as the drama surrounding the lead character become the hero who saw a story about the emergence of a lot.

주인공만 나오고 주인공의 이야기만 하게 되면 긴 호흡으로 가는 문제가 있다. 영화같은 경우에는 아예 주인공 혼자서 모든 것을 할 수도 있을만큼 러닝타임의 문제일 수도 있다. 그만큼 파우스트는 대작이라고 하면 대작이라 할 수 있어 - 당시를 생각하면 이렇게 긴 작품이 많지는 않았을테니 - 파우스트가 주인공이라도 꼭 모든 장면에 나오고 극을 이끌어 가야할 이유는 없다.
The story of the main character, but it only comes out when the main character goes a long breathing problems. If you are at all like the movie hero could do it all by yourself as it may be a matter of running time. Speaking of Faust so epic it can be called a masterpiece - if you think that was a lot of work has been so long I'll - Faust is the protagonist in every scene, even just to go out, there is no reason to bring the pole.

그래도 파우스트를 읽으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가 도대체 파우스트가 왜 이리 등장을 하는 장면이 적느냐였다. 심지어 몇 십페이지를 넘어가도 파우스트는 등장하지 않는다. 어쩌면, 무대 어딘가에서 존재 자체를 보여주고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내가 읽기로는 그랬다. 다양하게 변신을 거듭하는 메피스토펠리스가 오히려 더 많은 장면에서 등장을 한다.
But one thing I felt while reading Faust Faust is why the heck is this ever come ye had appeared to the scene. Faust can skip even a few hundred pages does not emerge. Maybe somewhere in the stage show existence of itneunjido did not know as I read. Mephisto Felix repeatedly transformed into a variety of rather appeared to be in more scenes.
일견, 그렇게봐도 무방한 것은 파우스트와 거래를 한 메피스토펠리스가 실질적인 주인공이라 해도 상관없기 때문이다. 예초에 파우스트에게 거래를 제안한 메피스토펠리스가 없었다면 이야기가 시작되지도 진행되지도 않았을 것이고 거래를 승낙한 파우스트가 없었다면 마찬가지였다. 둘의 관계는 공생이라 할 수 있다. 서로 상대방이 없었다면 존재자체가 무의미할 수 있다. (이렇게 쓰고 보니 존재의 이야기를 언급했으니 존재에 대한 이야기가 맞는 것인가?)
At first glance, seeing that it is okay with the deal with Mephisto Felix Faust is because there is no real correlation even if the main character. Mowing the Mephisto Felix Faust is proposed to deal with were not even talk did not start is not going to approve the transaction by virtue of the will were not was the same. Both may be referred to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out the presence of each other may be is meaningless. (This story mentions the existence of writing haeteuni saw a story about existence will fit?)

열심히 읽으면서 - 실제로 열심히 읽지는 않았다 잘 읽히지 않아 - 파우스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유심히 보는 편이였는데 개인적으로 도대체 왜 파우스트가 메피스토펠리스와 거래를 성사시켰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딱히, 파우스트가 원하는 것이 없었다. 파우스트는 악마와 거래를 하여 인간의 욕망을 이룬 대표적인 작품으로 이후에 많은 문학작품과 현재의 대중문화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친 작품으로 생각되는데 그에 비하면 파우스트라는 작품에서 파우스타가 원하는 욕망은 모호하다.
Reading hard - I actually did not read hard not to read - Faust carefully about what you want to see it personally why was shifted Mephisto Felix Faust is brought close the deal and what it does not understand. No apparent, Faust did not want it. By virtue of a deal with the devil to human desires accomplished a lot sinc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literature and popular culture are a huge influence on the thought of the work done to the work of Faust, which he compared to a star Pau vague desire to want.

인간이 원하는 것은 먼저 의식주의 해결이다. 의식주가 먼저 해결되어야 그다음의 욕망이 생겨난다. 파우스트는 딱히 의식주를 갈급한 인물은 아니였다. 의식주가 해결되면 다음으로 명예, 사랑등등이 따라올 것이라 본다. 대체적으로 대부분의 현대 문학에서는 악마와 거래하는 이유가 잘 먹고 잘 살기위해서이다. 또는 원하는 것을 얻기위해서인데 대체적으로 명예욕을 만족하기 위하거나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한 이유가 많다.
The resolution of the human creature comforts that you want is the first. Food, clothing, and shelter needs to be addressed first, then the desire arises. Faust is not a particularly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the person who was hungry. Food, clothing and shelter have been resolved, the next honor, love, etc. would look came along. In general, most of the modern literature, why deal with the devil in order to live well is to eat well. Or to get what you want but in general, to satisfy myeongyeyok or a loved one's mind there are many reasons to obtain.

파우스트는 딱히 그런 점에서 특별한 이유를 찾지는 못하겠다. 하지만, 그가 메피스토펠리스와 거래를 한 이후에 가장 슬퍼하고 애타게 찾는 것은 사랑으로 보였다. 대부분 첫 눈에 반한 이성에게 꽂혀 사랑을 하려 하지만 매번 사랑을 얻지 못한다. 그토록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고 싶어하지만 결국에는 혼자가 된다. 매번, 메피스토펠리스의 농간에 의한 좌절을 겪는다. 이렇게 보면 파우스트는 사랑을 찾는 한 인간의 이야기가 되어버린다.
Faust was not a particularly good reason at that point is how to do this. But after he deal with Mephisto to Palace and the sad love finding seemed to tease. Most seated opposite sex love at first sight, but every time you try to do not get the love. So you want to be with loved ones, but by the end, alone. Each time, frustrated by Mephisto Felix suffers a nonggan. Faust look so in love with the story of a man looking away.

똑똑하고 지식으로 가득차 있고 어느정도 의식주가 해결되는 파우스트에게 부족한 부분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시간이였을지도 모른다. 책을 읽어봤을 때 파우스트가 딱히 명예를 추구한 것 같지는 않다. 상당히 높은 자리와 자산을 갖게 되었지만 간절히 원하고 바라던 바는 아니였던 듯 하다. 그저, 자연스럽게 얻게 되었을 뿐이지.
Smart and full of knowledge, and to some extent by virtue of ritualistic deficiencies are addressed and the time of a loved one may em. Read the book when I saw the pursuit of virtue is a particularly unlikely to honor. Have a fairly high position and wealth, but the craving seems to be hoping that was not a bar. Just naturally, when ppunyiji get.
파우스트가 무엇인가를 꼭 갖고 싶어 눈을 반짝이는 장면은 없다. 유일하게 사랑하는 여인을 만났을 때 간절히 원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다른 부분은 간절히 원하지 않아도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좋았을 뿐이지만 내가 사랑하는 대상을 만났을 때 삶의 의미가 달라지고 살아가야 할 의미가 부여된다. 어김없이 슬픈 결말로 사랑이 이뤄지지 못하고 아주 짧은 추억만이 남았지만 추억이라 불릴 수 없는 회한만이 남을 뿐이다.
Faust is just something I want to have sparkling eyes, there is no scene. I met a woman who loves only to realize that when you are craving. Desperately want to have the other part is that it does not wish, rather than the destination that I love, but when I met ppunyiji meaning of life is different and given the means to live it. Yirwojiji surely love is not a sad ending to a very short memories can only be called anyways, no regrets only memories remain only.

전쟁이 일어나고 전투가 치뤄지고 파우스트는 일정 역할을 메피스토펠리스와 더불어 해 내는데 왜 그 장면이 필요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굳이 그런 상황에 뛰어들어 업적을 세우기 위한 방편이였을까? 평시에는 업적을 세워 명예를 드높힐 기회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과거에 전쟁이나 전투가 아니고는 이름을 널리 알릴 기회가 없었을 것이다. 
War fighting is taking place undergoing Felix Mephisto and Faust, with a certain role in the scene, you need to figure why he did this idea of ​​costs. Achievements dare jump into such a situation is a way to build him? Achievements in peacetime have established that there is no honor can be de nophil opportunities. In the past, not the name of war and the battle would not have been widely known opportunity.

현대는 꼭 전쟁이나 전투가 아니라도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릴 기회는 얼마든지 있다. 그런 이유로 전쟁이나 전투가 과거보다 덜 생기는지도 모른다. 자신의 이름을 드높힐 기회지만 거꾸로 볼 때 한 방에 자신의 모든 것을 잃어야 하는 전쟁이나 전투보다는 본능적으로 다른 영역으로 통해 알리기 위해 노력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인간의 욕망을 현대사회에서는 풀어낼 수많은 기회가 눈꼴사나울 수 있어도 한편으로는 덕분에 인류가 보다 풍성해지고 끔찍한 경험을 하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Modern war and the battle is not just his name is widely known that any chance I have. That's why less than in the past wars and battles may occur. Like his name backwards, but when the opportunity nophil one room to lose all his instinct rather than a war or battle to inform the other areas of human endeavor such a variety of modern society's desire to unravel the many opportunities Parish nunkkol thanks to the cry of humanity, even while getting richer do not even know you do not terrible experience.

결국, 파우스트는 죽고 메피스토펠리스는 처벌(??)을 받게 되는데 인간의 죽음은 그가 어떠한 업적을 남겼는지와 상관없이 죽음으로 끝이 나지만 한편으로는 그가 어떠한 업적을 남겼는지에 따라 후세에 대대로 그의 이름과 업적이 내려오게 된다. 한편으로 그의 후손이 대대손손이 남아 자신의 유전자를 전승하기도 하고. 그런 점에서 지금 살아가는 존재들은 엄청난 환경을 이겨낸 승리자들이다.
In the end, Felix Faust Mephisto died punishment (?), Which will receive any human achievement is that he left a death, regardless of whether the end of the death of any achievement drumsticks left hand, depending on whether his posterit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his name and the achievement will go down. Daedaesonson his left hand, his descendants also the tradition of the gene. Now living beings in such a great environment for surviving the winners are.

메피스토펠리스는 당시 시대상을 볼 때 권선징악적인 요소를 마지막에 넣었어야 했을 것 같은데 현대의 작품에서는 그런 요소를 굳이 넣지 않는다. 어떤 선택이든 인간의 결정이였고 얼마든지 멈출 수 있는 자유의지를 지닌 인간에게는 갈수록 본인에게 책임을 묻는 시대가 되어버린 시대상이 아닐까한다. 
At the time when you see Felix Mephisto sidaesang jingak winding factor would be the last time I think I put those elements in the work of contemporary Do not bother. This selection determines whether any were plenty of human free will can stop humans ever having to ask my age has become a liability is probably the sidaesang.

파우스트를 읽게 되었지만 제대로 파우스트에서 이야기하려는 점이나 괴테라는 대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받아들였는지 모르겠다. 아니, 정확하게는 단 하나도 모르겠다. 남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보게 된 것이 아닐까하는 점도 있지만 수 많은 사람들중에 나같은 생각으로 읽은 사람이 어디 나뿐이랴. 작품은 작가가 쓰지만 작품의 해석은 오로지 내 몫인걸.
Faust Faust in the story you want to read properly, but the point and Goethe daejakga understand what you want to say and I do not know correctly received promised goodies. No, I do not know exactly, just none. In others, it is see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viscosity Maybe, but I think a lot of people like me, who read out where I ppunyirya. Interpretation of the work of the artist is only my share of the work sseujiman darling.


파우스트 1편의 리뷰 http://blog.naver.com/ljb1202/20222234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하기 싫은 일을 하는 힘 - 받아들이기

하고 싶은 일만 하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삶이다. 부자를 꿈꾸는 이유 중 하나도 하고 싶은 것만 할 수 있다는 착각때문이다. 성공한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한 것이 아니다. 하는 일을 좋아했다. 어느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어느 누구도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으며 살지 못한다. 하기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다. 숙명이다. 그게 인생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부지런하다. 성공이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다. 어떻게 보면 그와 나는 딱 하나의 차이가 있다. 그는 하기 싫어도 끝까지 해 냈고 난 그렇지 못했다.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는 삶은 없다. 하기 싫은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오히려 관건이다. 하기 싫다고 안 하면 당장은 편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 나에게 더 큰 하기 싫은 일로 돌아온다.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같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싫다. 지옥철을 타고 출근하기 싫다. 상사의 잔소리가 듣기 싫다. 억지로 어색한 모임에 참여하고 싶지 않다. 늘어지게 집에서 멍하니 시간이나 때우고 TV나 보며 보내고 싶다. 이런 것들은 전부 바램이다. 현실에서 그다지 실행 가능성이 적다. 어쩌다 잠깐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더욱 빛을 발한다. 하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을 직접 체험해 보니 더욱 그런 삶을 꿈꾼다. 막상 매일 같이 그런 삶을 살게되면 그마저도 새로운 하기 싫은 일이 된다. 매일같이 집에서 TV나 보며 빈둥거리면 행복할까. 어쩌다 하는 행동이 재미있고 좋은 것이지 반복되면 지루해진다. 놀랍게도 하기 싫은 일을 해 낼 때 대부분 성장한다. 습관적으로, 태생적으로 편한 걸 찾게 되고 회귀본능처럼 하게 된다. 정작 그걸 선호하더라도 불행히도 현대인에게 그럴 자유가 부족하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태된다. 꼭 성공해야 할 이유는 없어도 현대인으로 살...

이혼 보험 로코드라마

이혼 보험이라는 독특한 보험 상품이 등장했다니 놀랍습니다. 보험은 본래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입하는 상품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이를 미리 준비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조금씩 보험료를 납부하며 해결책을 마련하는 개념이죠. 이혼 보험은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참신한 아이디어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외국에 비해 보험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혼 보험이라는 아이디어는 비록 드라마 속 설정이지만, 정말 신박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드라마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혼이 한 해 동안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험은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보험사에게는 가장 유리하죠. 즉, 보험료를 받고도 지급할 일이 없으면 수익이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혼 보험 역시 팔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보험사에게 최선의 결과일 것입니다. 드라마 이혼보험에서 묘사된 내용은 현실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 이혼 보험에 가입하게 되는데요. 반대로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입자가 실제로 이혼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펼쳐집니다. 이런 설정은 시청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주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드라마는 이혼보험을 설계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동욱이 연기하는 노기준은 두 번의 이혼 경험을 가진 인물로 등장합니다. 첫 번째 이혼은 상대방의 비구니가 되려는 꿈을 존중하며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외국에서 온 상사와의 결혼 생활 중 바쁜 일상 때문에 결혼 신고조차 하지 못하고 끝난 사례였습니다. 이다희가 연기한 전나래는 노기준의 두 번째 아내였지만, 현재는 그의 파트너가 아닌 강한들(이주빈)이 주요 여성 캐릭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한들은 계리 업무를 담당하며 감성적인 성격을 ...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이 추천한 책이다. 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 워런 버핏이 어떤 책을 추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다독가면서도 추천한 책은 많지 않다. 다독가라고 하지만 살짝 개념은 다르다. 워런 버핏은 다독가라는 개념보다는 활자 중독자라는 표현이 좀 더 맞다. 기업과 관련된 온갖 정보를 다 읽는다. 잡지까지도 포함해서. 그러니 흔히 생각하는 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반인보다 많이 읽긴 하겠지만 책은 많이 읽지는 않는 듯하다. 그런 워런 버핏이 추천한 가장 유명한 책은 현명한 투자자다. 가치 투자자에게는 성경이라고 하는 벤자민 그레이엄의 책이다. 이런 책말고 이 책을 추천했으니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궁금했는데 한국에는 번역되지 않았다. 나중에 번역 된 걸 알긴 했으나 굳이 보려 하진 않았다. 그래도 좀 보는 게 어떨까하는 욕망(?)은 있었다. 다른 사람도 아닌 워런 버핏 추천아닌가. 결론부터 곧장 말하면 너무 늦게 내게 왔다. 책에 나온 내용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내용은 맞다. 너무 잘 알고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 늦었다고 표현했다. 이미 이런 종류 책을 많이 읽었다. 여기에 책이 출판된 게 1940년이다. 그 이후 개정판으로 내용이 좀 보강되긴 했지만 딱히 달라진 건 없는 듯하다. 그러니 올드하다. 올드할 뿐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은 전부 거짓이 없다. 제목이 고객의 요트는 어디에 있는가는 여기서는 수수료를 말한다. 월스트리트는 수많은 사람이 돈을 벌기 위해 오는 곳이다. 자신이 직접 돈을 벌기 위해 오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만큼 많이 차지하는 게 돈을 맡기로 오는 사람이다. 돈이 어느 정도 있는데 이걸 불리고 싶다.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할 능력은 안 된다. 또는 사업 등으로 바뻐...